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범죄학 이론

범죄학 이론

(사회적 배경과 결과물, 제5판)

Francis T. Cullen, J. Robert Lilly, Richard A. Ball (지은이), 이순래, 박철현, 장안식 (옮긴이)
박영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범죄학 이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범죄학 이론 (사회적 배경과 결과물, 제5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30302294
· 쪽수 : 611쪽
· 출판일 : 2015-08-30

책 소개

<범죄학 이론> 제5판. 화이트칼라 범죄이론, 생물사회 범죄학, 행동경제학, 문화범죄학 등이 추가되거나 보완되었다. 전공자뿐만 아니라 범죄학에 관심을 가진 모든 학생들에게 적합하며,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집필하여 누구든지 쉽게 공감할 수 있다.

목차

제1장 이론의 배경과 결과/1
이론과 사회적 환경 4
이론과 정책: 생각은 결과를 낳는다 7
사회적 환경, 이론, 정책: 책의 서술 계획 9
범죄학의 출현: 주류 범죄학 이론들 12
사회적 혼란과 비판이론의 대두 14
보수주의 시대의 범죄학 이론 15
21세기의 범죄학 이론 17
결 론 19

제2장 “범죄형 인간”에 대한 탐색/20
심 령 론 23
고전학파: 계산하는 사람으로서 범죄자 27
실증주의 학파: 결정된 범죄자 31
실증주의 학파의 탄생: 범죄형 인간에 대한 롬브로소의 이론 32
롬브로소의 유산: 이탈리아 범죄학 전통 35
범죄의 개인적 원인에 대한 계속되는 탐색 41
이론의 결과: 정책적 함의 47
실증주의 학파와 생물학적 범죄자의 통제 47
실증주의 학파와 형사사법 개혁 51
결 론 53

제3장 개인주의에 대한 거부: 시카고학파/56
시카고학파 범죄학: 맥락 속에서의 이론 57
쇼와 맥케이의 청소년비행이론 60
버제스의 동심원이론 61
해체와 비행 62
범죄적 가치의 전승 64
사회해체이론의 경험적 지위 65
요 약 66
서덜랜드의 차별접촉이론 67
차별적 사회조직 67
차별접촉 68
이론적 적용 70
시카고학파의 범죄학적 유산 71
집합효율성 72
문화적 일탈이론 75
에이커스의 사회학습이론 79
이론의 결과: 정책함의들 82
개인을 변화시키는 정책 82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정책 83
결 론 85

제4장 미국사회의 범죄: 아노미와 긴장이론들/87
머튼의 긴장이론 90
범죄유발적 사회로서 아메리카 90
맥락 속의 긴장이론 95
지위 불만과 비행 98
비행소년들 98
비행과 기회 100
긴장이론의 범죄학적 유산 103
긴장이론 평가하기 103
애그뉴의 일반긴장이론 106
범죄와 아메리칸 드림: 제도적-아노미 이론 112
긴장이론의 미래 117
이론의 결과들: 정책적 함의 119
기회 늘리기 119
아메리칸 드림 길들이기 122
결 론 123

제5장 절연재로서 사회: 통제이론의 기원들/125
통제이론의 선구자들 128
뒤르켐의 아노미 이론 128
시카고학파의 영향 130
초기 통제 이론들 133
Reiss의 개인적?사회적 통제 이론 133
나이의 사회통제의 가족 초점 이론 135
레클리스의 봉쇄이론 137
자아에 대한 사회심리학 138
압력과 유인 139
외적 봉쇄의 요인들 140
내적 봉쇄의 요인들 141
요 약 143
사이크스와 맛짜: 중화와 표류이론 145
중화의 기술 145
표류이론 147
맥락 속의 통제이론 149
1950년대의 상황 149
1960년대의 상황 151

제6장 통제의 복잡성: 허쉬의 두 이론과 그것을 넘어서/154
허쉬의 첫 번째 이론: 사회유대와 비행 156
허쉬에게 영향을 준 학자들 157
허쉬의 사회학적 시각 159
왜 사회통제가 문제인가? 161
네 가지 사회유대 163
사회유대이론의 평가 169
허쉬의 두 번째 이론: 자기통제와 범죄 171
자기통제와 범죄 172
자기통제이론의 평가 174
자기통제력과 사회유대 177
허쉬의 새롭게 개정된 사회통제이론 179
통제의 복잡성 182
헤이건의 권력통제이론 183
티틀의 통제균형이론 185
콜빈의 차별적 강제이론 189
이론의 성과: 정책적 함의 192
결 론 195

제7장 국가개입의 역설: 낙인이론/197
범죄의 사회적 구성 198
범죄유발적 낙인: 경력범죄자의 형성 203
낙인이론의 초기 견해 203
자기충족적 예언으로서 낙인 206
낙인이론의 평가 209
낙인이론과 시대적 상황 215
이론의 결과들: 정책 함의들 217
비범죄화 218
전환처우 219
적법절차 220
비시설화 221
낙인이론의 확장 222
Braithwaite의 수치와 범죄에 관한 이론 223
Sherman의 저항이론 225
Rose와 Clear의 강제이동이론 227
정책적 함의: 회복적 사법과 재소자 복귀 230
결 론 235

제8장 사회적 권력과 범죄의 구성: 갈등이론/236
갈등이론의 선구자 237
Marx와 Engels: 자본주의와 범죄 237
Simmel: 갈등의 형태 239
Bonger: 자본주의와 범죄 240
Sutherland와 Sellin: 문화갈등과 범죄 241
Vold: 갈등과 범죄 242
이론과 시대적 환경: 1960년대의 혼란 244
갈등이론의 다양성 246
Turk: 범죄화 과정 247
Chambliss: 범죄, 권력, 사법절차 254
Quinney: 사회적 실재, 자본주의, 그리고 범죄 262
갈등이론과 범죄의 원인들 273
갈등이론의 결과들 275
마르크스주의 접근방법 277
평화구축 범죄학 279
결 론 282

제9장 비판이론의 새로운 방향/283
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 285
포스트모던 범죄학적 사고: 거대서사의 종말? 287
초기 영국과 유럽의 영향 되돌아보기 289
배경: 신범죄학 290
이론적 주장 291
신범죄학에 대한 비판 293
초기 좌파실재론 294
이 론 294
신범죄학/좌파실재론의 결과들 297
신범죄학 재검토 298
오늘날의 좌파실재론 303
새로운 유러피언 범죄학 309
공헌과 상황 309
폐 지 론 311
폐지론의 결과들 312
다른 목소리들의 중요성: 조크 영 313
문화범죄학 314
후기 근대성과 세계화: 맥락적 변화들 315
문화범죄학의 결과들 317
수형자범죄학 321
배경: 주로 미국의 기여 321
수형자범죄학의 새로운 학파의 결과 323
결 론 325

제10장 범죄학에 성적인 색채 입히기: 페미니스트이론/326
배 경 328
페미니스트 선구자와 명제들 329
체사레 롬브로소 330
W. I. 토마스 331
지그문드 프로이드 333
오토 폴락 334
새로운 의문의 출현: 여성을 데려오기 335
두 번째 물결: 여성해방에서 가부장제까지 337
여성해방과 범죄 337
가부장제와 범죄 340
페미니스트 시각의 다양성 341
초기 페미니스트 시각들 341
현대 페미니스트 시각들 343
인종, 계급, 그리고 성의 중첩 343
남성성과 범죄: 성역할의 수행 350
성을 통해 설명하는 범죄학 353
불법행동으로의 성적 경로 353
성적 범죄 353
성적인 삶 354
포스트모더니스트 페미니즘과 제3의 물결 356
페미니스트 시각의 다양성의 결과 358
교정에 대한 페미니스트 범죄학의 몇몇 함의 364
결 론 367

제11장 힘 있는 자들의 범죄: 화이트칼라 범죄이론/368
화이트칼라 범죄의 발견: 에드윈 서덜랜드 375
필라델피아 연설 375
화이트칼라 범죄의 아버지 되기 380
화이트칼라 범죄 정의하기 383
화이트칼라 범죄 설명하기 389
조직문화 393
비윤리적 문화 393
대항 문화 396
일탈의 정상화 398
조직적 긴장과 기회 401
긴장과 아노미 401
범죄유발적 기회 403
범행 결심하기 406
죄책감 거부하기 406
합리적 선택으로서 화이트칼라 범죄 409
국가-기업 범죄 412
화이트칼라 범죄이론의 결과: 정책적 함의 414
결 론 416

제12장 처벌의 부활: 보수적 범죄학/418
맥락: 1980년대와 1990년대 초의 미국 420
미국의 경제적 쇠퇴 421
미국에서의 지속되는 불평등 422
안정성이라는 수사학 425
전통적, 성에 대한 설교의 재확인 428
보수적인 정치적 행보의 유산 431
다양한 보수적 이론 433
범죄와 인간의 본성: 윌슨과 헌쉬타인 435
그 이론 435
범죄와 인간의 본성에 대한 평가 437
범죄와 벨곡선: 헌쉬타인과 머레이 441
범죄적 정신 444
범죄자가 되는 것을 선택하기: 범죄는 보상을 제공한다 447
범죄와 도덕적 빈곤 449
깨진 창: 겉으로 드러난 해체에 대한 묵인 454
보수적 이론의 결과: 정책적 함의 457
결 론 463

제13장 일상생활에서 범죄 선택하기: 일상활동이론과 합리적 선택이론/466
일상활동이론: 기회와 범죄 468
범죄의 화학: 범죄자, 범행대상, 그리고 감시자들 472
범죄자의 관점 476
정책함의: 범죄의 기회를 줄이기 478
합리적 선택이론 485
합리적 선택과 범죄 485
범죄자의 선택은 합리적인가? 488
지각된 억제이론 492
결 론 498

제14장 “범죄인” 탐구의 재검토: 생물사회 이론들/499
진화심리학: Darwin의 재검토 505
이론적 다양성 505
평 가 506
신경과학: 신경학적 그리고 생화학적 이론 508
Mednick의 생물사회 이론 509
뇌의 발전과 범죄 511
생화학적 이론 513
유 전 학 517
행동유전학 518
분자유전학 519
후성유전학 521
생물사회적 위험요인들과 보호요인들 523
위험요인들 523
보호요인들 526
환경적 위해성 528
생물학적 이론들의 결과: 정책적 함의 530
연구와 정책의 방향 531
예방과 처우 534
범죄의 구성 535
도전과제들 539
결 론 542

제15장 범죄자의 발전과정: 생애과정 이론들/544
범죄의 통합이론 548
이론통합의 의의 549
Elliott와 동료들의 긴장-통제 통합패러다임 550
Thornberry의 상호작용이론 553
정책적 함의 556
생애과정 범죄학: 지속성과 가변성 557
범죄학의 위기: Gottfredson과 Hirschi의 재검토 558
Patterson의 사회적 상호작용 발전모형 561
조기개시 비행 561
후기개시 비행 562
가족 개입방법 564
Moffitt의 생애지속/청소년기한정 이론 564
생애-과정-지속 반사회적 행위 566
청소년기-한정 반사회적 행위 568
Moffitt 이론의 평가 570
Sampson과 Laub: 사회유대이론의 재검토 572
비공식 사회통제의 연령단계별 이론 573
Sampson과 Laub의 생애과정 이론에 대한 평가 575
연령단계별 범죄이론의 재분석 577
범죄의 재검토: 단절에 대한 인지이론 580
Maruna의 구원대본 이론 581
Giodano와 동료들의 인지변화 이론 583
이론의 영향: 정책적 함의 585
결 론 588

색 인 590
참고문헌 595

저자소개

박철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펼치기
장안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회학 박사 케이스탯컨설팅 공공사회정책연구소 소장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겸임교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