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30307527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19-03-05
책 소개
목차
PART1 조직과 조직이론 발달 과정
CHAPTER 1 조직의 의의, 유형 및 목표/5
SECTION 01 조직의 의의와 특징 5
1. 조직의 의의 5
2. 조직과 집단 10
SECTION 02 조직의 유형 11
1. 공공조직 : 정부조직 13
2. 비영리조직 16
3. 민간조직 21
SECTION 03 조직목표 22
1. 조직목표의 의의 22
2. 조직목표의 기능 22
3. 조직목표의 분류 24
4. 목표설정의 방법 27
5. 목표의 변동 30
6. 개인목표와 조직목표의 융합 31
SECTION 04 조직목표 달성의 측정 방법 32
1. 효율성 32
2. 효과성 34
3. 인본주의 36
·용어 해설 40
CHAPTER 2 조직효과성/42
SECTION 01 조직효과성의 의의와 특징 42
1. 조직효과성의 의의 42
2. 조직효율성과 효과성 44
SECTION 02 조직효과성의 접근 방법 45
1. 시스템자원접근법 46
2. 내부과정접근법 47
3. 목표접근법 48
SECTION 03 조직효과성의 기준 선택 50
1. 관리가치 50
2. 생명주기단계 52
3. 환경 55
4. 선거구민 56
5. 조직유형에 따른 효과성 56
SECTION 04 조직효과성 측정의 이슈와 측정단계 57
1. 효과성 측정 이슈 57
2. 효과성 측정단계 59
·용어 해설 60
CHAPTER 3 고전적 조직이론/61
SECTION 01 이론과 조직이론 61
1. 이론 61
2. 조직이론 63
SECTION 02 고전적 조직이론의 의의와 특징 66
SECTION 03 Taylor의 과학적 관리론 69
1. 과학적 관리의 의의 69
2. 과학적 관리의 특징 : 최상의 방법 70
3. 과학적 관리의 비판과 공헌 71
SECTION 04 행정원리학파 73
1. 행정원리학파의 의의 73
2. Fayol의 연구 75
3. Mooney와 Reiley의 연구 76
4. Follett의 연구 77
5. Gulick과 Urwick의 연구 78
SECTION 05 Weber의 관료제 80
1. 관료제란? 80
2. Weber 관료제의 의의와 특징 81
3. 관료제와 조직규모 84
4. 관료제의 유형 86
5. Weber 관료제의 장점과 단점 87
6. 관료제와 민주주의 90
·용어 해설 91
CHAPTER 4 신고전적 조직이론/94
SECTION 01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의의와 특징 94
1.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의의 94
2. 고전적 조직이론과 신고전적 조직이론 96
SECTION 02 Hawthorne의 연구 98
1. Hawthorne 실험 98
2. Hawthorne 실험의 결과와 비판 101
SECTION 03 행태주의 104
1. 행태주의의 의의와 공헌 104
2. Easton의 연구 105
3. Barnard의 연구 106
4. Simon의 연구 108
·용어 해설 110
CHAPTER 5 현대조직이론/113
SECTION 01 시스템이론 115
1. 시스템 및 시스템이론의 의의와 특징 115
2. 시스템의 유형 118
3. 개방시스템의 요소 121
4. 하부시스템 126
5. 시스템 모델의 장점과 단점 128
SECTION 02 이해관계자이론 130
1. 이해관계자이론의 의의와 특징 130
2. 이해관계자이론의 관점 131
SECTION 03 카오스이론 132
1. 카오스이론의 의의와 특징 132
2. 카오스이론과 시스템이론 134
SECTION 04 후기행태론적접근법 134
1. 후기행태주의의 의의 134
2. 후기행태주의의 특징 136
·용어 해설 138
CHAPTER 6 상황적합이론/140
SECTION 01 상황적합이론의 의의와 기반 140
1. 상황적합이론의 의의와 특징 140
2. 상황적합이론의 기반 143
3. 상황적합이론의 평가 144
SECTION 02 상황적합이론 145
1. 환경적 상황이론 145
2. 자원의존이론 147
3. 인구생태이론 150
4. 제도이론 154
SECTION 03 상황적합적 관련 연구 158
1. 조직구조와 규모 연구 158
2. 기술에 대한 연구 159
3. 조직환경 연구 166
·용어 해설 174
PART2 조직환경과 조직문화
CHAPTER 7 조직환경/179
SECTION 01 조직환경의 의의와 기반 179
1. 조직환경의 의의와 특징 179
2. 조직환경의 기반 181
SECTION 02 환경의 특성 183
1. 불확실성 183
2. 자원의존성 184
3. 환경의 상호관련성 및 복잡성 185
SECTION 03 조직환경의 유형 185
1. 내부환경과 외부환경 185
2. Emery와 Trist의 분류 186
3. 복잡성과 예측불가능에 따른 환경유형 188
SECTION 04 환경분석의 접근방법 190
1. 주사형 190
2. 주사시스템 191
3. 환경주사의 장점 192
SECTION 05 환경분석의 과정 193
1. 주사 193
2. 모니터링 194
3. 예측 194
4. 평가 194
SECTION 06 환경분석의 모델 195
1. 거시적 환경 196
2. 산업/경쟁적 환경 200
3. PEST 분석 201
SECTION 07 조직생태학 : 조직생명주기 203
1. 탄생 203
2. 성장 204
3. 성숙 205
4. 퇴보 205
5. 소멸 205
·용어 해설 207
CHAPTER 8 조직문화와 조직분위기/208
SECTION 01 조직문화의 의의와 기반 208
1. 조직문화의 의의와 특징 208
2. 조직문화의 기반 212
SECTION 02 조직문화의 기능과 유형 214
1. 조직문화의 기능 214
2. 조직문화의 유형 217
SECTION 03 조직문화 변화의 특성과 단계 229
1. 조직문화 변화의 특성과 유형 229
2. 문화변화의 지렛대 233
3. 문화변화의 과정 236
SECTION 04 조직분위기 238
1. 조직분위기의 의의와 특징 238
2. 조직분위기의 유형 240
3. 조직분위기의 측정항목 241
·용어 해설 243
PART3 조직과정
CHAPTER 9 기획/247
SECTION 01 기획의 의의와 특징 247
1. 기획의 의의 247
2. 기획의 특징 249
3. 시스템 모델과의 연계 250
SECTION 02 경영전략유형 및 기획과정 251
1. 경영전략유형 251
2. 기획과정과 도구 253
SECTION 03 기획유형과 SWOT분석 258
1. 기획과정과 도구 258
2. SWOT분석 263
·용어 해설 267
CHAPTER10 조직구조/268
SECTION 01 조직구조의 의의와 변수 268
1. 조직구조의 의의 268
2. 조직구조의 변수 269
3. 부서화 272
4. 통솔의 범위 274
SECTION 02 조직구조의 차원 275
1. 공식화 275
2. 집권화와 분권화 277
3. 복잡성 281
4. 분화와 통합 285
SECTION 03 조직구조의 영향요인 288
1. 임무와 전략 288
2. 기술 288
3. 규모 289
4. 핵심적 인원 289
5. 환경 290
SECTION 04 계선과 막료조직 290
1. 계선조직 290
2. 막료조직 291
SECTION 05 공식적 조직구조와 비공식적 조직구조 294
1. 공식적 조직구조 294
2. 비공식적 조직구조 294
SECTION 06 조직의 물리적 구조 295
1. 조직의 지리 296
2. 레이아웃 296
3. 조경, 설계와 실내장식 296
·용어 해설 297
CHAPTER11 조직설계와 직무설계/298
SECTION 01 조직설계의 의의와 관점 298
1. 조직설계의 의의 298
2. 조직설계의 논리적 관점 299
SECTION 02 조직설계의 기반 301
SECTION 03 조직설계의 진단, 과정 및 스타모델 303
1. 조직설계의 진단 303
2. 조직설계의 과정 305
3. 조직설계의 스타모델 307
SECTION 04 조직설계의 모델 309
1. 기능조직과 부서조직 309
2. Burns와 Stalker의 모델 312
3. 매트릭스 조직 315
4. 위원회 구조 322
5. 가상조직과 무경계 조직 324
SECTION 05 인터페이스 네트워크와 조직설계 327
SECTION 06 직무설계와 직무분석 329
1. 직무설계의 의의 329
2. 직무분석 331
SECTION 07 직무분석 방법과 접근법 332
1. 직무분석 방법 332
2. 직무분석 접근법 333
SECTION 08 직무범위의 재설계 335
1. 직무단순화 335
2. 직무순환 335
3. 직무확장 336
4. 직무 충실화(확충) 337
·용어 해설 339
CHAPTER12 의사결정/341
SECTION 01 의사결정의 의의와 시각 341
1. 의사결정의 의의 341
2. 의사결정의 시각 342
SECTION 02 의사결정의 유형 343
1. 정형화된 의사결정 343
2. 비정형화된 의사결정 344
SECTION 03 의사결정의 과정과 전략 346
1. 의사결정의 과정 346
2. 의사결정의 전략 351
SECTION 04 의사결정의 모형 352
1. 경제적 모델 : 합리적 의사결정 352
2. 행정적 모델 : 만족모형 353
3. Allison의 의사결정모형 354
4. 쓰레기통 의사결정 357
SECTION 05 의사결정의 행태적 영향과 집단적 의사결정 359
1. 개인적 의사결정의 행태적 영향요인 359
2. 집단적 의사결정의 기법 361
·용어 해설 368
CHAPTER13 조직권력과 정치/370
SECTION 01 권력과 권위의 의의 370
1. 권력의 의의와 특징 370
2. 권위의 의의와 원천 373
SECTION 02 권력 활용 377
SECTION 03 권력의 기반 379
1. French와 Raven의 유형 380
2. Galbraith의 유형 383
3. Etzioni의 유형 384
4. 구조적 권력과 상황적 권력 384
SECTION 04 권력 대상자의 특성 386
SECTION 05 조직정치와 정치적 전략 387
1. 조직정치 387
2. 정치적 전략 391
·용어 해설 394
CHAPTER14 통제시스템, 평가시스템 및 성과평가/395
SECTION 01 통제시스템 395
1. 통제의 의의와 필요성 395
2. 효과적인 통제시스템과 통제 과정 398
3. 통제의 범위와 통제유형 402
SECTION 02 평가시스템 407
1. 평가시스템의 의의 407
2. 평가시스템의 목적, 과정 및 문제점 409
3. 평가시스템의 유형, 방식 및 기준 412
SECTION 03 성과평가 416
1. 성과평가의 의의 416
2. 성과평가의 방법 417
·용어 해설 421
PART4 조직변화와 조직발전
CHAPTER15 조직변화/427
SECTION 01 조직변화의 의의와 유형 427
1. 조직변화의 의의와 특징 427
2. 조직변화의 유형 429
SECTION 02 조직변화의 원천, 요소 및 단계 430
1. 조직변화의 원천 : 변화시스템 모델 430
2. 조직변화 과정의 요소 432
3. 조직변화단계 433
SECTION 03 조직변화의 저항과 극복방안 435
1. 조직변화의 저항 435
2. 조직변화 저항의 극복방안 436
3. 조직라이프사이클과 조직쇠퇴 440
·용어 해설 444
CHAPTER16 조직발전/445
SECTION 01 조직발전의 의의, 특징 및 과정 445
1. 조직발전의 의의 445
2. 조직발전의 특징 447
3. 조직발전의 과정 448
4. 조직발전의 한계 450
SECTION 02 조직발전의 기반 451
1. 역사적 기반 451
2. 철학적 기반 453
3. 이론적 기반 454
SECTION 03 개입 457
1. 개입의 의의 457
2. 진단개입 458
SECTION 04 조직발달의 방법 460
1. 구조적 발달 방법 461
2. 기술과 태도 발달 방법 467
3. 행태적 발달 방법 468
·용어 해설 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