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사상
· ISBN : 9791130307893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9-08-20
책 소개
목차
제1부 중세정치사상
제1장 서 언⧸13
제2장 중세정치와 정치사상⧸19
제1절 중세정치상황 19
1. 봉건주의 19
2. 보편주의 21
제2절 중세정치사상의 연원 23
1. 기독교 원리 23
2. 그리스‧로마의 정치사상 25
3. 로마법 29
제3절 중세정치사상의 특징, 연구경향 및 주요 관념 33
1. 중세정치사상의 특징 33
2. 연구경향 및 주요한 관념 34
제3장 인간본성의 개념⧸38
제1절 이원적 존재로서 인간의 개념 38
제2절 어거스틴의 의지에 대한 강조 42
제3절 아퀴나스의 인간성 개념 50
제4장 교회사회⧸56
제1절 교회의 개념과 교회사회 56
1. 교회의 개념 56
2. 어거스틴의 교회 개념 57
3. 교회의 법인체적 개념 59
제2절 교회의 성장과 교회사회의 형성 60
제3절 교회정부의 성격과 역할 67
1. 교황주의적 입장 69
2. 세속주의적 입장 71
3. 교회회의론자들의 입장 73
제5장 교권과 세속권의 관계⧸77
제1절 양검론 77
제2절 성직서임논쟁 82
제3절 교황절대주의 86
1. 교황절대주의 형성과정과 특징 87
2. 절대주의의 구조와 기능 96
3. 절대주의의 원리와 체계화 100
4. 교황절대주의의 기능 104
제4절 세속권의 논지 106
1. 세속권의 의미 106
2. 세속권의 논지 107
3. 세속권의 주요 사상가 112
제6장 국 가 론⧸119
제1절 교부철학과 국가관념 121
1. 어거스틴의 국가 관념 122
2. 존의 유기체적 국가 관념 125
제2절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용과 국가 연구의 부활 126
1. 토마스 아퀴나스의 국가 관념 127
2. 마르실리우스의 국가 관념 131
3. 오캄의 국가 관념 134
제3절 단테와 보편적 제국 135
제7장 법의 관념 139
제1절 다원주의와 관습법 141
제2절 법의 본질과 유형 145
1. 자연법의 원리와 구조 146
2. 만민법의 원리와 구조 156
제3절 교회법 158
제4절 실정법 160
제8장 대의제 관념⧸165
제1절 대의제의 원리와 대의기관의 발전 165
제2절 마르실리우스와 오캄의 대의제 관념 168
1. 마르실리우스의 대의제 관념 168
2. 오캄의 대의제 관념 172
제3절 교회회의론자들의 대의제 관념 175
1. 제르송의 대의제 관념 175
2. 니콜라우스의 대의제 관념 177
제9장 정치 권위의 관념⧸183
제1절 중세 초기 정치 권위의 관념 183
1. 왕의 정치적 권위 184
2. 교부철학의 정치 권위 개념 185
제2절 서임논쟁과 정치 권위의 문제 187
제3절 아퀴나스의 정치 권위 관념 188
제4절 정치 권위의 인민적 기초 192
1. 마르실리우스의 정치 권위 관념 193
2. 니콜라우스의 정치 권위의 관념 194
3. 오캄의 정치 권위의 관념 195
제10장 맺는 말⧸199
제2부 강독
제1장 양검론과 어거스틴의 신국⧸213
제1절 기독교인의 이중적 의무와 소극적 복종 214
가아사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마태복음 22장 15-22절) 214
그리도인과 세상의 관계(로마서 13장 1-7절) 215
선한 일과 소극적 복종(디도서 3장 1-2절) 216
제2절 양검론 216
교황 게라시우스 1세가 황제 아나스타시우스에게 보낸 서한 216
제3절 어거스틴의 신국 217
지상에서의 체류 217
신국과 지상국가 219
교회 222
제2장 교권과 세속권의 대립과 갈등⧸224
제1절 교황절대주의의 논거 225
의무를 매고 푸는 권한(마태복음 16장 13-20절) 225
내 양을 먹이라(요한복음 21장 15-17절) 226
그레고리 7세의 교황교서 227
이노센트 3세의 공경할 교서 228
교황 보니파스 8세의 ‘하나이고 거룩함’ 교서 229
아에기디우스 로마누스 232
제2절 세속권의 논지: 마르실리우스-권위의 근원 236
법의 개념 236
법의 효과적 근거 237
심판의 성질 241
파문권 243
교회의 수장 244
제3절 오캄의 인정법 245
“그러나 신법에 의하여” 245
“인정법을 근거로 하지 않는 지배가 첫 번째로 소개되었다.” 245
“더욱이, 우리는 전에 왕의 법이 있었다. 아니 오히려 사실은,전에 어떤 왕들이 있었고, 어떤 사람에게 속하는 어떤 것들이있었다는 사실을 성경에서 찾는다.” 246
제4절 중간적 입장: 존(John of Paris) 248
제3장 중세의 정부론⧸250
제1절 어거스틴의 현실국가와 정의 252
자연적 선(善) 252
이성적인 영혼의 평화 253
예속과 죄 254
가정과 시민규칙의 조화 255
정의없는 왕국이 어떻게 약탈과 같은가 256
국가에서의 정의와 평화 256
공화국과 진정한 정의 258
제2절 솔즈버리 존(John of Salisbury)의 유기체론과 폭군방벌론 259
중세의 유기체와 계약론 259
대역죄 260
폭군방벌론 261
제3절 아퀴나스의 정의, 법의 종류, 그리고 정부분류 262
정의에 대하여 262
법의 본질 266
다양한 종류의 법에 관하여 273
정부분류와 최선의 정부형태 280
제4절 단테의 보편적 군주제에서의 평화와 조화 285
세속적 군주제 285
제국의 권위 293
제4장 대의제의 원리⧸296
제1절 마르실리우스의 교회개념 298
제2절 오캄의 일반회의 299
제3절 니콜라우스의 법과 정부에서의 동의 관념 302
법과 동의에서 권위의 기초 302
대표위원회와 황제의 선출 310
참고문헌⧸319
찾아보기⧸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