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재무/금융
· ISBN : 9791130308180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9-08-30
책 소개
목차
국제금융론이론과 정책
(속표지)
[최종]
국제금융이나 외환시장에 관한 책은 이미 많은데 이 책이 필요한가? 이 책이 갖는 장점과 특징은 무엇인가? 이 책은 기존의 책들과 무엇이 다른가? 항상 이러한 질문을 되뇌면서 집필에 임하였다. 이 책의 집필과정에서 유의한 점 또는 이 책이 가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책은 국제금융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핵심 내용을 자세하고 이해하기 쉽게 소개하는 데 주력하였다. 외환시장 및 국제금융시장의 기본 개념, 개방경제모형 및 환율결정이론, 외환정책 등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내용은 이 책에서 다루지 않았다. 국제금융이나 외환에 관한 다른 교재에서는 파생금융상품에 관한 내용도 꽤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다루지만, 파생금융상품은 파생금융상품론 등 다른 교과목에서도 배울 수 있는 내용이다. 따라서 이 책은 외환거래와 관련하여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파생금융상품 내용만을 2장(2.2. 외환거래의 종류)에서 다루었다. 대신에 외환시장 및 국제금융시장의 기본 개념, 개방경제모형 및 환율결정이론, 외환정책에 관한 내용을 보다 상세하고 쉽게 설명하고자 하였다.
둘째, 이 책은 5장부터 11장에 걸쳐 개방경제모형과 환율결정이론에 관한 풍부한 내용을 자세히, 그리고 이해하기 쉽도록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서술하였다. 특히, 다른 책에서는 다루지 않거나 깊이 다루지 않는 케이건모형, 언더슈팅, 지연된 오버슈팅, 기대기반 접근법(뉴스접근법, 투기적 거품, 페소화 문제), 미시적 접근법(이질적 기대, 불안정적 기대, 주문흐름), 목표환율대 이론, 테일러준칙 모형, 기술적 분석법을 상세하게 다룬 것은 이 책만의 특징이다. 그리고 여러 환율결정이론 간의 관계, 환율결정이론의 발전과정 및 배경 등을 소개하여 독자들이 개방경제모형과 환율결정이론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스완의 도표, 먼델의 원칙, 먼델-플레밍 모형 등 기존 책들에서 소개하는 내용들도 독자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일목요연하게 정리·설명하였다. 그리고 국제금융을 공부하면서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일종의 허들(hurdle)에 해당하는 개념들을 step by step으로 풀어서 서술하였다. 예를 들어 실질환율 개념을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하여 설명하였으며, 오버슈팅모형의 경우 화폐시장, 자산시장, 재화시장으로 모형이 구성되며 각각의 시장의 균형식을 제시하고, 물가가 경직적인 단기에서 화폐시장과 자산시장이 균형을 이루는 과정에서 오버슈팅이 발생한다는 점을 체계적으로 설명하였다.
셋째, 이 책은 외환제도와 외환정책에 관한 내용을 비중 있게 다루었다. 12장 환율정책과 환율제도, 13장 국제통화제도, 15장 통화통합, 16장 국가간 자본이동(자본이동관리정Chapter 01 외환시장과 환율/8
1.1. 외환시장 개괄 8
1.2. 환율의 개념과 종류 16
1.3. 환율의 종류 19
1.4. 환율제도 개괄 25
Chapter 02 외환포지션과 외환거래/28
2.1. 외환포지션과 환위험 28
2.2. 외환거래의 종류 31
Chapter 03 국제금융시장 이해/50
3.1. 국제금융시장 개념 50
3.2. 국제금융시장 참가자 54
3.3. 국제금융시장의 종류 63
3.4. 국제금융센터 76
Chapter 04 국제수지 이해/82
4.1. 국제수지의 개념 82
4.2. 국제수지 편제와 구성항목 84
4.3. 국제수지표 작성 89
4.4. 국제수지의 균형 93
4.5. 경상수지와 거시경제 97
Chapter 05 국제금융 균형조건/106
5.1. 구매력평가 107
5.2. 이자율평가 119
Chapter 06 개방경제이론Ⅰ: 환율과 경상수지/130
6.1. 탄력성 접근법 130
6.2. 마셜–러너 조건 136
6.3. J–curve 효과 140
6.4. 환율의 전가 142
Chapter 07 개방경제모형Ⅱ: 먼델–플레밍 모형/146
7.1. 먼델–플레밍 모형의 기본요소 146
7.2. 먼델–플레밍 모형 157
Chapter 08 개방경제모형Ⅲ: 지출변화정책과 지출전환정책/172
8.1. 스완의 도표 172
8.2. 먼델의 효율적 시장구분 원칙 178
8.3. 2기간 소국개방경제모형 185
Chapter 09 환율결정이론Ⅰ: 자산시장 접근법/190
9.1. 통화론자 모형Ⅰ: 신축가격모형 190
9.2. 통화론자 모형Ⅱ: 케이건 모형 195
9.3. 오버슈팅모형: 환율의 경직가격모형 198
9.4. 포트폴리오–밸런스 이론 213
Chapter 10 환율결정모형Ⅱ: 새로운 접근법/220
10.1. 환율결정모형의 환율예측력 검증 220
10.2. 기대에 기반한 접근법 222
10.3. 미시구조 접근법 234
10.4. 새로운 환율결정이론 246
Chapter 11 환율결정이론Ⅲ: 외환시장의 효율성과 기술적 분석법/256
11.1. 외환시장의 효율성 256
11.2. 무작위보행 모형 263
11.3. 기술적 분석법 266
Chapter 12 환율정책과 환율제도/280
12.1. 환율정책 개념 280
12.2. 외환시장개입 282
12.3. 환율제도의 종류와 특징 293
12.4. 삼불원칙 297
Chapter 13 국제통화제도의 과거, 현재, 미래/300
13.1. 국제통화제도의 의미 300
13.2. 국제통화제도의 변천과정 301
13.3. 국제통화제도 개편 논의 315
Chapter 14 외환위기 이론과 실제/324
14.1. 외환위기 개념 324
14.2. 외환위기 발생 원인 330
14.3. 외환위기 전개과정의 특징 335
14.4. 외환위기 사례 341
Chapter 15 통화통합 이론과 실제/354
15.1. 통화지역 및 최적통화지역 개념 354
15.2. 최적통화지역 평가기준 356
15.3. 통화통합의 편익과 비용 361
15.4. 유럽통화동맹 367
15.5. 아시아 통화통합 논의 379
Chapter 16 국가간 자본이동/384
16.1. 국가간 자본이동의 개념 384
16.2. 국가간 자본이동 효과 391
16.3. 국가간 자본이동 규제 397
16.4. 우리나라의 자본유출입 변동성 완화조치 404
Chapter 17 외환안전망/410
17.1. 외환안전망 개념 410
17.2. 외환보유액 411
17.3. 중앙은행간 통화스왑 & 지역금융안전망 429
참고문헌 440
찾아보기 4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