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CEO/비즈니스맨을 위한 능력계발 > 성공학/경력관리
· ISBN : 9791130311708
· 쪽수 : 130쪽
· 출판일 : 2021-01-15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기업가들의 실패관리 ∙∙∙ 이준수, 폴 마이싱
실패로부터 혜택을 누리기 9
우리는 왜 실패로부터 배우는가 _9
우리는 어떻게 실패로부터 배우는가 _11
우리는 실패로부터 무엇을 배우는가—과거 지향적 관점 _12
우리는 어떻게 실패를 활용하는가—미래 지향적 관점 _13
실패관리를 향하여 13
실패관리의 기본 체계 15
정의와 개념 _15
실패관리의 명제들 _16
실패관리와 기존 관리방법들의 비교 27
결론 29
참고문헌 _31
부록 1 실패관리의 명제들 _34
부록 2 위험(risk), 위기(crisis), 실패(failure)/성공(success)의 구분 _35
CHAPTER 02 실패관리를 위한 전략과 준비: 뒤늦은 깨달음에서 선견지명으로∙∙∙ 이준수
실패관리 소개 37
실패관리를 넘어서 38
질문1. 실패를 과거지향적으로 그리고 미래지향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어떤 전략들을 창조할 수 있을까? 39
제1요인: 어떻게 실패에 반응하는가? _40
제2요인: 실패로부터 어떤 기회들을 얻을 수 있는가? _41
실패관리 전략의 스펙트럼: 과거지향적, 또는 미래지향적 접근방법 _43
실패에 대응하는 네 가지 전략옵션 _44
질문2. 실패를 활용할 준비가 얼마나 잘 되었는지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49
실패로부터 배우기 위한 다섯 가지 단계 _49
제1요인: 실패를 사전에 예견할 수 있나? _50
제2요인: 실패의 혜택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나? _51
실패관리를 위한 세 가지 종류의 준비 모델 _51
실패관리의 세 가지 준비 모델이 적용되는 맥락들 _56
실패관리: 숨겨진 축복과 함께 일하기 57
참고문헌 _59
CHAPTER 03 성공관리: 성공의 함정을 넘어 역동적 지속가능성으로 ∙∙∙ 이준수, 이승주
성공, 지속가능한 경영의 걸림돌 61
성공의 함정 1: 내부 의사결정의 왜곡 62
인지 _63
목표 설정 _64
추론, 귀인(歸因) _66
내부 관계 _68
투자 _69
성공의 함정 2: 외부 환경과의 부정적 관계 71
고객 _71
공급자, 협력자 _73
일반 대중 _74
규제자, 경쟁자 _74
성공의 함정에 대한 처방 76
성공관리에 있어서 조직의 목표 _76
조직 관리를 위한 ‘명사’: 전략과 검증 _77
조직 관리를 위한 ‘형용사’: ‘전략과 검증’의 특성 및 방향 _78
실패관리를 통한 성공관리 86
참고문헌 _89
CHAPTER 04 균형적 SWOT: 실패관리와 성공관리의 관점에서 바라본 SWOT 분석∙∙∙ 이준주, 이승주, 정권
SWOT 분석에 대한 재고찰 91
실패관리와 성공관리 93
실패관리(Failure Management, FM) _93
성공관리(Success Management, SM) _94
FM과 SM을 통하여 균형적인 SWOT 분석하기 95
실패관리를 통한 균형적 SWOT 분석 96
실패의 긍정적인 영향 다루기 _96
사례1: iPhone 4s _97
사례2: 포스트잇 _98
사례3: 미-소 우주 경쟁 _99
사례4: 유도 경영 _101
성공관리를 통한 균형적 SWOT 분석 103
성공의 부정적인 영향 다루기 _103
사례1: CVS _103
사례2: 테슬라 _105
사례3: 코스트코 _106
사례4: 윈스턴 처칠 _107
‘기회의 창’을 열기 위한 균형적 SWOT 분석 109
참고문헌 _111
COVID-19 시대에 쓰는 맺음말 _113
찾아보기 _115
책속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