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교통공학
· ISBN : 9791130311920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1-01-10
책 소개
목차
제1부 토목일반
제1장 선로
제1절
철도선로란? 3
1. 궤도의 구성요소 및 기능_4
2. 궤도의 구비조건_5
제2절
선로의 구성요소 6
제3절
궤간 7
1. 궤간(軌間, rail gauge)_7
2. 궤간의 종류_7
제4절
곡선 9
1. 곡선의 종류_9
2. 곡선의 표시(Indication of Curve)_9
3. 최소곡선반경(Minimum Radius of Curve)_10
4. 완화곡선(Transition Curve)_11
5. 슬랙(Slack: 확대 궤간)_14
6. 캔트(Cant)_16
제5절
기울기(구배) 18
1. 기울기 표시_18
2. 최급기울기_19
3. 구배의 분류_20
4. 종곡선_22
5. 곡선보정_24
제6절
분기기 26
1. 분기장치의 뜻_26
2. 분기기의 대향과 배향_27
3. 포인트의 정위와 반위_28
4. 분기기의 종류_30
제7절
차량한계 및 건축한계 37
1. 차량한계와 건축한계_37
2. 차량한계_37
3. 건축한계_37
제8절
궤도중심간격 38
1. 궤도 중심간격_38
제9절
선로제표 40
1. 건식표_40
제2장 궤도
제1절
궤도의 구조 41
1. 궤도의 구비조건_42
제2절
레일 44
1. 레일의 역할_44
2. 레일의 구비조건_45
3. 레일의 변위_45
4. 레일의 종류_46
5. 레일의 선정_48
6. 레일의 수명_49
7. 레일의 길이_50
8. 특수레일_52
9. 레일의 훼손_53
10. 레일의 마모_53
제3절
침목(Railroad Tie) 54
1. 침목의 역할 및 조건_54
2. 침목의 종류_55
3. 목침목 _56
제4절
도상 57
1. 도상의 역할_57
2. 자갈도상의 궤도_58
3. 콘크리트 도상 궤도_60
4. 슬래브 궤도(Slab Track) B2S Track_62
제5절
레일 체결장치 63
1. 레일체결장치_63
2. 레일 체결장치의 기능 및 조건_64
3. 레일 체결장치의 종류_64
제2부 정보통신
제1장 정보통신
제1절
통신과 정보 69
제2절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 70
1. 아날로그 신호_70
2. 디지털 신호_71
제3절
전송매체 72
1. 유선전송매체_72
2. 무선전송매체_78
제2절
정보통신망 81
1. 통신망의 개요_81
2. 통신망 구성에 필요한 요소_81
3. 통신방식_82
제3절
무선통신기술 84
1. 개요_84
2. 무선통신에서의 신호_84
3. 전파(주파수)의 구분_86
4. 무선통신의 응용_88
5.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_90
제2장 열차무선전화장치
제1절
수도권 TRCP(Train Radio Control Panel) 91
1. 열차무선전화장치의 개요_91
2. 무선국종류 및 통신 상대방_93
3. 열차무선전화장치 사용법_94
4. 전동차 무전기_102
5. Control Head와 무전기(송수신기)_105
6. 감청수신기의 운용_106
7. 터널용 무선중계장치_107
8. 사용자 준수사항_108
제2절
서울교통공사 열차무선설비 109
1. 서울교통공사(1, 3, 4호선) 열차무선전화 장치 개요_109
2. 이동국 장치_110
제3절
서울교통공사 열차무선설비(서울교통공사5,6,7,8호선) 116
1. 운영현황_116
제3장 화상전송설비
제1절
개요 119
제2절
LS(Local System) 120
1. CAMERA_120
2. MONITOR_120
제3절
행선안내게시기 121
1. 설치목적_121
2. 설치현황_121
제4절
시스템구성 내역 122
1. 중앙장치(HSE)_122
2. 역 장치(LSE)_122
3. 안내게시기(TDI)_123
제4장 복합통신장치
제1절
설치목적 124
제2절
운영현황 124
1. 재방송 설비_124
2. 소방 무선통신보조설비_124
3. 경찰지휘통신설비_125
제5장 방송장치
제1절
설치목적 126
제2절
자동방송장치 126
제3절
관제방송장치 126
1. 개요_127
제4절
방송순서 127
1. 방송의 우선순위_127
2. 각 역사를 그룹 또는 전체그룹 및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방송 가능_127
3. EM방송_127
제3부 관제 장치
제1장 관제 장치의 변천
제1절
개요 131
1. 폐색구간_131
2. 열차의 승강장 진입진출 운전_132
3. 열차관제의 필요성_132
제2절
도시철도 관제장치의 특징 133
제3절
관제 장치의 발달 136
1. 역 취급 중심의 관제(역에서 직접 관제(과거 방식))_136
2. 열차집중제어장치(CTC)_136
3. 열차운행종합제어장치(TTC: Total Traffic Control System)_139
제2장 관제장치의 구성
제1절
TTC장치 구성도 142
제2절
주요 기기(TTC내부) 144
1. 운행관리컴퓨터(MSC)_144
2. 주컴퓨터(TCC)_147
3. 정보전송장치(DTS: Data Transmission System)_149
4. 대형 표시반(LDP: Large Display Panel)_151
5. 운영자 콘솔(Operator Console)_153
6. CTC 제어 키(CTC Control Key)_155
7. SCADA(전력원격제어감시장치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_156
8. 제어탁(Work Station)_156
9. 주변기기_157
제3절
관제장치의 제어 과정 158
1. TTC 제어과정_158
2. 현장설비 동작상태 수신과정_159
3. 안내 게시기 및 안내방송 제어 과정_160
제3장 시스템 제어모드
제1절
시스템 제어모드의 종류 161
1. TTC(Total Traffic Control) 제어모드_161
2. CTC(Centralized Traffic Control) 제어모드_161
3. LOCAL 제어모드(현장제어모드)_162
제2절
제어모드의 변경 163
1. TTC ↔ CTC모드 변경_163
2. TTC/CTC ↔ LOCAL 모드 변경_164
3. 열차집중제어장치(CTC: Centralized Traffic Control System)고장의 경우 제어모드 변경_165
제4장 관제사의 업무
제1절
관제사 167
1. 관제업무의 범위_167
2. 관제업무 종사자_168
제2절
관제사의 주요업무 168
1. 운전정리 시행_168
2. 운전정리의 주요사항_168
3. 운전명령의 발령_173
4. 폐색방식의 변경_173
5. 열차종합제어장치(TTC)운영_176
6. 사고접수 및 보고_177
7. 열차운행기록 관리_178
8. 운전시각의 기록_179
9. 전차선 급단전_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