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30312095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1-02-25
책 소개
목차
CHAPTER 1 공급사슬관리의 기본
01 공급사슬 관련 기초 / 3
1.1. 주요 완제품의 부품 현황 3
1.2. 공급 사슬과 공급 네트워크 5
02 공급사슬의 중요성 / 7
2.1. 외부 조달의 이유 7
2.2. 공급사슬관리가 필요한 이유 8
03 공급사슬관리의 배경이론 / 12
3.1. 채찍효과 12
3.2. 제약이론 16
04 주요 산업의 공급사슬 특징 / 19
4.1. 전자산업 19
4.2. 철강산업 19
4.3. 제약산업 20
05 공급사슬관리의 개념 정리 / 21
5.1. 공급사슬의 정의 21
5.2. 내부 공급사슬과 외부 공급사슬 21
5.3. 공급사슬관리의 정의 21
5.4. 공급사슬관리의 목적 22
5.5. 공급사슬관리의 주요 이슈 23
06 수요사슬 / 25
07 공급사슬관리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 / 27
CHAPTER 2 공급사슬 협력
01 공급사슬 협력의 개념 / 37
1.1. 개념 37
1.2. 통합과 협력의 차이 38
02 공급사슬 협력의 기반이론 / 39
2.1. 자원의존이론 39
2.2. 불확실성 감소 40
2.3. 거래비용이론 40
2.4. 자원기반관점 41
2.5. 학습과 지식관점 42
2.6. 사회적 자본이론 42
03 공급사슬 협력 단계 / 44
3.1. 일반적 통합의 단계 44
3.2. 파트너십 관점에서 공급사슬 협력 단계 45
3.3. 협력 수준과 관계의 수에 따른 진화 46
3.4. 영향력과 상호관계의 형태 관점에서 공급사슬 협력 47
3.5. 협력 기법의 관점 48
04 공급사슬 협력의 유형 및 대상 / 49
4.1. 공급사슬 협력 유형 49
4.2. 공급사슬 협력 시 공유 대상 52
05 성공적 공급사슬 협력의 요구사항과 편익 / 53
5.1. 공급사슬 협력의 요구사항 53
5.2. 공급사슬 협력의 편익 53
5.3. 공급사슬 협력의 선행요인 55
5.4. 공급사슬 협력의 장애물 60
06 종합적 공급사슬 협력 모델 / 62
6.1. 내부요인 62
6.2. 관계적 요인 64
6.3. 기술적 요인 64
07 전략적 공급사슬 파트너십 / 65
7.1. 개념 65
7.2. 선행요인 66
7.3. 실행 66
CHAPTER 3 공급사슬 협력 기법
01 크로스 도킹 / 77
02 QR / 78
03 POS / 80
04 CR / 81
4.1. VMI 81
4.2. CMI 83
05 ECR / 84
06 CPFR / 85
6.1. 특징 85
6.2. 구성요소 86
6.3. 편익 87
6.4. 실행 성공요인과 저해요인 87
07 조직화된 공급사슬 / 88
08 기법의 비교 / 89
09 공급사슬 협력 방법의 위치 / 91
CHAPTER 4 구매자-공급자 관계
01 상생 협력 / 101
1.1. 협력의 개념 101
1.2. 기회주의적 행동의 형태 101
1.3. 공급사슬에서 협력의 실패 원인 102
1.4. 생존양식 104
1.5. 죄수의 딜레마와 치킨게임 105
1.6. 생존기반 107
02 구매자와 공급자 관계 / 108
2.1. 관계의 단계 108
2.2.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9
2.3. 상생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형성 116
CHAPTER 5공급자 개발
01 공급자 개발의 개념 / 125
02 공급자 개발의 유형 / 127
03 공급자 개발 프랙티스 / 129
3.1. 대표적인 공급자 개발 프랙티스 129
3.2. 공급자 개발 프랙티스의 범주화 131
04 공급자 개발의 참여와 성공요인 / 136
05 공급자 선정 / 139
5.1. 공급자 선정의 중요성 139
5.2. 공급자 선정 기준 140
CHAPTER 6 공급사슬 전략
01 제품 특성에 기초한 전략 / 151
1.1. 제품 유형 151
1.2. 공급사슬 전략 유형 152
1.3. 적합 전략 153
02 불확실성에 기초한 전략 / 154
2.1. 불확실성에 기초한 제품 유형 154
2.2. 불확실성에 기초한 공급사슬 전략의 포지셔닝 155
03 리스크 헤징 전략 / 157
3.1. 개념 157
3.2. 유형 158
04 추진-견인 전략 / 160
4.1. 개념 160
4.2. 각 전략의 특징 161
4.3. 전략 선택 161
05 지연 전략 / 164
5.1. 개념 164
5.2. 분리점의 역할 164
5.3. 전략적 지연의 유형 166
5.4. 지연 전략의 성공적 실행 171
06 공급사슬관리의 계획과 실행 / 172
6.1. 계획과 실행 요소 172
6.2. 비즈니스 프로세스 준거 모델 173
6.3. SCOR 모델의 실행 175
CHAPTER 7 공급사슬 복잡성과 가시성
01 개념과 중요성 / 187
1.1. Boeing 787 Dreamliner의 글로벌 공급 187
1.2. 복잡성 개념 188
1.3. 공급사슬 복잡성의 유형 189
1.4. 공급사슬 복잡성의 도전 194
1.5. 공급사슬 복잡성의 영향 194
02 공급사슬 복잡성 관리 / 196
2.1. 복잡성 관리 프레임워크 196
2.2. 복잡성 동인 규명 197
2.3. 복잡성 동인과 전략적 접근법 199
03 가시성 관리 / 207
3.1. 배경 207
3.2. 가시성의 개념과 진화 208
3.3. 가시성의 니즈와 편익 211
3.4. 공급사슬 가시성의 측정 212
3.5. 공급사슬 가시성 향상 방안 213
CHAPTER 8 공급사슬 리스크
01 리스크 사례 / 225
1.1. 역사적인 재난 225
1.2. 기업에 영향을 미친 재난 225
1.3. 재난의 유형 227
02 공급사슬 리스크의 개념과 유형 / 228
2.1. 공급사슬 리스크의 개념 228
2.2. 리스크와 유사 개념 229
2.3. 공급사슬 리스크 유형 230
03 공급사슬 리스크 관리 프레임워크 / 232
04 공급사슬 리스크 규명 / 234
4.1. 리스크 원천 234
4.2. 리스크 동인 240
4.3. 리스크 유형 240
05 공급사슬 리스크 평가 / 243
5.1. 공급사슬 리스크 우선순위 243
5.2. 공급사슬 리스크 상호관계 244
06 리스크 전략 실행 / 245
6.1. 본원적 리스크 대응 전략 245
6.2. 제품 특성에 따른 공급사슬관리 전략 247
07 리스크 모니터링과 평가 / 253
08 공급사슬 붕괴관리 / 254
8.1. 붕괴의 개념 254
8.2. 붕괴관리 254
8.3. 붕괴관리 요인과 유형 256
8.4. 붕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260
CHAPTER 9 공급사슬 강건성
01 개념 / 281
02 선행요인 / 283
2.1. 조직 내 선행요인 283
2.2. 조직 간 선행요인 284
03 공급사슬 강건성 전략 / 286
3.1. 지연 전략 287
3.2. 전략적 재고 287
3.3. 유연한 공급기반 288
3.4. 제조와 구매 288
3.5. 경제적 공급 인센티브 289
3.6. 유연한 운송 289
3.7. 동태적 가격책정과 촉진을 통한 수익관리 290
3.8. 제품 분류계획 291
3.9. 조용한 제품 롤오버 291
3.10.실행 시 고려사항 291
CHAPTER 10 공급사슬 유연성
01 개념 / 303
02 공급사슬 유연성의 구성 차원과 유형 / 305
2.1. Narasimhan & Das(2000)의 연구 305
2.2. Stevenson & Spring(2007)의 연구 306
2.3. Tiwari et al.(2015)의 연구 308
2.4. Liao(2020)의 연구 309
03 공급사슬 유연성의 동인과 원천 / 310
04 유연성 강화 전략 / 311
4.1. 기업의 유연성을 공급사슬 유연성으로 확장 311
4.2. 공급사슬 디자인 311
4.3. 공급사슬 관계 312
4.4. 정보공유와 조직 간 정보 시스템 312
4.5. 공급사슬 유연성 매트릭스 활용 313
CHAPTER 11 공급사슬 민첩성
01 개념 / 323
02 공급사슬 민첩성 전략 / 325
2.1. 민첩성 역량의 향상 325
2.2. 민첩성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을 관리 326
03 린과 민첩 공급사슬의 결합 / 332
3.1. 린과 민첩 공급사슬 전략 332
3.2. 린과 민첩 공급의 특성 332
3.3. 린과 민첩 패러다임을 결합하는 전략 335
CHAPTER 12 공급사슬 회복성
01 개념 / 347
1.1. 배경 347
1.2. 정의 348
1.3. 강건성, 유연성, 민첩성, 회복성의 관계 348
1.4. 전략유형에 기초한 회복성의 개념 350
02 공급사슬 회복의 구성요소 / 353
2.1. 세 가지 차원 353
2.2. 취약성과 역량에 의한 공급사슬 회복성 구성요소 355
03 공급사슬 회복 전략 / 359
3.1. 기존 문헌의 공급사슬 회복 전략 359
3.2. 회복적 공급사슬 원칙 363
04 회복 역량 구축 / 365
05 붕괴회복 프로세스 / 370
CHAPTER 13 최근 기술과 공급사슬
01 공급사슬관리와 기술의 진화 / 383
02 스마트 팩토리의 등장 / 385
2.1. 특징 385
2.2. 스마트 팩토리의 동인 386
2.3. 편익 387
03 최근의 유망기술 / 389
04 유망기술과 공급사슬관리 / 391
4.1. 사물인터넷 391
4.2. 블록체인 393
4.3. 빅데이터 396
4.4. 인공지능 400
4.5. 3D 프린팅 401
4.6. 클라우드 컴퓨팅 403
05 기술기반 공급사슬의 특징 / 406
5.1. 디지털 공급사슬 406
5.2. 자율사고 기반 공급사슬 408
5.3. 공급사슬관리 4.0의 실행 동인과 장애물 409
CHAPTER 14 공급사슬 기타 주제
01 공급사슬 프랙티스 / 424
1.1. Tan et al.(1998, 2001, 2002)의 연구 424
1.2. Sahay & Mohan(2003)의 연구 424
1.3. Chin et al.(2004)의 연구 424
1.4. Li et al.(2006)의 연구 425
1.5. Koh et al.(2007)의 연구 425
1.6. Sundram et al.(2011)의 연구 425
1.7. Gorane & Kant(2016)의 연구 425
02 공급사슬과 혁신 / 427
2.1. 혁신을 위한 일반적 관행 427
2.2. 공급사슬에서 학습 428
2.3. 혁신 지향과 공급사슬 통합 429
2.4. 개방형 혁신 지향과 공급사슬 역량 429
2.5. 공급사슬 자체의 혁신 430
2.6. 신제품개발과 공급사슬관리에서 모듈성 431
2.7. 공급자 혁신성 434
03 공급사슬과 품질 / 436
3.1. 공급자 품질관리 436
3.2. 공급사슬 품질관리 437
04 사회 네트워크에 기반한 공급 네트워크 분석 / 439
4.1. 공급 네트워크의 등장 439
4.2. 사회 네트워크 분석 440
4.3. 공급 네트워크의 활용 440
05 지속가능한 공급사슬 / 443
5.1. 지속가능한 공급사슬의 경쟁력 443
5.2. 사회적 책임조달 444
5.3. 녹색 공급사슬 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