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30312880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1-05-03
책 소개
목차
PART 01 재취업지원서비스의 이론과 실제
CHAPTER 01 재취업지원서비스의 법적 근거 3
1. 재취업지원서비스의 추진 배경 3
2. 장년 근로자 재취업 법제화의 경과 18
CHAPTER 02 재취업지원서비스의 이해 27
1. 재취업지원서비스의 개념 27
2. 재취업지원서비스의 필요성과 목적 31
3. 재취업지원서비스의 효과 34
4. 재취업지원서비스 모형 36
5. 재취업지원서비스 프로그램 39
6. 재취업지원서비스의 국내 사례 42
7. 재취업지원서비스의 해외 사례 73
PART 02 재취업지원서비스의 도입·운영·성과관리
CHAPTER 03 재취업지원서비스의 도입 93
1. 인력운영 전략으로서 재취업지원서비스 93
2. 재취업지원서비스 도입을 위한 검토 95
3. 재취업지원서비스의 운영형태 101
4. 조직 구성 및 직무 내용 106
5. CTC(Career Transition Center) 구축 112
6. 서비스 프로세스 구축 및 매뉴얼 제작 114
7. 자사 직원에 대한 사전교육 117
8. 사내 홍보 및 서비스 안내 119
CHAPTER 04 재취업지원서비스의 운영 123
1. 교육 123
2. 취업알선 및 재취업 연계 140
3. 상담 143
4. 진단 151
CHAPTER 05 재취업지원서비스의 성과관리 157
1. 실적관리 157
2. 재취업지원서비스의 효과분석 166
3. 전문성 제고 방안 171
참고문헌 / 177
INDEX / 185
표 목차
<표 1-1> 장년 근로자 활용을 위한 방향 13
<표 1-2> 전략별 내용 18
<표 1-3> 재취업지원서비스의 운영 기준 22
<표 1-4> 재취업지원서비스(전직지원프로그램)의 의미 30
<표 1-5> 재취업지원서비스(전직지원프로그램)의 모형 38
<표 1-6> 재취업지원서비스의 구성 42
<표 1-7> A사의 일반 직원 대상 전직지원프로그램 45
<표 1-8> A사의 임원 대상 전직지원프로그램 45
<표 1-9> C사의 전직지원프로그램 50
<표 1-10> D사의 전직지원프로그램 내용 51
<표 1-11> F사의 재취업 프로그램 55
<표 1-12> F사의 창업 프로그램 56
<표 1-13> F사의 생애설계 프로그램 57
<표 1-14> J센터의 재도약프로그램 교육과정 69
<표 1-15> J센터의 전직지원서비스 표준모델 70
<표 1-16> K센터의 역량강화 취업 워크숍 프로그램 71
<표 1-17> K센터의 적응교육 워크숍 프로그램 72
<표 1-18> K센터의 시니어 워크숍 프로그램 72
<표 1-19> 와이어하우저의 Healthy Wealthy Wise 프로그램 76
<표 1-20> 캘리포니아 Experience Unlimited 77
<표 1-21> 일본 진로선택제도 78
<표 1-22> 오므론의 생애설계 연수 프로그램 80
<표 1-23> 동경 일 센터의 미들과정의 2단계 기본 세미나 82
<표 1-24> 동경 일 센터의 미들과정의 2단계 선택과정 82
<표 1-25> 지멘스의 컴파스 프로세스(compass process) 프로그램 85
<표 2-1> In-house 방식 센터의 컨설턴트 직무내용 110
<표 2-2> 재취업지원프로그램 대상의 특성 및 목표 125
<표 2-3> 진로설계프로그램 사례 126
<표 2-4> 재취업프로그램 사례 128
<표 2-5> 창업프로그램 사례 129
<표 2-6> 생애설계프로그램 사례 130
<표 2-7> 정년퇴직 예정자 프로그램 사례 131
<표 2-8> 임원프로그램 사례 132
<표 2-9> 재취업지원프로그램 전체 모듈 사례 133
<표 2-10> 재취업지원서비스의 교육효과모델 167
<표 2-11> 재취업지원서비스의 성과와 관련 인터뷰 내용 168
<표 2-12> 전직지원서비스 효과분석을 토대로 한 개선방향 169
그림 목차
[그림 1-1] 재취업지원서비스(전직지원프로그램)의 실시 절차 40
[그림 1-2] A사의 전직지원 프로세스 44
[그림 1-3] B사의 전직지원프로그램 진행 프로세스 47
[그림 1-4] B사의 전직지원프로그램 실행 지원 개념도 48
[그림 1-5] E사의 전직지원프로그램 내용 52
[그림 1-6] G사의 전직지원프로그램의 프로세스 58
[그림 1-7] G사의 재취업 프로그램 진행 프로세스 59
[그림 1-8] G사의 창업 프로그램 진행 프로세스 60
[그림 1-9] G사의 경력관리 프로그램 60
[그림 1-10] H사의 전직지원서비스 참여자 혜택 62
[그림 1-11] H사의 창업 프로그램 프로세스 62
[그림 1-12] H사의 임원 프로그램 설계 프로세스 63
[그림 1-13] I사의 일반형 전직지원프로그램 64
[그림 1-14] I사의 맞춤형 전직지원프로그램 65
[그림 1-15] I사의 생애경력관리 프로그램 66
[그림 1-16] J센터의 전직스쿨프로그램 내용 68
[그림 1-17] 퍼스펙티브 50플러스 취업협력공동체의 구직지원 모델 88
[그림 2-1] 재취업지원서비스 도입 프로세스 95
[그림 2-2] 혼합방식 운영 형태 105
[그림 2-3] 운영형태의 순차적 전환 105
[그림 2-4] 컨설팅회사의 조직 구성 사례 106
[그림 2-5] In-house 방식의 조직구성 사례 108
[그림 2-6] In-house 방식 센터의 직무내용 109
[그림 2-7] In-house 방식 센터의 내부 구성 예 113
[그림 2-8] 전체 서비스 프로세스(재취업지원 중심)의 예 114
[그림 2-9] 재취업지원 프로세스의 예 115
[그림 2-10] 재취업 및 창업컨설팅 프로세스의 예 116
[그림 2-11] 컨설팅 역량강화 Basic Coursework의 사례 118
[그림 2-12] 진로설계의 이해 124
[그림 2-13] 강의 평가 사례 138
[그림 2-14] 프로그램 사전 설문 사례 139
[그림 2-15] 취업알선 프로세스 사례 141
[그림 2-16] 구직활동 점검을 위한 체크리스트 사례 143
[그림 2-17] 전 행동의 구성요소 144
[그림 2-18] 재취업지원 상담의 요소 145
[그림 2-19] 상담 실적 관리의 예 158
[그림 2-20] 전직 실적 관리의 사례 159
[그림 2-21] 기업발굴 실적 관리의 예 161
[그림 2-22] 설문 결과의 사례 163
[그림 2-23]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설문 결과의 사례 163
[그림 2-24] 강의 평가결과의 사례 164
[그림 2-25] 개편 후 프로그램 구성 170
[그림 2-26] 전직지원컨설턴트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술 172
[그림 2-27] 역량강화프로그램의 예 173
[그림 2-28] 전문가 양성 방안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