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시재생론

도시재생론

(구도심 & 원도심)

이영행, 이태광 (지은이)
박영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690원
22,310원 >
23,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300원
20,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400원 -10% 920원 15,640원 >

책 이미지

도시재생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시재생론 (구도심 & 원도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부동산
· ISBN : 9791130315775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2-08-10

책 소개

본 연구는 한국보다 도시재생법이 19년 앞서 입법화되었고, 도시재생의 과정에서 민간참여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일본의 도시재생법을 비교·분석하여 한국 도시재생의 활성화 방안과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Ⅰ 도시재생의 의의와 추진현황

A. 도시재생의 의의 2
A-1. 도시재생의 등장과 개념 2
A-1-a. 도시재생의 등장 2
A-1-b. 도시재생의 개념 3
A-2. 한국 도시재생의 범위와 목표 및 방향 5
A-2-a. 도시재생의 범위(공간적, 내용적 범위) 5
A-2-b. 도시재생의 목표 및 방향 7
A-3. 도시재생의 필요성 8
A-4. 한국 도시재생 계획수립 체계 및 지원조직 10
A-4-a. 도시재생 계획수립 체계 10
A-4-b. 도시재생 추진조직 11

B. 도시재생사업의 유형 13
B-1. 도시재생사업의 유형화 13
B-2. 대상에 따른 도시재생사업의 유형 15
B-3. 접근방법에 따른 도시재생사업 유형 18
B-4. 한국의 도시재생사업 유형 23

C. 도시재생사업의 추진현황 25
C-1. 한국의 도시재생사업 추진현황 25
C-1-a. 선도지역사업 추진현황 25
C-1-b. 일반지역사업 추진현황 27
C-1-c. 문재인 정부 도시재생 뉴딜사업 추진현황 29
C-1-d. 한국 도시재생사업 현황 37

D. 도시정비법과 도시재생법의 차이 39
D-1. 한국의 도시계획법제 39
D-1-a. 한국의 도시계획법제 구분 39
D-2. 기존 도시정비법과 도시재생법의 차이점 40
D-2-a.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 40
D-2-b. 「도시재정비촉진을 위한 특별법」(「도촉법」) 41
D-2-c. 「도시재생법」 43
D-2-d. 기존 도시정비법과 도시재생법의 차이 44
D-3. 기존 도시재개발법의 평가 46
D-3-a. 도시재개발법의 역사 46
D-3-b. 「도정법」과 「도촉법」의 평가 47
D-3-c. 기존 도시정비법 성과와 한계 49
D-3-d. 기존 도시재개발법의 문제점 50
D-4. 도시재생으로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 51

Ⅱ 한국과 일본의 도시재생법 비교분석

A. 한국과 일본의 법리적 측면 비교 54
A-1. 한국의 「도시재생법」 54
A-1-a. 한국의 「도시재생법」 구성 및 주요내용 54
A-1-b. 한국의 「도시재생법」 특징 58

B. 일본의 「도시재생특별법」 도시재생 관련법 60
B-1. 일본의 도시재생 관련법 체계 60
B-1-a. 민간 활력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재생특별법」 60
B-1-b. 원도심 기능 및 활력을 도모하는 「중심시가지활성화법」 61
B-1-c.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지역재생법」 62
B-1-d. 국가의 신성장 동력에 대한 창출을 위한 「총합특별지구법」 63
B-1-e. 국제적 경제활동 거점 마련 위한 「국가전략특별구법」 64
B-1-f. 일본의 도시재생 관련법 특징 66
B-2. 일본의 「도시재생특별법」 구성 및 주요내용 68
B-3. 일본의 「도시재생특별법」 중 민간참여 관련 법규 69
B-3-a. 도시재생민간사업자의 도시재생긴급정비협의회 조직 요청 70
(1) 도시재생긴급정비지역에서의 도시재생긴급정비협의회 조직 요청 70
(2) 민간도시재생사업계획의 인정 70
(3) 민간도시재생사업계획의 인정기준 등 71
(4) 민간도시재생사업계획 인정에 관한 처리 기간 71
(5) 민간도시재생사업계획 계획인정의 통지 72
(6) 민간도시재생사업계획 변경 72
(7) 민간도시기구가 실시하는 도시재생사업 지원 업무 72
(8) 「민간도시개발법」 특례 73
B-3-b. 도시재생정비계획에 관한 특별조치(「도시재생특별법」 제5장) 74
(1) 민간도시재생정비사업계획의 인정 74
(2) 민간도시재생정비사업계획의 인정기준 등 74
(3) 민간도시재생정비사업계획 인정의 통지 75
(4) 민간도시재생정비사업계획 변경 75
(5) 민간도시기구가 실시하는 도시재생정비사업 지원 업무 75
B-3-c. 도시편리증진 협정(「도시재생특별법」 제5장 6절) 76
(1) 도시편리증진 협정 76
(2) 민간도시기구가 실시하는 도시편리증진 협정추진 지원업무 77
B-3-d. 입지적정화계획에 관한 특별 조치(「도시재생특별법」 제6장) 77
(1) 민간유도시설 등 정비사업계획의 인정 77
(2) 민간유도시설 등 정비사업계획의 인정기준 등 78
(3) 유도사업계획 인정의 통지 79
(4) 민간유도시설 등 정비사업계획 변경 79
(5) 유도사업계획의 인정 취소 79
(6) 민간도시기구가 실시하는 유도시설 등 정비사업 지원 업무 80
(7) 「민간도시개발법」의 특례 81
B-3-e. 도시재생 추진법인(「도시재생특별법」 제8장) 81
(1) 추진 법인의 업무 81
(2) 민간도시기구가 실시하는 추진법인 지원업무 83

C. 한국과 일본의 도시재생법 비교분석 결론 85
C-1. 한국과 일본의 도시재생법 비교 85
C-2. 한국과 일본의 도시재생법 차이점 비교 91
C-3. 소결론 및 시사점 95

Ⅲ 한국과 일본의 도시재생사업(경제)적 비교

A. 일본의 도시재생사업에 대하여 101
A-1. 일본의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구조 101
A-2. 일본의 도시재생사업 특징 102
A-2-a. 민간 활력을 중심으로 한 도시재생사업 102
(1) 민간 활력의 도시재생긴급정비지역 등 지정 기준 102
(2) 민간 활력의 도시재생긴급정비지역 추진 103
A-2-b. 민간의 공익시설 정비 등에 의한 전국도시재생사업 105
(1) 민간 공·공익시설의 전국도시재생사업 추진 105
(2) 민간 공·공익시설의 도시재생정비계획 주요 내용 106
A-2-c. 토지이용유도 등에 의한 콤팩트시티(집약도시) 추진 사업 108
A-3. 일본의 도시재생사업 시사점 110
A-3-a. 일본식 도시재생 ‘민관 상생’의 경험 110
A-3-b.일본 도시재생사업의 구조와 방식의 시사 111

B. 한국의 도시재생사업에 대하여 113
B-1. 한국의 도시재생사업 구조 113
B-1-a. 한국의 도시재생이란? 113
(1) 도시 쇠퇴지표 114
(2) 도시재생 추진절차 115
(3) 추진배경 116
(4) 국가 도시재생 비전 및 목표 116
(5) 국가 도시재생 중점 시책 117
(6) 도시재생 선도지역 지정 기준 등 117
(7) 도시재생에서 각 주체별 역할 117
B-1-b. 도시재생 뉴딜사업 유형 119
B-1-c. 기존 도시재생과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과의 차이점 120
B-2. 한국의 도시재생사업 구조 121
B-2-a. 도시재생사업의 정의 121
B-2-b. 도시재생사업의 구조 121
B-3. 「도시재생법」 제정 이전의 도시재생사업 122
B-3-a.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사업과 시범마을 만들기 사업 122
B-3-b. 지역행복생활권사업 내에서의 도시 활력 증진사업 123
B-3-c. 새뜰 마을사업 124
B-3-d. 국가도시재생 기본방침 2013년 12월 31일 공고 125
B-3-e. 2020년 소규모재생사업 75곳 선정 136
B-4.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정책 141
B-4-a. 도시재생 뉴딜정책 공약 및 추진 141
B-4-b. 도시재생 뉴딜사업 유형 144
B-4-c. 기존 도시재생과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과의 차이점 145
B-4-d. 2020년 신규 사업은 3단계 절차를 거쳐 선정 145
B-4-e. 2020년 주요 사례와 활성화계획도 ‧ 실행계획도 147
B-4-d. 20.11월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그린도시재생 선정 주요내용 154

C. 한국과 일본의 도시재생 사업(경제)적 비교결과 158
C-1. 한·일 도시재생사업의 현황비교 158
C-2. 한·일 도시재생사업의 구조비교 159
C-2-a. 한국의 도시재생사업 구조 159
C-2-b. 일본의 도시재생사업 구조 160
C-3. 한·일 도시재생사업의 내용비교 161
C-3-a. 한국 도시재생사업 161
C-3-b. 일본 도시재생사업 162
C-4. 한·일의 민간 도시재생사업 비교 162
C-4-a. 한·일의 민간 도시재생사업 비교 162
C-4-b. 한국과 일본의 도시재생의 진행결과의 비교 164
C-4-c. 한국과 일본의 도시재생의 관련법의 비교 165
C-4-d. 도시재생과 일본의 경제 165

Ⅳ 민간 도시재생 활성화 방안의 실증분석

A. 일본의 민간 도시재생 법률적 측면사례 170
A-1. 일본의 민간참여 관련 도시재생 법규 170
A-2. 일본의 민간중심 도시재생 172
A-2-a. 도시재생긴급정비지역·특정도시재생긴급정비지역 제도 172
A-2-b. 도시재생긴급정비지역·특정도시재생긴급정비지역 지원제도 174
(1) 법제상 지원제도 174
(2) 재정지원 175
(3) 금융지원 176
(4) 세제지원 176
A-2-c. 민간도시재생사업을 위한 지역정비방침 및 정비계획 수립 177

B. 일본의 민간 도시재생사업(경제)적 측면사례 178
B-1. 일본의 민간 도시재생사업 현황과 지원제도 178
B-1-a. 일본의 민간 도시재생사업 현황 178
B-2. 일본의 민간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184
B-2-a. 중심시가지형 활성화제도 184
(1) 법령의 목적과 중심시가지의 선정 184
(2) 중심시가지 활성화의 사업내용 186
(3) 사업영역과 변화와 기본계획과 기본방침의 법령 186
(4) 중심시가지 활성화사업과 관련된 재정지원 제도 189
B-3. 민간참여를 통한 다카쓰키시(高槻市) 중심시가지 활성화 사례 192
B-3-a. 다카쓰키시(高槻市) 중심시가지 활성화사업 개요 192
B-3-b. 다카쓰키시(高槻市) 중심시가지 활성화사업 내용 195

C. 도시재생의 민간참여의 필요성 197
C-1. 민간참여의 필요성 197
C-2. 서울시 도시재생 추진의 한계와 민간참여 지원방안 199
C-2-a. 서울시 도시재생의 한계와 과제 199
C-2-b. 서울시 민간참여를 유인하기 위한 지원방안 201

D. 한국의 도시재생 소결론 및 시사점 206
D-1. 한국의 「도시재생법」 보완 필요성 206
D-2. 한국적 도시재생사업 모델 208
D-2-a. 한국의 도시재생사업 유형 208
D-2-b. 한국 도시재생사업의 유형에 따른 사업현황 210
D-3. 민간참여를 통한 중심시가지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필요 211
D-4. 한국적 도시재생사업 모델 214

Ⅴ 실증분석 연구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18
A-1. 연구의 배경 218
A-2. 연구의 목적 219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223
B-1. 연구의 범위 223
B-2. 연구의 방법 224

C. 선행연구 고찰 227

D. 표본적 특성 230

E. 차이분석 특성 231
E-1.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231
E-2. 문항별 차트(막대그래프, 원형 그래프) 231

F. Kruskal-Wallis Test 233

G. 명목분석(단수응답) 그룹 간 비교 240
G-1. (단수응답 2가지 그룹 간 비교): 개인정보의 특성 240
G-2. (단수응답 2가지 성별에 따른 명목빈도와 비율분석) 246
G-3. (단수응답 2가지 직업에 따른 명목 비율분석) 252
G-4. (단수응답 2가지 학력에 따른 명목빈도와 비율분석) 259

H. 명목분석(복수응답 3가지) 그룹 간 비교, 그룹 내 비교 266
H-1. (복수응답 3가지 성별에 따른 명목빈도와 비율분석) 266
H-2. (복수응답 3가지 직업에 따른 명목비율분석) 266
H-3. (복수응답 3가지 공동 가족 수에 따른 명목비율분석) 266
H-4. (복수응답 3가지 학력에 따른 명목빈도와 비율분석) 266
H-5. (복수응답 3가지 혼인에 따른 명목빈도와 비율분석) 267
H-6. (복수응답 3가지 소득에 따른 명목빈도와 비율분석 267

I. 그래프 분석 268
I-1. 그래프 분석과 해설 268
I-2. 그래프 분석의 소결론 274

Ⅵ 결론 및 시사점
A. 결론 및 요약 276
B. 한국 도시재생의 발전방안 280
C. 연구의 한계 285

참고문헌 286
설문지 292

저자소개

이태광 (지은이)    정보 더보기
* 미국 Midwest University 글로벌 부동산학 박사 * 미국 Midwest University Ph.D 리더쉽 경영학 박사 * 대한법률부동산연구소 소장(현) * 미국 Midwest University 대학원 부동산학 석박사과정 교수(현) *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부동산금융자산학과 교수(현) * 한국부동산경매학회 수석 연구 / 강원도 회장(현) * 강원도 영동 KBS, MBC 방송 전담 자문(현) * 한국 부동산 정보 연합회 강원도 본부장(현) * 강원도립대 평생교육원 부동산 전담 교수(전) * 경동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부동산 전담 교수(전) * 가톨릭관동대 최고경영자과정 지도 교수(전) * 전국부동산대학원총연합회 강원도지구당(전)
펼치기
이영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요 논문> 「4.1 부동산정책의 한계성에 대한 소고」(세종도시부동산포럼) 「ESG 경영이 고객니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학술상, 서울대 국제대학원 발표논문) 「1인가구의 주거선택요인에 관한 연구」(한국주거환경학회)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의 공익성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우수논문, 한국부동산경매학회) 「건축물규제평가요소 분석 및 사례연구」(최수우논문상, 한국부동산경매학회) 「도시계획시설(하수관로) 및 옥외간판에 관한 연구」(우수논문상, 한국부동산경매학회) 「청년독신가구의 원룸선호도·만족도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맹지탈출에 관한 연구」(엠뉴스 칼럼 1~5) 「천안시지구단위계획 구역의 현재와 비전」(중앙일보 시리즈 게재) 「도시재생활성화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최우수논문상, 한국부동산경매학회) 등 <주요 저서> 『1인가구와 원룸·도시형생활주택』(랜드앤마린, 2010) 『부동산경매론』(공저, 박영사, 2021) <개발프로젝트/자문/용역> 아산, 탕정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사업 업성저수지 전원택지 개발사업 전원택지 개발사업 교회부지 용도변경 테마파크 조성사업 주차장 용지 개발 오피스텔 수요 및 입지분석 도시재생사업(재개발/재건축, 소규모 개발) 토지보상 아파트부지 개발 상가개발 및 꼬마빌딩 입지분석 등 <주요 경력(현재)> 단국대학교 법무행정학과 학과장 한국부동산경매학회장·법제연구원 부원장 천안시, 도 규제개혁위원회 회원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glp41) 수석부회장 천안시청 생활법률상담관(부동산, 임대차 등)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특수법무학과 주임교수 미국, 온라인과정, 미드웨스트대학교(부동산&경매 전공, 석박사 과정) 주임교수 충청남도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75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