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환경학
· ISBN : 9791130322919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5-06-15
책 소개
환경은 더 이상 일부 전문가들만의 관심사가 아닌, 우리 모두의 생존과 직결된 삶의 핵심 의제가 되었으며, 그만큼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시각과 해법도 더욱 정교하고 다층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학회의 사명을 되새기며, 학회의 전문가들이 그간 축적해 온 지식과 경험을 정리하고, 향후 환경정책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입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인 학회 전문가들이 힘을 모아 집필한 이 책은, 환경정책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지식을 원하는 독자들에게 하나의 지식 지도이자 통찰의 창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 책은 환경 분야의 핵심 이슈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국내외 환경정책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총 8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부는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역사,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과 전략을 다룹니다. 인류가 직면한 환경적·사회적·경제적 도전 속에서 균형 잡힌 발전의 길을 모색합니다. 제2부는 기업과 정부, 시민사회가 함께 실현해야 할 지속가능성의 지표로서의 ESG와 탄소중립의 개념을 다루고, 관련 정책 동향 및 실천 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제3부에서는 점점 가속화되는 기후변화의 현실을 진단하고, 이를 완화하고 적응하기 위한 국내외 대응 전략과 사례를 조망합니다. 기후위기는 미래의 문제가 아닌 현재의 위기임을 다시금 인식하게 합니다. 제4부는 국제사회의 환경 거버넌스, 다자간 협력체계를 통해 환경문제를 해결하려는 글로벌 노력의 흐름을 살펴봅니다. 제5부는 직면한 환경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 협력 모델을 다룹니다. 제6부에서는 자연이 주는 다양한 혜택인 생태계 서비스를 설명합니다. 제7부는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환경관리 방안을, 제8부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환경관리의 새로운 가능성을 살펴봅니다.
이 책은 환경정책에 관심 있는 일반 독자부터 정책 입안자, 연구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독자층을 위한 환경지식의 안내서가 되고자 합니다.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문제를 이해하고, 보다 지속가능한 미래로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책을 출간해 준 박영사에 감사를 드립니다. 이 책이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는 모든 이들에게 유용한 길잡이가 되기를 진심으로 기대합니다. 그리고 지난 30년 동안 학회와 함께 걸어온 모든 회원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목차
PART 1 지속가능발전과 ESG: 기초 이해
1.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지속가능발전 3
정영근_선문대학교 교수
2. GDP의 한계를 넘어, 지속 가능성을 반영하는 GPI 11
김경아_협성대학교 초빙교수
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소통과 상생의 리더십 19
김익수_환경일보 편집대표이사
4.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ESG 경영 25
노상환_경남대학교 교수
5. ESG활동과 혁신: 비용절감과 이윤확대의 숨겨진 힘 33
강상목_부산대학교 교수 / 김일중_부산대학교 겸임교수
PART 2 ESG와 탄소중립: 실천 전략
1. ESG와 탄소중립 43
1. 김성희_한양대학교 교수
2. ESG 공시 기준 동향과 시사점 49
고문현_숭실대학교 교수
3. 열에너지 분야의 탈탄소화 정책이 필요하다 59
조용성_고려대학교 교수
4. 바이오연료와 온실가스 감축 63
김기은_서경대학교 교수
5. 탄소중립교육: 미래를 위한 필수 과제 71
남영숙_한국교원대학교 명예교수
PART 3 기후위기와 지속가능한 도시
1. 기후위기 도시해법 79
김정곤_어반바이오공간연구소 소장
2. 건축과 기후위기 85
고은태_중부대학교 교수
3. 디지털 기반 탄소중립도시 97
반영운_충북대학교 교수
4. 온도를 빚는 도시, 기온과 도시 형태의 관계 105
김문현_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
5. 기후위기 대응, 이제는 적응이다 111
송영일_한국환경연구원 명예연구위원
PART 4 글로벌 환경정책과 경제적 접근
1. 한국 환경정책의 역사, 비전, 과제 117
문태훈_중앙대학교 명예교수
2. 환경쿠즈네츠 곡선: 경제성장과 환경오염의 관계 125
안대한_용인시정연구원 초빙부연구위원
3. 환경성과평가 지수개발은 왜 필요한가? 131
한택환_서경대학교 명예교수
4. 글로벌 환경성과와 한국의 현주소 135
박순애_서울대학교 교수
PART 5 국제 환경협력과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
1. 환경정책에서 공간정보의 전략적 활용 147
이상혁_한국환경연구원 박사
2. 녹색 ODA의 지원추세와 개선 방향 155
윤종한_고려대학교 겸임교수
3. 자치단체의 ‘국제환경도시’ 전략과 국제환경네트워크 163
신동애_기타큐슈대학교 교수
PART 6 자연이 주는 혜택: 생태계 서비스
1. 도시 숲의 치유 효과 173
변병설_인하대학교 교수
2. 자연기반해법은 무엇인가? 179
황상일_한국환경연구원 선임연구위원
3. 생물다양성 시대에서 생태복원 187
손승우_한국환경연구원 부연구위원
4. 습지생태계 가치 평가 193
나미연_생태계서비스연구소 초빙연구위원
5. 환경과 풍수 203
정경연 _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교수
PART 7 생활 속 환경관리: 우리의 선택
1. 무공해차와 수송부분 친환경 선택 213
임동순_동의대학교 교수
2. 물질이 순환하는 지속가능한 사회 219
김은아_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
3. 내가 사는 지역은 안전한 곳인가? 227
박소연_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사
4. 미세먼지와 코로나-19의 위험한 동행 235
문수호_(재)다산지역발전연구원 원장
PART 8 기술과 지속가능성: 미래를 위한 혁신
1. 환경과 AI
: 인공지능을 이용한 환경관리와 기후변화 대응 245
김철민_성결대학교 교수
2. 에너지 전환과 인공지능 혁명
: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도전과 기회 253
권재원_아주대학교 특임교수
3. 생태전환시대, 섬의 환경관리 261
홍선기_국립목포대학교 교수
4. 댐 건설사업은 기후위기의 대안인가? 269
엄두용_환경과지역(주) 대표
5. 해안도시 기반 시설 관리 275
홍창유_국립부경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