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율주행자동차와 도로교통법

자율주행자동차와 도로교통법

선종수, 도규엽, 차종진, 배상균, 김정진 (지은이)
박영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450원
14,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000원 -10% 750원 12,750원 >

책 이미지

자율주행자동차와 도로교통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율주행자동차와 도로교통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91130342566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가 2019년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으로 “초연결사회에서의 ‘인간-기술-제도’ 공진화에 따른 법제도 변화와 사회적 대응 방향”이라는 대주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과정에서 국내 전문가들이 힘을 모아 집필한 것이다.

목차

제1장  서론
I. 자율주행자동차의 등장과 개념 13
1. 자율주행자동차의 등장 13
2.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념 - 기술단계별 개념을 중심으로 14
II. 자율주행기술의 핵심과 발전 동향 15
1. 자율주행자동차의 기술요소 15
2. 자율주행자동차의 발전 동향 19

제2장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한국의 도로교통법령의 현황
I. 서론 23
II. 자율주행자동차와 ‘자동차’ 관련 법령 24
1. 서설 24
2. 자동차관리법상 ‘자율주행자동차’ 25
3.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운행요건 25
4. 시험운전자, 탑승자 및 자율주행자동차의 종류 25
5. 운전석 없는 차량(B·C형)에 대한 요건 30
6. 자율주행자동차의 임시운행 31
III. 자율주행자동차와 ‘운전자’ 관련 법령 32
1. 서설 32
2. 도로교통법상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입법 33
3. 도로교통법상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정의 규정 34
가. 자율주행시스템 34
나. 자율주행자동차 35
다. 자율주행자동차 운전자 준수사항 35
IV. 자율주행자동차와 ‘도로’ 관련 법령 37
1. 서설 37
가. 도로법상 ‘도로’ 38
나. 도로교통법상 ‘도로’ 38
다. 유료도로법상 ‘도로’와 ‘유료도로’ 38
라. 농어촌도로 정비법상 ‘도로’와 ‘농어촌도로’ 39
마. 도로관리체계 39
2. 자율주행자동차의 도로 운행 여부 41
3.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 42
4.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45
V.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에 따른 도로교통 관련 법령 쟁점과 개선방안 49
1.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기본법은 무엇인가? 49
2. 자율주행자동차의 ‘운전자’는 누구인가? 53
가. ‘운전’과 ‘운전자’ 53
나. ‘운전자’와 ‘운행자’ 55
다. 도로교통에 관한 국제협약 57
3. 자율주행을 위한 ‘운전면허제도’의 검토 60
4. 자율주행을 위한 도로 관리체계 검토 62
5. 자율주행자동차 운전자의 책임 67
가. 서설 67
나. 자율주행시스템의 책임 67
VI. 결론 69

제3장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미국의 법제 현황
I. 미국의 자율주행자동차 정의 73
II. 미국의 연방 법제 현황 73
1. 연방의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정책 73
가. 연방 자율주행자동차 정책(Federal Automated Vehicles Policy)(2016) 73
나. 자율주행시스템: 안전에 대한 비전 2.0(Automated Driving Systems: A Vision for Safety 2.0)(2017) 74
다. 교통의 미래에 대한 준비: 자율주행자동차 3.0(Preparing for the Future of Transportation: Automated Vehicles 3.0)(2018) 76
라. 자율주행자동차 기술 분야에서의 미국의 리더십 확보: 자율주행자동차 4.0 (Ensuring American Leadership in Automated Vehicle Technologies: Automated Vehicles 4.0(2020) 78
마. 자율주행자동차 종합계획(Automated Vehicles Comprehensive Plan)(2021) 78
바. 연방 차원의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법률의 제정 현황 79
III. 주 차원의 법제 현황 84
1. 미국 각 주의 자율주행자동차 법제 현황 84
2. 미국 각주의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법제의 특징적 요소 86
가. 애리조나주 86
나. 알칸소주 87
다. 플로리다주 87
라. 조지아주 87
마. 아이오와주 87
바. 미시간주 88
사. 네브래스카주 88
아. 네바다주 88
자. 뉴햄프셔주 89
차. 노스캐롤라이나주 89
카. 노스다코타주 89
타. 펜실베니아주 89

제4장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독일 법제 발전 동향
I. 서론 93
II. 2017년 도로교통법 개정 93
1. 배경 93
2. 용어의 사용과 적용대상 95
3. 개정 조문의 내용 96
가. 자동주행자동차의 허가 등 96
나. 운전자의 주의의무 경감과 제어권 인수의무 99
다.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데이터의 저장 등 100
III. 자동화되고 네트워크화된 자동차교통을 위한 윤리지침 103
1. 배경 103
2. 주요 내용 104
IV. 2021년 「도로교통법」 개정 108
1. 배경 108
2. 주요 개정내용 109
가. 제1d조 - 지정된 통행구역에서의 자율주행자동차 109
나. 제1e조 -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 이의제기 및 취소소송 111
다. 제1f조 - 자율주행자동차의 작동에서 관계자의 의무 116
라. 제1g조 - 정보처리 118
마. 제1h조 - 자동화된 주행기능 그리고 자율주행기능의 사후 작동 122
바. 제1i조 - 자동화된 그리고 자율화된 주행기능의 검증 123
V. 결론 124

제5장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일본의 도로교통법령 발전 동향
I. 서론 129
II. 2018년 “자동운전에 관한 제도정비 대강(大綱)” 131
1. 자동운전기술의 검토 범위 131
가. 자가용 승용차의 검토 대상 131
나. 물류 서비스의 검토 대상 132
다. 이동 서비스의 검토 대상 132
2. 분야별 기본적 정책의 방향성 132
가. 자동운전에 관한 제도정비 개선방안 132
나. 자동운전에 관한 제도의 검토 추진 방향 134
III. 2019년 개정 도로교통법상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념 142
1. 법 개정 경위 142
2. 자율주행자동차의 정의 143
3. 2019년 일본 도로교통법 등 개정 세부 내용 145
가. 자동운전장치의 정의 등에 관한 규정의 정비 145
나. 작동상태기록장치에 의한 기록 등에 관한 규정의 정비 149
다. 자동차운행장치를 사용하여 운전하는 경우에 운전자의 의무에 관한 규정의 정비 156
4. 검토 162
IV. 2022년 도로교통법 개정 동향 165
1.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도로교통법 개정 경위 165
2. 특정 자동운행의 정의 166
3. 특정 자동운행 허가제도 167
4. 특정 자동운행 실시자 등의 준수사항 168
5. 공안위원회의 자동운행 계획 및 준수사항 위반 시의 행정처분 등 170
가. 행정처분 주요 신설 규정 170
나. 도로교통법상 특정 자동운행 관련 주요 벌칙 규정 173
V. 결론 174

제6장  중국의 자율주행자동차 기술발전을 위한 도로교통법제
I. 시작하며 179
II. 중국의 자율주행자동차 운영 및 기술보유 현황 179
1. 자율주행자동차 시장규모 180
가. 자율주행자동차 보급 및 기술발전 현황 180
나. 자율주행자동차 생산량 및 전망 183
다. 시장규모와 전망 184
2. 자율주행기술 현황 185
가. 자율주행 5G 네트워크 185
나. 자율주행기술 관련 특허 현황 187
3. 자율주행자동차의 기능별 필요기술 188
III. 자율주행자동차의 기본정책과 도로주행 관련 법제 현황 190
1.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기본 정책 및 법제 개설 190
가. 국문원의 「중국제조2025(中国制造2025)」 로드맵 190
나. 스마트네트워크 발전을 위한 「자동차산업 중장기 발전계획(汽车产业中长期发展规划)」 190
2. 2020년 교통운수부 「10대 자율주행자동차 정책(2020年交通运输部十大自驾驶政策)」 191
가. 개요 192
나. 주요 내용 192
3. 자율주행자동차의 도로교통법령 현황 192
4. 자율주행자동차 발전 및 지원을 위한 주요 법률 현황 195
가. 개요 195
나. 도로교통 자율주행자동차 기술발전 및 응용 촉진에 관한 지도의견(关于促进道路交通自动驾驶技术发展和应用的指导意见) 195
다. 스마트네트워크 자동차 도로테스트 관리규범(智能网联汽车道路测试管理规范)(试行) 195
라. 자율주행자동차 지도제작 테스트 및 응용관리 강화에 관한 통지(关于加强自动驾驶地图生产测试与应用管理的通知) 196
마. 표준 및 품질 확립을 위한 「스마트자동차 혁신발전 전략(智能汽车创新发展战略)」 196
바. 중국 운행자동차 스마트운영 발전보고(中国营运车辆智能化运用发展报告) 196
5. 지방정부의 자율주행자동차 발전을 위한 법률 현황 109
IV.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영사례와 도로교통 지원 법률 204
1. 자율주행자동차 기술개발을 위한 도로교통 지원 법률 개요 204
2. 도로주행테스트와 도로교통법령 지원
가. 베이징시의 자율주행 도로테스트 사례와 지원 법령 205
나. 구체적 법률지원과 요구사항 206
다. 자율주행 테스트 장소의 지정 및 교통사고책임보험 가입 207
3. 자율 및 무인 주행면허 취득과 도로교통법령 지원 207
가. 자율 및 무인 주행면허 취득 사례 207
나. 주행면허 취득 관련 지원 법률 208
다. 승객승차 자율 및 무인 주행테스트 요건 208
라. 화물탑재 자율 및 무인 주행테스트 요건 209
4. 스마트 도로 시범 서비스 및 사업 진행 도로교통법령 지원 210
가. 스마트 도로 사업 시범추진 사례 210
나. 스마트 도로 시범 서비스 지원 법률 210
5. 자율주행 인프라 건립과 도로교통법률 지원 211
가. 자율주행 인프라 건립 사례 및 계획 211
나. 자율주행 인프라를 위한 「도로공사의 자율주행 부대시설 총체적 적응에 대한 기술규범 적응(公路工程适应自动驾驶附属设施总体技术规范)」 212
V. 맺으며 212
1. 중국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도로교통법령의 개선방안 212
가. 자율주행자동차 정의의 부재 212
나. 자율주행 도로테스트 시 교통사고처리 규정의 개정 213
2. 한국에의 시사점 214
가. 자율주행기술 발전을 위한 국가실험실 제공 214
나. 다양한 도로교통 법률 지원과 인프라 형성 214

색인 218

저자소개

차종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 독일 보쿰대학교(Ruhr-Bochum-Uni.) 법과대학(법학박사, 형사법) 아주대학교 강사(2015~2019) 한국형사소송법학회 편집위원(2021~현재)
펼치기
배상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이다. 주오대학교(Chuo University)에서 형사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충북대학교, 광운대학교에서 형법, 형사소송법을 강의했다(2015~2024). 주요 저서로 3인 공저 『형사소송법 제3판』(2017), 5인 공저 『자율주행자동차와 도로교통법』(2022) 등이 있다.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검토: 딥페이크(Deepfake) 포르노 규제를 중심으로 ”(2019), “‘도촬행위’ 현상과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성폭력처벌법 제14조를 중심으로”(2016) 등 30편 이상의 논문을 KCI 등재학술지에 게재했으며, “韓国におけるオンライングルーミング規制に関する検討”(2023) 등 10편 이상의 논문을 해외학술지에 게재했다.
펼치기
도규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상지대학교 미래인재대학 경찰법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법학과(법학박사, 형사법) 한국형사소송법학회 집행이사 한국산림행정학회 연구이사 한국비교형사법학회 감사 경찰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제위원 강원도의회 지방임기제공무원 임용시험 면접위원 역임
펼치기
선종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선임연구원 동아대학교 대학원 법학과(법학박사, 형사법) 한국해양대학교, 경남대학교 강사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특별연구원 중국서남정법대학 응용법학원 방문교수(2016~2018) 법제처 국민법제관(2022~현재)
펼치기
김정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서남정법대학 인공지능법학원 교수 중국정법대학교 민상경제법학원(법학박사, 민사법) 대한민국 국회 국회입법지원위원(2013~현재) 中国海南国际仲裁院 중재인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81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