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 법학개론

신 법학개론

(제7판)

김영규, 나달숙, 박성혜, 박영준, 박종선, 배유진, 안은진, 이우진, 최호진, 하정철 (지은이)
박영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800원
25,2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400원 -10% 1120원 19,040원 >

책 이미지

신 법학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 법학개론 (제7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91130342849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22-09-01

책 소개

총론인 제1부 법의 기초이론과 각론으로서 제2부 공법, 제3부 사법, 제4부 사회법, 제5부 소송법 등 5개 부분으로 나누어 실체법과 절차법의 기본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제7판에서는 최근에 격변하는 사회변화에 따른 관련 단행법과 법조문의 제정과 개정 및 폐기를 빠짐없이 반영하였다.

목차

제1부 법의 기초이론

제1장 법의 본질 3
제1절 법의 개념 3
제2절 법의 구별개념과 법의 구조 8
제2장 법의 존재형식 11
제1절 법원과 법의 존재형식 11
제2절 성 문 법 12
제3절 불 문 법 15
제3장 법의 분류와 체계 20
제1절 서 론 20
제2절 국제법과 국내법 20
제3절 공법과 사법 및 사회법 21
제4절 일반법과 특별법 25
제5절 실체법과 절차법 26
제6절 강행법과 임의법 27
제4장 법의 해석 29
제1절 법의 해석의 의의 29
제2절 법의 해석의 방법 29
제5장 법의 적용과 효력 35
제1절 법의 적용 35
제2절 법의 효력 36
제6장 법률관계와 권리․의무 40
제1절 법률관계 40
제2절 권리와 의무 41
제3절 권리의 분류 45

제2부 공 법

제1편 헌 법 53
제1장 헌법총론 54
제2장 대한민국헌법 총설 63
제1절 대한민국의 구성요소 63
제2절 헌법의 기본질서 65
제3절 제도적 보장 68
제3장 기 본 권 72
제1절 기본권 총론 72
제2절 인간의 존엄과 가치․행복추구권․평등권 78
제3절 평 등 권 79
제4절 자유권적 기본권 81
제5절 참 정 권 90
제6절 청 구 권 91
제7절 사 회 권 93
제4장 국가권력구조 96
제1절 국가권력구조의 의의 및 근본이념 96
제2절 국가권력구조의 구성원리 97
제3절 정부형태 98
제4절 국 회 98
제5절 정 부 100
제6절 법 원 101
제7절 헌법재판소 102
제2편 행 정 법 105
제1장 행정과 행정법 106
제1절 행 정 106
제2절 행 정 법 108
제3절 행정의 법률적합성의 원칙(법치행정의 원리) 109
제4절 행정법의 법원(法源) 111
제2장 행정법관계(행정상의 법률관계) 116
제1절 행정법관계의 관념 116
제2절 행정법관계의 내용 119
제3장 행정의 행위형식 122
제1절 행정입법 122
제2절 행정행위 124
제3절 행정계획 131
제4절 기타의 행위형식 132
제4장 행정절차․행정정보 135
제1절 행정절차 135
제2절 정보공개청구권 137
제5장 행정의 실효성 확보 139
제1절 행 정 벌 139
제2절 행정상 강제집행 140
제3절 행정상 즉시강제 142
제4절 행정조사 143
제5절 새로운 수단 144
제6장 국가책임법(배상과 보상) 146
제1절 행정상 손해배상제도(국가배상제도) 146
제2절 행정상 손실보상제도 149
제7장 행정쟁송법 151
제1절 행정심판법 151
제2절 행정소송법 153

제3편 형 법 163
제1장 형법의 개념과 죄형법정주의 164
제1절 형법의 개념 164
제2절 죄형법정주의 167
제3절 형법의 적용범위 173
제2장 범 죄 177
제1절 범죄의 의의 177
제2절 구성요건해당성 181
제3절 위 법 성 189
제4절 책 임 195
제5절 미 수 범 201
제6절 부작위범 203
제7절 범죄가담형태론 207
제3장 형벌과 보안처분 211
제1절 서 론 211
제2절 형 벌 211
제3절 집행유예, 선고유예, 가석방 216
제4절 보안처분 218
제4장 형법각칙 220
제1절 서 설 220
제2절 개인적 법익 221
제3절 사회적 법익 223
제4절 국가적 법익 224
제4편 국 제 법 227
제1장 국제법의 기초 228
제1절 국제법의 의의 228
제2절 국제법의 법원(法源) 229
제3절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 231
제4절 국제법의 주체 233
제2장 국 가 234
제1절 국가의 의의와 권리 의무 234
제2절 국가의 승인 235
제3절 국가의 승계 237
제3장 국가의 관할권 행사와 주권면제 240
제1절 국가의 관할권 행사 240
제2절 국가의 주권면제 242
제3절 외교면제 244
제4장 국가책임 246
제1절 서 론 246
제2절 국가책임의 성립요건 246
제3절 국가책임의 내용 248
제4절 국가책임의 추궁과 외교적 보호권의 행사 248
제5장 조 약 법 250
제1절 조약의 의의 250
제2절 조약의 체결 250
제3절 조약의 발효와 적용 251
제4절 조약의 유보 251
제5절 조약의 해석 252
제6절 조약의 무효와 종료 252
제6장 국가 영역과 해양법 253
제1절 국가 영역 253
제2절 해 양 법 255
제7장 국제기구와 국제분쟁의 해결 259
제1절 국제기구의 의의 259
제2절 국제연합(UN) 259
제3절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260
제4절 국제사회에서의 무력 사용 261
제8장 현대국제법의 전개 263

제3부 사 법

제1편 민 법 267
제1장 총 칙 268
제1절 총 설 268
제2절 권리의 주체 271
제3절 권리의 객체 275
제4절 권리의 변동 276
제2장 물 권 법 283
제1절 총 설 283
제2절 물권의 변동 284
제3절 기본물권 287
제4절 용익물권 290
제5절 담보물권 292
제3장 채 권 법 295
제1절 채권총론 295
제2절 채권각론 305
제4장 가 족 법 322
제2편 상 법 335
제1장 상법의 기초이론 336
제1절 상법의 개념 336
제2절 상법의 이념과 특성 337
제3절 상법의 법원 338
제2장 상법총칙 339
제1절 상 인 339
제2절 상업사용인 339
제3절 상 호 340
제4절 상업장부 341
제5절 상업등기 341
제6절 영업양도 342
제3장 상 행 위 343
제1절 총 칙 343
제2절 각 칙 346
제4장 회 사 350
제1절 총 설 350
제2절 합명회사 352
제3절 합자회사 353
제4절 유한책임회사 353
제5절 주식회사 354
제6절 유한회사 362
제5장 보 험 364
제1절 보험제도의 의의 364
제2절 보험계약 364
제3절 손해보험 366
제4절 인 보 험 366
제6장 어음․수표 368
제1절 어음․수표의 특성과 종류 368
제2절 발 행 369
제3절 배 서 369
제4절 인 수 370
제5절 보 증 370
제6절 지 급 370
제7절 상환청구(소구) 371

제4부 사 회 법

제1편 노 동 법 375
제1장 노동법 총설 376
제1절 노동법의 목적 376
제2절 노동법의 개념 및 규율대상 376
제2장 노동기본권 377
제1절 노동기본권의 의의 377
제2절 근로의 권리 377
제3절 노동3권 378
제3장 개별적 근로관계법 381
제1절 근로기준법 381
제2절 산업안전보건법 384
제3절 남녀고용평등법 385
제4장 집단적 노사관계법 387
제1절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387
제2절 노동위원회법 389
제2편 경 제 법 393
제1장 총 설 394
제1절 경제법의 등장 394
제2절 경제법상의 규제 396
제2장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397
제1절 서 설 397
제2절 시장지배적 지위의 남용금지 398
제3절 기업결합의 제한 400
제4절 경제력 집중의 억제 401
제5절 부당한 공동행위의 제한 402
제6절 불공정거래행위의 금지 404
제7절 사업자 단체의 금지행위 및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제한 405
제3편 사회보장법 409
제1장 사회보장법과 국가 410
제1절 사회보장과 국가 410
제2절 우리나라의 사회보장과 한계점 412
제2장 사회보장기본법 414
제1절 사회보장기본법의 연혁 414
제2절 사회보장기본법의 목적 414
제3절 사회보장기본법의 특성 415
제4절 사회보장기본법의 내용 415
제3장 사회보험법 417
제1절 국민연금법 417
제2절 국민건강보험법 420
제3절 고용보험법 421
제4절 산업재해보상보험법 423
제4장 공공부조법 425
제1절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425
제2절 의료급여법 426
제5장 사회(복지)서비스법 427
제1절 장애인복지법 427
제2절 노인복지법 429
제3절 아동복지법 430

제5부 소 송 법

제1편 헌법소송 433
제1장 헌법소송의 일반이론 434
제1절 헌법소송의 의의 434
제2절 헌법재판부의 구성 및 일반심판절차 435
제2장 헌법소송의 유형 437
제1절 위헌법률심판 437
제2절 탄핵심판 441
제3절 정당해산심판 443
제4절 권한쟁의심판 444
제5절 헌법소원심판 446
제2편 형사소송 451
제1장 형사소송의 기초 452
제1절 형사소송의 의의 452
제2절 형사소송의 이념과 구조 453
제2장 소송의 주체 456
제1절 소송의 주체 456
제2절 법 원 457
제3절 검 사 460
제4절 피 고 인 461
제5절 변 호 인 462
제3장 수사와 공소 464
제1절 수 사 464
제2절 강제처분과 강제수사 469
제3절 수사의 종결 476
제4절 공소의 제기 478
제4장 공 판 481
제1절 공판절차 481
제2절 증 거 490
제5장 재 판 495
제6장 상소․비상구제절차․특별절차 497
제1절 상 소 497
제2절 비상구제절차 498
제3절 재판의 집행과 형사보상 498
제4절 특별절차 499
제3편 민사소송 505
제1장 민사소송과 민사소송법 506
제1절 민사소송 506
제2절 민사소송법 507

제2장 독촉절차와 보전처분 508
제1절 독촉절차 508
제2절 보전처분 509
제3장 소의 제기 510
제1절 소 제기와 당사자처분권주의 510
제2절 소의 종류 510
제3절 소송요건 511
제4절 소송의 객체-소송물 512
제5절 소장 기재사항과 소장심사 513
제6절 소제기의 효과 515
제4장 법 원 516
제1절 법원의 관할 516
제2절 법관의 제척․기피․회피 519
제5장 소송의 당사자 520
제1절 당사자의 확정 520
제2절 당사자능력 521
제3절 당사자적격 521
제4절 소송상의 행위능력(소송능력) 521
제5절 변론능력 522
제6절 소송상의 대리인 522
제6장 변 론 523
제1절 서 론 523
제2절 변론(심리)의 의의 523
제3절 심리에 관한 제원칙 524
제4절 변론의 내용(변론에서의 당사자의 소송행위) 526
제5절 변론기일에 있어서의 당사자의 결석 528
제7장 증 거 529
제1절 증거의 의의 529
제2절 증거방법 529
제3절 증명의 대상 530
제4절 증거조사 530
제5절 자유심증주의 533
제6절 증명책임(입증책임) 533
제8장 소송의 종료 535
제1절 소송종료사유 535
제2절 판결의 선고 535
제9장 판결에 대한 불복절차 538
제1절 상 소 538
제2절 재 심 539
제10장 소액사건심판절차 540
제4편 가사소송 543
제1장 의 의 544
제2장 가사소송절차의 특징 545
제1절 조정전치주의 545
제2절 직권탐지주의 545
제3절 본인출석주의 545
제4절 보도금지 546
제3장 가사비송절차의 특징 547
제1절 개 요 547
제2절 청구의 방식 547
제3절 이해관계인의 참가와 증거조사 548
제4절 라류 가사비송사건 548
제5절 마류 가사비송사건 549
제4장 이행확보 550

색 인 551

저자소개

김영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법과대학, 동대학원 졸업(법학박사) 고려대, 창원대, 서울사이버대, 단국대 강사 고려대학교 연구교수(의사법학연구소) 감정평가사, 공인중개사, 변리사 시험위원 한국법학회, 한국법이론실무학회 부회장 법무부 남북법령연구특별분과위원회 위원장 현, 백석대학교 경찰학부 교수 <주요저서 및 논문> 북한민법연구(공저, 신양사, 2004) 의료과오의 민사책임(공저, 신양사, 2005) 보건의료관계법규(법문사, 2009) 부동산사법(부연사, 2020) 민법총칙(진원사, 2019) 물권법(진원사, 2019) 북한민법 주석(공저, 법무부, 2015) 북한가족법 주석(공저, 법무부, 2015) 통일 이후 민법전 통일화 방안에 관한 연구-물권법을 중심으로-(공저) 2024년 개정된 북한 민법상 물적 담보의 특징과 평가 외 논문 다수
펼치기
나달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 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BK 계약조교수,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회장, 인사혁신처 소청심사위원회 비상임위원, 대전교정청 행정심판위원회 위원 등 현, 백석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대한법학교수회부회장, 한국토지공법학회 부회장,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금정책자문위원, 한국법과인권교육학회 편집위원장, 충남경찰청인권위원회 위원, 수사위원회 위원, 천안지원 조정위원 등 <주요저서 및 논문> 여성과 법률, 헌법(1), 신헌법개론 등 양심의 자유와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연구 경찰상 공무집행방해의 대응현황과 법적 허용수단 탈북자 지원제도 현황과 인권의 법적 보호 방안 체류 외국인의 실태와 여성 이주자의 법적 지위 여군 인권의 실태조사 분석 연구 학령기 아동인권 보장의 전개와 법적 실현 외 논문 다수
펼치기
박종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법학박사) 현, 백석대학교 경찰학부 교수 유관순연구소 소장 법무부 법무자문위원회 남북법령연구 특별분과위원회 위원 대검찰청 전문수사자문위원 대전고등법원 상고심위원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 충청남도 행정심판위원회 위원 한국형사법학회 정회원 유관순열사기념사업회 이사 <주요저서 및 논문> 형사소송법(도서출판 윤성사, 2021) 형법총론(도서출판 삼진, 2017) 형법각론(도서출판 삼진, 2017) 스마트 자치경찰론(청목출판사, 2022) 탐정수사의 이론과 실제(도서출판 한수, 2020) 증명력 판단기준(한국학술정보(주), 2008) 북한형사소송법상 예심제도와 인권 「진술분석」 10년의 성과와 개선방향 전문가 의견조회의 성과와 발전방안 진술조력인 제도의 시행과 향후과제 목격자진술에 의한 범인식별의 신용성 평가 외 다수
펼치기
박성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법학사, 법학석사, 박사과정 수료) (주)기아 재직(법무실) 법무법인 삼흥 재직(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재직(연구원) 이화여대, 백석대, 국민대 등 강사
펼치기
박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졸업(법학석사, 법학박사)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상임연구원 백석대학교 법정학부 교수 미국 UC버클리대학교 로스쿨 Visiting Scholar 사법시험, 공인회계사시험, 세무사시험 출제위원 보험중개사, 손해사정사 시험출제위원 한국상사법학회 부회장 한국경영법률학회 부회장 한국해법학회 회장 한국보험법학회 부회장 현, 단국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교수
펼치기
배유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행정법, IT법) 고려대학교 연구교수(법학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전자법연구센터 책임연구원 백석대, 가천대, 명지대, 단국대, 이화여대 등 강사 한국법과인권교육학회 연구이사 한국사회보장학회 ICT융합이사 현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위원사회복지법제학회 지식분과 위원장 <주요저서 및 논문> 인터넷과 법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전자문서 기반 법률콘텐츠 구조화 -온라인 행정심판에의 활용- IT 컨버전스의 이해와 법․기술 방향 스마트바우처와 법․기술 쟁점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개념확대와 관련하여- 지식관리를 통한 재량기준 구체화 -식품위생법상 ‘청소년 주류제공’ 사건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데이터관리와 법제방향 연구 외 다수
펼치기
안은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과정 수료 이화여자대학교 법과대학 BK21 연구팀 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법과대학 분쟁해결센터 연구원 중앙경찰학교 외래교수 백석대학교 경찰학부 외래교수 <주요저서 및 논문> 미국의 행정분쟁해결법, 분쟁해결과 법(이화여자대학교, 2007)
펼치기
이우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박사, 민법전공) 대구과학대학 부동산과 전임강사 한국토지공사 국토도시연구원 책임연구원 사법시험 출제위원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위원 공인중개사, 가맹거래사, 경비지도사 출제위원 한국부패학회 부회장 현, 백석대학교 경찰학부 교수 <주요저서 및 논문> 채권자위험부담에 관한 연구 대규모개발사업 주변지역의 토지시장 안정화 방안 국외사업 관련 법제도에 관한 연구-몽골을 중심으로 채권자위험부담에 있어서 채무자의 이익상환의무 일의 완성 전 도급인의 계약해제와 손해배상 종교계 대학에 있어서 교직원 채용의 자유와 제한 등 다수
펼치기
최호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박사) 변호사시험 출제 및 채점위원 5·7·9급 공무원시험, 경찰시험 출제위원 한국비교형사법학회 회장 한국형사법학회 부회장 한국형사정책학회 부회장 대법원 양형위원회 전문위원 대검찰청 검찰수사심의회 위원 수원고등검찰청 영장심의위원회 위원 수원고등검찰청 형사상고심의위원회 위원장 서울지방경찰청 경찰수사 심의위원회 위원 서울지방경찰청 시민감찰위원회 위원 현, 단국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교수 <주요저서 및 논문> 형법총론(박영사, 2024) 형법각론(박영사, 2025) 형사소송법강의(준커뮤니케이션, 2020) 사이버범죄와 형사법(준커뮤니케이션즈, 2024) 인공지능과 형법 책임 귀속의 한계와 가능성(2024) 가상자산 발행 및 투자유치에 대한 형법적 검토(2023) 등 다수
펼치기
하정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법학석사(LL.M.) 미국 에모리대학교 법학박사(JD) 미국 뉴욕주 변호사 전 백석대학교 법정경찰학부 조교수 현,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전문위원(가급~3급 상당) <주요저서 및 논문> 변호사와 의뢰인간 사건관련서류 제공의 문제 변호사법상 이익충돌법리의 주관적 적용범위 변호사의 종전 의뢰인과의 이익충돌 비변호사와의 동업금지 원칙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소송대리인과 관련한 법관의 기피사유 등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75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