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연출/연기/제작
· ISBN : 9791130400778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4-07-28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글
머리말
감사의 글
들어가는 글
01 리듬을 만들어 내는 직관
직관적인 사고
리듬을 감지하기
적극적으로 리듬을 감지하기
촬영본에서 리듬을 감지하기
거울뉴런과 리듬
몸의 리듬
리듬으로 생각하기
02 안무와 편집의 유사성
음악의 리듬이 아닌 움직임의 리듬
강약
움직임의 구절
움직임의 구절을 만들 때 고려할 사항
03 타이밍, 속도감, 경로 구성
타이밍
속도감
경로 구성
04 긴장, 이완, 일치
긴장과 이완
일치
긴장, 이완, 일치에 대한 사례연구
05 물리적 리듬, 감정의 리듬, 사건의 리듬
세 가지 움직임
06 물리적 리듬
행위의 재구성
물리적 스토리텔링
편집으로 춤추기
리듬으로 노래하기
물리적 리듬에 대한 사례연구
07 감정의 리듬
준비, 행위, 회복
배우의 행위
비트
감정의 리듬에 대한 사례연구
08 사건의 리듬
사건의 리듬을 구축하기
구조와 리듬을 동시에 구축하기
리듬의 통합
사건의 리듬에 대한 사례연구 1
사건의 리듬에 대한 사례연구 2
09 편집 스타일
몽타주
데쿠파주
몽타주와 데쿠파주, 그 사이의 영역
충돌
연결
충돌과 연결, 그 사이의 영역
스타일에 대한 사례연구
현대 영화의 스타일: 뉴 웨이브 이후
결론
10 자주 쓰이는 편집 기법
평행 액션
평행 액션에 대한 사례연구
슬로 모션
슬로 모션에 대한 사례연구
패스트 모션
패스트 모션에 대한 사례연구
속도 변환 효과의 혼합 사용과 스피드 램핑
11 자주 등장하는 장면
두 사람의 대화 장면
두 사람의 대화 장면에 대한 사례연구
요약: 두 사람의 대화 장면
추격 장면
추격 장면에 대한 사례연구
요약: 추격 장면
12 결론
참고 문헌
그림 출처
필모그래피
찾아보기
책속에서
움직임에 대한 우리의 육체적 반응은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움직임의 경험, 개개인의 몸이 가진 움직임의 경력, 그리고 자신을 보호하거나 즐기기 위해 일어났던 선천적인 육체적 반사 작용을 바탕으로 일어난다. 다시 말하면 설사 우리가 직접 해당 경로로 움직여 본 적이 없어도, 예를 들어 우리가 빠른 속도로 돌진하듯 떨어져 보지 않았어도 우리의 몸은 무언가가 우리에게 떨어질 때 피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우리 몸이 떨어질 때 어떻게 충격에 대비해야 하는지도 알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직접 경험한 적이 없다 하더라도 대상이 움직이는 속도와 방향과 에너지를 보는 것만으로 느낌이 전달된다. 삶에서 경험한 시간, 공간, 에
너지, 움직임에 대한 운동감각적인 기억을 바탕으로, 우리는 촬영본 속의 움직임에 대해 즉각적인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것이다.
_ <01 리듬을 만들어 내는 직관> 중에서
물리적 리듬은 운동감각에 의한 감정이입을 일으킨다. 감정의 리듬은 물리적인 리듬을 기초로 하되 움직임에 실린 감정에 의해 재구성되고 감정적 영향력을 가진다. 사건의 리듬은 이미지와 사운드의 움직임, 소통하거나 정보를 전달하는 감정의 움직임, 두 가지 모두를 필요로 한다. 이 세 가지 리듬은 편집된 영화 속에서 결국 하나의 리듬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각각의 특성을 구분지어 살펴보면 편집 과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 세 가지 리듬을 구분해 봄으로써 어디에서 문제가 있는지 혹은 리듬을 살리기 위해 어느 부분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흔히 보이지 않는 편집이라고 일컬어지는 것과는 반대로, 편집 과정을 들여다보고 설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_ <05 물리적 리듬, 감정의 리듬, 사건의 리듬> 중에서
안무가는 춤의 구절을 만들고, 편집자는 영화의 구절을 만든다. 하지만 둘 다 타이밍, 속도감, 경로 구성을 이용해서 그 구절들을 만들어 낸다. 편집에서 타이밍은 영화에 필요한 정확한 프레임, 숏의 지속 시간, 숏들의 위치를 결정할 때 필요하다. 속도감은 컷의 빈도를 조절하며 장면, 시퀀스, 전체 영화에서 숏들 간의 움직임이나 변화의 집중도를 결정한다. 경로 구성이라는 용어는 필자가 무용 분야와 편집 분야를 모두 조사하면서 만들어 낸 것으로, 움직임의 에너지와 방향을 구성하는 것이다. 숏들을 부드럽게 연결시킬 것인지 갑작스럽게 충돌시킬 것인지 선택하고, 컷을 통해 배치할 움직임의 에너지를 결정하며, 에너지의 움직임을 마무리하는 강조점을 만드는 것이 바로 경로 구성이다.
_ <12 결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