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91130407227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14-06-30
책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방송에 출연하는 방송인의 범위도 많이 넓어졌다. 방송인은 아나운서나 기자, 프로듀서, 성우, 탤런트를 비롯한 방송 고유의 직종과 자유출연 방송인(free lancer)으로 리포터(Reporter), DJ(Disk Jockey), MC(Master of Ceremonies)를 비롯해 기상이나 교통, 주식시세 등 각종 정보를 전달하는 전문 분야 방송요원이나 통신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해졌다.
이상의 방송인이나 방송요원들은 방송에 고정 출연하기 때문에 방송언어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을 갖춰야 한다. 그래서 방송언어는 일상언어와 그 특징을 달리하며 독특한 형태로 발전돼 왔다.
_<1장 방송언어론> 중에서
방송기자에 필요한 기술을 이야기할 때, ‘타자기에게 말로 하라’고 설명한다(Andrew Boyd, 1997). 방송 초창기의 수년 동안 BBC 기자들은 종이에 초고를 쓰는 일이 없이 기사를 비서에게 직접 읽어 주었다. 기사가 구어체로 작성됐는지 확인하는 방법인 것이다. 방송기사는 귀에 자연스럽게 들려야 하고, 소리 내서 읽기 쉬워야 하며, 읽다가 단어에 걸려서 호흡을 방해하는 경우가 없어야 한다. 방송문장에 있어서 문어체에서 구어체로의 이행 과정은 방송 초창기부터 시작된 거대한 흐름이지만 현재도 서로 간에 갈등을 일으키면서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_<2장 방송문장론> 중에서
표기상으로는 사이시옷이 드러나지 않더라도 기능상 사이시옷이 있을 만한 합성어의 경우에 된소리로 발음되는 예들을 제시하고 있다. 사이시옷은 15세기의 경우에 기본적으로는 관형격의 기능을 나타냈던 것이나, 현대 국어로 내려오면서 많은 변화를 겪어서 사이시옷에 의한 된소리의 실현도 일정치가 않다. ‘나뭇집(나무를 파는 집)’과 ‘나무집(나무로 만든 집)’은 그런 대로 관형격의 기능을 보여 주지만 ‘돌집[돌ː찝](돌로 지은 집)’은 관형격의 기능이 있을 수 없음에도 된소리로 발음한다. 그리하여 사이시옷이 드러나지 않으면서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에는 사전에 그 된소리를 표시해야 한다.
_<3장 방송언어와 표준 발음법>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