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화인지기호학

영화인지기호학 (큰글씨책)

(영화이해의 인지과학적 전환을 위하여)

워렌 벅랜드 (지은이), 조창연 (옮긴이)
커뮤니케이션북스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900원
29,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영화인지기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화인지기호학 (큰글씨책) (영화이해의 인지과학적 전환을 위하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91130432151
· 쪽수 : 262쪽
· 출판일 : 2014-06-30

책 소개

'영화인지기호학'이란 한마디로 영화를 인지학 혹은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기호학적 시각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1960년대부터 2000년대에 이르는 영화인지기호학의 연구 현황을 살피고, 미국의 인지적 영화이론의 취약점을 조명함으로써, 영화연구에서 후기이론(Post-Theory)의 등장을 예고한다.

목차

서문과 감사의 말
옮긴이의 글

1장 영화이론의 인지적 전환
언어분석의 전통
촘스키(Noam Chomsky)와 능력(Competence)에 대한 연구
장 내용들

2장 스크린 상의 몸과 프레임에서 몸
영화와 인지의미론
영화이론에서 분리된 구조와 스키마 : 메츠, 보드웰, 그리고 콜린
인지 의미론
영화의 인지의미론

3장 창을 통해서가 아니라 창 그 자체를 통해서 보인 것이다
반성(reflexivity), 언명(Enunciation), 그리고 영화
반성(Reflexion), 메타언어(metalanguage), 대용어(Anaphora)
프란시스코 카세티의 개인적 영화 언명 (personal filmic enunciation)
크리스티안 메츠의 비인칭적 영화 언명
직시(Deixis), 텔레비전, 그리고 디지털 색채
텍스트 분석의 불가능성?

4장 기관적(Institutional) 맥락
픽션과 기록영화에 대한 기호 화용론적(semio-pragmatic) 접근
의미, 맥락, 그리고 마음
의미가 빠진 의미론
영화 커뮤니케이션의 공간
유형들
조작들(operations)
기관들(Institutions)
다큐멘터리, 홈 영화(Movie), 그리고 '역동적' 영화제작 유형들

5장 모든 것이 마음속에 있는가?-영화문법의 인지적 위상
변형생성문법(TGG)
"수정된 거대 통합체"(미첼 콜린)
영화문법의 생성적 이론들
영화기호학과 인지과학

맺는말
후기 이론?
미주(脚註)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워렌 벅랜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리버풀에 있는 존 무어(Liverpool John Moores) 대학 영화과 교수이다. 그는 이전 영국 학술원 박사 후 연구자였고, <영화 관객:기호에서 마음으로(The Film Spectator:From Sign to The Film)>의 편집자이며, <스크린(Screen)>, <세미오티카(Semiotica)>와 <계간 영화와 비디오 비평(Quarterly Review of Film and Video)>의 기고자이며 <영화와 텔레비전 연구에 대한 신비평(New Review of Film and Television Studies)>의 편집자이기도 하다. <(혼자 공부하는) 영화 연구[Film Studies (Teach Yourself Books)]> second edition, London: Hodder Headline/Chicago: Contemporary- McGraw-Hill, 2003. <현대 미국 영화 연구: 영화 분석 입문(Studying Contemporary American Film: A Guide to Movie Analysis)>, (co-written with Thomas Elsaesser), London: Arnold Publisher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불록버스터 시대의 저자: 슈필버그와 꿈의 현실화 작업(The Auteur in the Age of the Blockbuster: Steven Spielberg and Dream Works)”, The Movie Blockbuster, ed. J. Stringer (London: Routledge, 2003): 84-98. Conference paper 21. “영화 언명에서의 마지막 단어(The Last Word on Filmic Enuncia- tion)”, Semiotica 135, 1/4 (2001): 211-26 “영화 이론의 동반자(A Companion to Film Theory)”, ed. Toby Miller and Robert Stam, Oxford: Blackwell, 1999 : 84-104. 외 다수
펼치기
조창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고려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공부하고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FU)에서 커뮤니케이션학과 기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기호학회, 커뮤니케이션학회, 언론학회, 홍보학회, 광고홍보학회의 회원, 편집위원 및 임원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기호학회에서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일상에서의 대화를 비롯해 담론과 공론, 그리고 광고와 PR를 포함하는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현상을 기호학과 뇌인지과학의 시각에서 접근하고 이를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제에 연결하는 융합·통섭적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다. 저서로 『기호학과 뇌인지과학의 커뮤니케이션』(2014), 『기호, 텍스트, 그리고 삶』(2006)이 있고, 역서로 『iBrain, 아이브레인: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에 진화하는 현대인의 뇌』(2010), 『영화 인지 기호학』(2007), 『영상커뮤니케이션: 광고 이미지 전략』(2005)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퍼스의 기호학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이론적 현황, 문제점과 대안 모델”(2015), 커뮤니케이션과 기호학의 학제 연구인 “소셜 미디어의 매체 기호학적 함의-퍼스 기호학을 중심으로”(2014), “영상 기호와 그 의미 생성에 대한 뉴로 기호학적 탐색연구”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