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00122
· 쪽수 : 126쪽
· 출판일 : 2017-02-16
책 소개
목차
01 휴먼 커뮤니케이션 이론들
02 미디어의 이해
03 휴먼 커뮤니케이션 모델
04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미시적 관점
05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중시적 관점
06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거시적 관점
07 휴먼 네트워크
08 인간과 커뮤니케이션의 진화
09 뇌와 커뮤니케이션
10 미래의 휴먼 커뮤니케이션
저자소개
책속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은 크게 보면 메시지 전달에 초점을 둔 유형과 그 초점이 의미의 생산과 교환에 있는 두 유형으로 구분된다(Fiske, 2001/2008). 전자는 송(발)신자가 메시지를 부호화하고 이를 수신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해독하는 프로세스가 논의의 중심에 있다. 이 때문에 전자를 과정학파라고도 한다. 여기서는 커뮤니케이션의 성공이 송(발)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한 의미를 공유했는가에 좌우된다. 반면에 후자는 커뮤니케이션을 기호의 의미 생성 (발생)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따라서 후자를 기호학파라고도 하는데 이 접근법은 커뮤니케이션을 의미작용(signification)의 일환으로 이해한다. 후자의 관점에서는 송신자와 수신자가 메시지를 서로 다르게 해독함으로써 생기는 의미 해석의 차이는 커뮤니케이션의 실패가 아니라 오히려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이해된다.
“휴먼 커뮤니케이션 이론들” 중에서
매개 개념은 미디어에서 중요하다. 미디어는 매개와 재매개의 과정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Bolter, 2000/2006), 재현적 매개와 표상적 매개로 구분된다. 전자는 언어와 기호를 통한 매개, 그리고 후자는 상징을 통한 매개와 관련된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가 인간 커뮤니케이션이다. 기억은 기호로 매개되며 이 과정에서 구두 언어로 재매개되고 다시 필사 언어, 인쇄 언어, 그리고 영상 언어로 재매개가 또 이루어진다. 이런 의미에서 미디어는 인간의 사고 과정(기억)에서 말(言)을 거쳐 텔레비전에 이르기까지 모든 매체를 메시지라는 내용으로 담을 수 있는 컨테이너(container)로 볼 수 있다. 매개와 관련해 채널과 미디어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널은 단순히 신호가 전달되는 물리적 수단(예: 광파, 전화선, 음파 등)이고, 미디어는 메시지가 채널을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나의 신호로 전환하는 기술적 혹은 물리적인 수단(예: 목소리)을 의미한다(나은영, 2002).
“미디어의 이해” 중에서
개인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은 자아 커뮤니케이션에 의식적 요소가 보다 밀접하게 관여함으로써 나타난다. 개인 커뮤니케이션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서 개인에 초점이 맞추어 있고, 개인이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외부에 반응해 적응해 가는 현상으로 특징된다. 이 유형의 커뮤니케이션은 개인이 외부 정보에 반응할 때 나타나는 의식적 현상을 중요한 요소로 간주한다. 예를 들면, 개인이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느끼고, 이해하며, 나아가 어떤 행위를 하는 것 등이 개인 커뮤니케이션 현상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따라서 의식은 개인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을 규정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미시적 관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