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연출/연기/제작
· ISBN : 9791130440675
· 쪽수 : 148쪽
· 출판일 : 2015-11-10
책 소개
목차
서문
01 무인비행장치, 드론
개요
촬영용 드론의 구성 요소와 기능
02 비행 준비
촬영 전 점검
육안 점검
정밀 점검
인허가 사항
03 실전 비행
드론 촬영 전 현장 확인 사항
조종기 비행모드 이해
짐벌의 구성과 조작
비행 기법
항공 영상 촬영 기법
비상 착륙
04 실전 드론 촬영
장소별 촬영 노하우
기상별 촬영 노하우
현장 촬영 에피소드
05 부록
드론 촬영 Q&A
초경량 비행 장치 상식
참고문헌 및 자료출처
책속에서
드론의 장점은 유인 항공기의 인명 안전과 비행 허가에 관련된 각종 규제에서 보다 자유롭다는 것이다. 또한 신속한 기동성과 경제성도 장점이다. 유인 항공기가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까지 비교적 쉽게 근접 촬영할 수 있고 다양하고 역동적인 항공 영상 연출이 가능하다.
_01 무인 비행 장치, 드론
드론 촬영 장치는 많은 전기 전자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카메라 구동에 필요한 짐벌이 장착돼 있는데 기체와 짐벌을 연결해 주는 크래들이 기체의 진동을 어느 정도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이 크래들에는 다양한 종류의 고무 댐퍼가 사용되는데 비행시간이 많은 기체일수록 기체 진동으로 인해 댐퍼 빠짐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확인이 필요하다.
_02 비행 준비
일반적으로 항공 영상은 익스트림 숏으로 탁 트인 광활한 느낌은 있으나 속도감이 떨어져 심심한 느낌을 준다. 플라잉 숏은 그와 반대로 저공 근접촬영으로 강한 속도감을 주며, 카메라 워킹을 통해 입체감이 강한 영상을 보여 준다. 플라잉 숏은 기체 조종자와 짐벌 조종자의 호흡이 잘 맞아야 효과가 있으며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영상이 산만해질 수 있다.
_03 실전 비행
건물 사이에서 나타나는 강한 바람은 드론 비행에 치명적이다. 대부분 ‘3축 자이로’를 기반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기체가 한번 뒤집히면 곧바로 추락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연습용 초소형 드론으로 촬영할 때는 더더욱 조심해야 한다. 이런 장소에서는 먼저 기체를 호버링 상태에서 좌우로 움직여 보면 바람에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
_04 실전 드론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