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30806099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6-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한국어 특강 4:한국어 음운 정보-현상과 규칙>을 펴내면서
1부 음성과 음운
01. 소리와 말소리
02. 국제음성기호와 기본모음
03. 음성학과 음운론
04. 음성과 음운
2부 한국어 음운과 음절
05. 한국어 모음 목록과 특징
06. 한국어 자음 목록과 특징
07. 한국어 음절 구성 방법
3부 한국어 음운 변동
08. 음운 변동 현상과 규칙
09. 음운 교체 현상과 규칙
10. 평파열음화
11. 비음화
12. 유음화
13. 구개음화
14. 경음화
15. 음운 축약 현상과 규칙
16. 음운 탈락 현상과 규칙
17. 음운 첨가 현상과 규칙
4부 모음조화, 두음법칙
18. 모음조화 현상과 규칙
19. 두음법칙 현상과 규칙
5부 한국어 발음과 표기
20. 한국어 표준 발음법
21. 한글 맞춤법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어 음운 현상과 규칙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어 특강 4:한국어 음운 정보―현상과 규칙>을 준비하였다. 그동안 강의실에서 학부 학생들 또는 대학원생들과 머리를 맞대고 토론하고 논의하던 한국어 음운 정보를 이 책에 담으려고 한다. 한국어에 관심이 있는 많은 분들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은 기쁘지만, 자연언어를 제한된 규칙으로 설명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아쉬움도 남는다.
국어 음운론 강좌에서 활용하고 있는 교재는 매우 다양하다. 이론과 분석 틀에 따라서, 교재마다 다른 접근 방법이나 설명 방법을 택하고 있고, 사용하는 용어, 개념, 자료, 분석 결과에도 큰 차이가 있다. 그 결과 한국어 연구 현장이나 교육 현장에서는 한국어 음운론을 접근하기 어려운 분야 또는 교수-학습하기 어려운 분야로 생각하기도 한다.
이 책에서는, 한국어 사용자가 한국 언어사회에서 의사소통을 할 때,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음운 정보를 명시적으로 구축하는 데 목표를 둔다. 한국어 음운 이론을 개발하고 이론적 연구를 축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는, 한국어 사용자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음운 정보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다양한 현상과 규칙을 폭넓게, 그렇지만 이해하기 쉽게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사회 통합을 위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 현상, 규칙에 관한 정보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하여 사전, 어문 규정, 표준어, 표준 발음 자료를 기반으로 논의하고, 정보 구축에 필요한 용어와 개념은 연구 현장과 교육 현장에서 두루 쓰이는 것을 선택한다.
<한국어 특강 4:한국어 음운 정보―현상과 규칙>도 한국어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하기를 바라면서 학계와 교육계에서 적극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