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
· ISBN : 9791130809717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6-07-28
책 소개
목차
청동의 방
초록 뱀
천년 동안
빨간 구두 발자국
갈치 총각
꽃신 한 짝
아주 오래 낯익은
석두가 왔다
백만 송이 장미
작품 해설:구원의 서사에 새겨진 감각의 영원성_ 김문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 작품 해설 중에서
언어예술이자 시간예술인 소설 장르는 통념상 시나 드라마보다 이성적 능력이 더욱 요구되는 영역이다. 서사 구성과 기획은 본질적으로 고도의 전략적 이성이 필요한 부분인 데다, 단편소설은 세부 요소들의 유기적 짜임이 좀더 요청되는 문학적 형식이다. 갈래 자체의 일반적인 성격으로 본다면, 소설은 형(形)에 해당하는 구성력이 장르의 미의식을 견인하는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고선의 소설은 서사 장르의 주류적 성격으로부터 일탈해 있다. 그의 소설은 본질적으로 상징적이고, 때때로 몽환적이다. 고선은 서사 자체의 장력에 치중하기보다 인물이나 대상에 대한 서술을 통해 생(生)에 관한 느낌과 태도를 표명한다. 그 표명의 양상은 일정한 성격을 드러내는 인물들이나 그들에 관한 연민의 서술 방식을 통해, 한편으로는 사물 세계에 대한 서술자의 주관적인 묘사를 통해 개진된다. 여기에서 눈여겨볼 대목은 고선의 소설에 유년의 서술자가 빈번하게 등장한다는 것, 혹은 성인 화자라고 하더라도 성장기의 기억을 중요한 정서적 자질로 보존하고 있는 서술자에 의해 소설이 씌어진다는 점이다. 그래서 그녀의 소설은 이성에 기초한 세계의 서사적 이해라기보다 우리들의 유년기의 경험이나 기억이 그러한(했던) 것처럼, 선험적이고 원초적인 감각으로 포착한 이 세계를 그려낸다. 하여 우리가 고선의 소설에서 보게 되는 것은‘ 지금-이곳’의 현실이라기보다 어떤 생(生)의 정념들, 몇 컷의 풍경으로 각인된 생의 감각이다. 그녀의 소설이 때때로 서사를 벗어나, 아니 서사적 필연성을 사물 세계에 대한 몽환적 감각으로 우회하는 것은, 이 세계에 대한 작가적 이해를 표명하는 한 방식인 셈이다.
고선의 소설에는 마치 광 속의 풍경처럼 시간의 더께를 입은 내면의 서사들이 경이롭게 들어앉아 있다. 희미한 빛으로 둘러싸인 사물마냥 옛 정취를 입고 있는 그녀의 서사들은 현실과 환상을 오가며 생의 비의(秘義)를 그려낸다. 그녀의 소설이 주는 기이한 느낌은 어떤 주술에 든 것처럼 이 세계의 알 수 없는 힘 속으로 읽는 이들을 밀어넣는다. 그것은 고선의 소설이 기반하고 있는 동화적 환상과 신화적 원초성에서 기인한 것일 텐데, 이러한 성격은 하나의 작품뿐만 아니라 그녀의 소설 세계, 나아가 고선의 문학 전체를 가로지르는 특징이다. 뜻밖의 돌출과 서사적 비약을 자연화하거나 특정한 이미지 주위를 끝없이 선회하는 서술 전략은 그녀의 소설이 주술력을 선취해내는 타고난 능력인바, 이는 고선의 글쓰기가 본질적으로 어떤 세계에 ‘들려’ 있는 자의 작업임을 시사한다. 찰나에서 이 세계의 본질을 포착해내는 것을‘ 시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고선의 글쓰기는 장르적 경계를 떠나 모두 시적이다. 그녀는 자신의 생을 스쳐간 어떤 순간에 들른 자이며, 그 순간을 에피파니(epiphany)로서 공궤(供饋)하는 자이고, 이미지의 영원성을 사는 자이다.
그녀의 서로 다른 소설에서 우리가 어떤 형제애를 느끼게 되는 것은, 상이한 서사에 흔적처럼 박혀 있는 이미지들의 친연성, 변주되면서 다시 돌아오는 모티브들의 완강함 때문일 것이다. 뿌리식물처럼 순간의 기억들을 영원의 이미지로서 줄줄이 매달고 있는 (무)의식의 도저함이 그 속에는 자리 잡고 있다. 고선의 소설에서 우리가 겪게 되는 데자뷔(d?j? vu)의 경험은 변주되면서 반복되는 이 완강한 서사적 모티프나 이미지들의 선회에서 기원하는 것일 터이지만, 이는 궁극적으로 세계를 감수(感受)하는 그녀의 생-체험 양상의 문학적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녀의 작품을 휘감고 있는 혼몽함은 여기에서 비롯된다. 이는 그녀의 글쓰기를 구성하는 내용이자 형식적 특성이다.
고선의 소설에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서술자가 주로 어린 여자아이라는 점이다. 「초록 뱀」의 수연이나 「빨간 구두 발자국」의 은우, 「청동의 방」의 ‘나’, 「갈치 총각」의 아랑, 「천년 동안」과 「꽃신 한 짝」의 은희 등, 「백만 송이 장미」, 「아주 오래 낯익은」을 제외하고 소설집에 수록된 작품들에는 모두 유년의 여성 화자가 등장한다. 그녀의 작품은 유년 화자가 작품 전체의 서술자이거나 동일인물의 유/성년 화자를 함께 배치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지만, 주된 서술자가 어린 여자아이라는 점은 고선 소설의 주요한 특징이다. 서술자는 세계를 경험하는 시선과 감각의 주체라는 점에서 성인이 아닌 유·소년의 여성 화자를 주요 서술자로 삼는 고선의 소설은 그 자체로서 의미 있는 개성을 시사한다. 세계를 이해하는 인식 수준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어린 여자아이가 서술자로 빈번하게 등장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고선의 서사를 구성하는 이야깃거리가 유년 시절의 체험으로부터 온 것이라는 점에서 기인한다. 유년의 서술자가 등장함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소설에서 지나온 세대의 생활상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은 작가의 개인적 경험이 그 서사를 뒷받침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접하기 어려운 소재나 어휘들―씨받이, 방물장수, 상엿집, 동동구리무 장수, 물자세, 똑다리, 소금장수, 꽃신, 아이스께끼, 창포화장품 장수―이 산재(散在)해 있어서 그녀의 소설은 서사 자체의 핵심적 성격이라고 할 수 있는 몽환성을 구현하는 데 효과적이다.
아주 먼 과거는 아니지만 현재에는 찾아볼 수 없는 사물들이 출현함으로써 고선의 소설은 한 시대의 핍진한 기록의 성격을 띠고 있지만 이를 단순히 과거 경험의 서사적 복원으로만 해석할 수 없는 것은, 그녀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어떤 반복적 친연성 때문이다. 이 친연성은 유사한 성격을 띤 유년 화자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본질적으로 그러한 화자를 서술자로 삼게 되는 (무)의식적 동기에서 연원한다. 기억의 생태학이라고 할 수 있는 그녀의 소설에서 어떤 일군의 모티프들이 반복해서 등장하는 것은 이와 관련된다. 고선의 소설은 왜 유년 화자로 말하는가? 아니 유년 화자로 말할 수밖에 없는가? 이 물음에 답하는 것은 고선 소설의 의미를 해명하는 일이다.
고선 소설의 유년 화자는 폭력적인 현실과 생의 결핍으로 인해 내상(內傷)을 입은 존재들이다. 그들은 대체로 부모로부터 온전한 사랑을 받지 못하거나 강퍅한 현실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어른들의 세계에 일찍 눈을 뜬 자들이다. 영악하고 위악적인 이러한 유년 화자의 반복적인 등장은 고선의 서사가 단순히 작가의 현실적 체험의 소산을 넘어 이 세계에 대한 어떤 (무)의식적 태도임을 의미한다. 폭력적인 현실로 인한 고통을 성인의 서술자가 아닌 유년의 여성 화자를 통해 형상화하는 것은 해소될 수 없는 상처의 근원성, 이 생의 치명적인 비극성에 대한 표현이다. 아이들에게 오는 고통은 그들의 생 속으로 깊이 뿌리를 내리는 법이다. 고선의 유년 화자가 보여주는 조숙한 내면과 위악성은 어찌할 수 없는 이 생의 비극성을 받아안는 작가의 (무)의식적 전략이자 섬뜩한 서사적 대응인 셈이다. 세계에 대한 거부나 싸움 걸기 방식이 아닌 독특한 활력을 지닌 유년-여성 화자로의 내면화는 생에 대한 고선의 감수/대응 방식이다. 드물게도 성인 화자가 등장하는 「아주 오래 낯익은」의 서술자가, 아버지와 대물림된 동생의 도박으로 인해 경험한 헤어날 수 없는 삶의 부하를 고선의 유년 화자는 생래적인 결핍으로서 무의식적으로 내면화하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이 유년의 화자는 영악하고 위악적이지만 그악스럽거나 악마적이지 않다. 이는 고선 소설의 전체적인 경향, 따뜻한 비관주의와 연관된다. 그녀는 폭력적인 현실에 대항하기보다 이를 생의 운명으로서 받아들이고 인간에 대한 보편적인 연민으로 감수한다. 아버지가 부려놓은 짐 때문에 평생을 고통 속에서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아주 오래 낯익은」의 서술자는 부친과 동생의 삶을 회한의 생으로서 받아들인다. “눈보라가 휘날리는 바람찬 흥남부두에∼”로 시작하는 아버지의 노랫말을 상기하면서, 술집에서 마주한 가난한 노인의 그림자에 아버지와 아버지로 인해 자살한 형, 그리고 평생의 짐이었던 동생과 고단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아내의 그림자를 겹쳐놓는 서술자에게는 생의 비극성을 보편적인 것으로서 떠안는 작가의 시선이 잠복해 있다. 앞에서 언급한 고선 문학의 음악성은 이 따뜻한 비관주의와 관련된다. 위에 인용한 「갈치 총각」의 후반부 대목에서 김 경사에게 마음이 흔들리는 엄마의 표정을 읽고, 아울러 엄마를 위로하는 유년 화자 아랑의 랩은 생에 대한 작가의 이러한 양가적(兩價的) 시선, 즉 생래적 운명에의 배애와 이를 생에 대한 보편적 연민으로 수용하는 따뜻한 비관주의를 형상화한다. 엄마의 “재바르게 움직이는” 손과 “발그레지는” 얼굴에서 김 경사를 향한 이성적 호감을 살핀 영악한 서술자가, 분명하지는 않지만 아름다움과 슬픔을 함께 읽어내어 이를 랩의 리듬으로 표현해내는 것은 고선 소설의 성격을 웅변적으로 시사한다. 생의 진실에 일찍 눈을 뜬 조숙한 화자의 위악성과 생의 비극성을 보편적 연민으로서, 음악적 유희로서 승화해내는 작가적 시선이 그녀의 유년 화자 속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세계에 대한 상처와 치유의 결점점으로서 유년 화자는 자리하고 있는 셈이다.
소설은 어떤 이들의 사정과 사연을 전달하고자 하는 마음의 한 형식일 터, 호기심에서 발원한 내면이 공감과 연민을 경유하는 도정, 그것이 소설의 형식을 구성하는 서사일 것이다. 이는 사연의 진실을 체현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고선의 소설은 제의에서 선포되었을 최초의 문학 언어처럼, 어떤 사연을 전달하는 핍진한 무당의 말을 닮았다. 그녀의 소설 언어는 쓸쓸하고 서러운 삶들, 그러나 입을 갖지 못한 생을 자신의 몸에 부려놓은 여사제(女司祭)의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약하고 밀려난 것들을 향한 공명(共鳴), 그것이 고선의 소설이다. 고선은, 세상의 한구석에서 서럽고 외롭게 살아가는 이들의 생을 전하는 언어의 여사제이고, 그래서 대신 아파하는 자의 삶을 사는 존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