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TV/라디오 > PD/탤런트/방송작가/성우
· ISBN : 9791130821290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3-12-31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part 1 스토리, 문화산업 융성의 시대를 만나다
1. 유사 이래 글을 써서 이렇게 돈을 많이 버는 시대는 없었다
2. 어쩌다가 이야기가 그토록 잘 팔리는 사회가 되었나
3. 허균이 홍길동을 지금 썼다면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4. 조선의 3대 도적 홍길동, 임꺽정, 장길산은 어떻게 콘텐츠화되었나
5. 조선시대 스토리 유통망, 책쾌와 세책점
6. 인간은 왜 이야기를 좋아하는가:뇌과학으로 본, 스토리텔링하는 자아
part 2 작가는 어떻게 몰입하는가
1. ‘돈이 되는 글’을 쓰고 싶은 사람들
2. 글을 쓰는 건 쉽지만 돈이 되는 글을 쓰는 것은 쉽지 않다
3. 작가가 된다는 것은 능력의 한계를 허물고 몰입을 경험하는 일
4. 몰입으로 향하는 3단계를 알아야 한다
5. 뇌과학으로 ‘몰입의 3단계’를 말한다
6. 콘텐츠 생산자인 작가의 몰입은 어떻게 다른가
part 3 글을 파는 콘텐츠 생산자, 작가들의 세계
chapter 1 끝없는 협업 속 치열한 경쟁을 하는 드라마 작가의 세계
1. 야구가 ‘투수 놀음’이라면 드라마는 ‘작가 놀음’
2. 드라마 작가들의 숨은 조력자, 드라마 기획 프로듀서
3. 성공을 맛본 중견 작가들이 말하는 드라마의 세계, 드라마 집필 과정
chapter 2 대리만족과 ‘사이다’로 ‘매출’을 올리는 웹소설 작가의 세계
1. 웹소설 작가에 주목하는 이유
2.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웹소설 시장의 주인공은 웹소설 작가
3. 미디어 콘텐츠 생산자로서 웹소설 작가를 만나다
4. 매출 전쟁 중인 웹소설 작가의 세계:시작은 가볍게, 시련은 혹독하게, 보상은 두둑하게!
5. 소결:원천 스토리를 가진 웹소설 작가들의 영향력 확대
chapter 3 총성 없는 전쟁 속 영상문화를 이끄는 문화선발대, 웹툰 작가의 세계
1. 웹툰 제작 최전선에 웹툰 작가가 있다
2. 영상화, 노블코믹스 등 K-웹툰 확장 속 위력을 뽐내고 있는 웹툰 작가
3. 상상력을 웹툰으로 만드는 사람들, 웹툰 작가를 만나다
4. 소결:웹툰 작가는 가장 강력한 매체를 이끄는 콘텐츠 실험가
chapter 4 방송 프로그램 제작을 주도하는 구성작가의 세계
1. 왜 구성작가에 주목하는가
2. 방송 콘텐츠 생산자로서 구성작가를 만나다
3. 구성작가는 공동 연출이나 다름없는 ‘프로그램 제작본부’
4. 소결:능력껏 살아남는 구성작가는 방송 프로그램 제작의 핵심 주체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간이 이야기에 빨려드는 것은 인간 자체가 스토리텔링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내면 소통, 즉 자신과 소통하는 방법을 오랫동안 연구해온 김주환 교수에 따르면, 우리가 일상적으로 ‘나’라고 생각하는 존재는 세상에 드러나는 존재이고, 행동하고 생각하는 존재이며, 느끼고 반응하는 존재다. 이렇게 의식에 드러난 ‘나’가 곧 자아(self)인데, 자아는 기억의 덩어리이고 따라서 이야기의 덩어리다. 그런데 인간의 자아는 하나가 아니다.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은 인간의 자아가 하나가 아니라는 점을 밝혀내 심리학자로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지금 말하려고 하는 기억자아, 경험자아, 배경자아에 대한 연구가 뇌과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성과로서 받아들이고 있다는 뜻이다. 대니얼 카너먼 등 뇌과학자들에 따르면 자아가 여러 개라고 하는데 특히 김주환 교수는 기억자아(remembering self), 경험자아(experiencing self), 배경자아(background self)로 나누어서 ‘나’가 ‘나’와 하는 소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매우 중요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매 순간 우리 자신에게 스토리텔링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마추어 작가 또는 작가 지망생과 글을 써서 돈을 버는 작가의 차이는 한마디로 몰입을 경험하며 글을 쓰느냐 아니냐에 달려 있다. 몰입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몰입할 수 있는 습관을 만들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제일 먼저 필요한 것은 자신이 일을 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드는 것이다. 처음 작가 생활을 시작하는 사람들은 아무런 통제가 없는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 몰라 방황한다. 실제로 작가를 꿈꾸는 많은 사람들이 가장 하기 힘든 일이 작가로서 루틴(routine)을 잡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