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주역
· ISBN : 9791137294257
· 쪽수 : 378쪽
· 출판일 : 2022-09-06
목차
주역점
제1장 주역총론
1. 주역이란 무엇인가?
(1) 천인합일(天人合一)적인 학문 14
(2) 미래변화적인 학문 14
(3) 피흉추길(避凶趨吉)적인 학문 15
(4) 덕(德)을 근본으로 삼는 학문 17
2. 주역의 기본개념
(1) 경(經)과 전(傳) 18
(2)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19
(3) 선천팔괘(先天八卦)와 후천팔괘(後天八卦) 21
(4) 육효(六爻) 23
(5) 64괘와 팔괘의 오행 23
(6) 음효와 양효의 효위(爻位)적 속성 25
(7) 비(比)、응(應)、승(乘)、승(承) 26
(8) 내괘(內卦)와 외괘(外卦) 27
(9) 지괘(之卦) 28
(10) 괘명(卦名) 29
(11) 주역의 학습방법 29
제2장 단전(彖傳)과 상전(象傳)
1. 단전(彖傳)
(1) 괘명(卦名)과 괘의(卦義)를 해석함 31
(2) 괘사(卦辭)를 해석함 32
(3) 괘의 괘상(卦象)을 해석함 33
(4) 괘체(卦體)를 분석함 33
(5) 효위(爻位)와 효의(爻義)를 해석함 34
(6) 주역의 이치를 천명함 36
2. 상전(象傳)
(1) 대상전(大象傳) 38
(2) 소상전(小象傳) 40
제3장 괘효사(卦爻辭)
1. 괘효사(卦爻辭)의 내용
(1) 글귀의 형식에 따른 각도분석 46
(2) 사회사(社會史)적인 각도에 따른 분석 51
2. 괘효사(卦爻辭)의 술어해석
(1) 元 53
(2) 亨 54
(3) 利 54
(4) 貞 54
(5) 利貞 55
(6) 吉凶 55
(7) 貞吉과 貞凶 56
(8) 元吉 57
(9) 회린(悔吝) 57
(10) 정려(貞厲)와 정린(貞吝) 58
(11) 무구(無咎) 58
(12) 생(眚) 59
(13) 질(疾) 59
제4장 괘효상(卦爻象)
1. 괘효상의 개념
(1) 괘효상의 기원(起源) 61
(2) 괘상(卦象)적인 구성 61
(3) 괘상(卦象)의 이해 62
(4) 괘상(卦象)의 해석 64
(5) 형상(形象)적인 사유방식 64
(6) 상(象)과 의(意) 65
2. 괘효상(卦爻象)의 종류
(1) 팔괘(八卦)의 象 66
(2) 육획(六劃)의 象 70
(3) 효위(爻位)의 象 71
(4) 상형(象形)의 象 75
(5) 대상(大象) 76
(6) 반상(半象) 76
3. 괘효상(卦爻象)적인 형태
(1) 12벽괘(辟卦) 78
(2) 호체(互體) 78
(3) 도체(倒體) 80
(4) 교괘(交卦) 81
(5) 착괘(錯卦) 82
(6) 유혼괘(遊魂卦)와 귀혼괘 83
(7) 포괘(包卦) 85
4. 괘효사와 괘효상의 관계
(1) 사(辭)와 상(象)적인 기원 86
(2) 사(辭)와 상(象)적인 응용 87
제5장 주역점 총론
1. 상수학파와 의리학파
(1) 상수학파(象數學派) 88
(2) 의리학파(義理學派) 89
2. 상수학파의 대가
(1) 맹희 90
(2) 경방 90
(3) 우번 91
(4) 소강절 92
(5) 래지덕 93
3. 주역의 3가지 뜻
(1) 변역(變易) 95
(2) 간역(簡易) 95
(3) 불역(不易) 95
(4) 三易적인 해석의 실례 96
4. 주역점의 세 가지 속성
(1) 시간성(時間性) 97
(2) 공간성(空間性) 98
(3) 형상성(形像性) 100
5. 주역점의 3대요소
(1) 상(象) 101
(2) 수(數) 102
(3) 의(義) 104
6. 오행설(五行說)
(1) 오행설의 기원 105
(2) 오행의 특성 105
(3) 오행의 생극 106
(4) 경방의 오행설 106
7. 복사(卜辭)와 괘효사(卦爻辭) 108
8. 괘를 일으키는 방식
(1) 시초괘(蓍草卦) 109
(2) 금전괘(金錢卦) 110
(3) 매화역수(梅花易數) 111
9. 주역점의 숙지사항
(1) 점치는 자의 마음가짐 113
(2) 점치는 자가 지켜야 할 사항 113
(3) 주역점의 결과에 대한 태도 114
제6장 괘의 판단법
1. 정괘(靜卦)와 변괘(變卦)의 해석
(1) 정괘(靜卦) 115
(2) 변괘(變卦) 115
(3) 변괘적인 점법 116
(4) 변괘적인 주보관계(主輔關係) 118
2. 괘를 판단하는 원칙
(1) 괘사(卦辭)적인 판단 119
(2) 효사(爻辭)적인 판단 119
(3) 괘상(卦象)적인 판단 120
(4) 효상(爻象)적인 판단 120
(5) 역수(易數)적인 판단 121
(6) 방위(方位)의 판단 123
(7) 오행(五行)의 판단 124
(8) 정회(貞悔)의 판단 125
(9) 효진(爻辰)의 판단 126
(10) 환효(換爻)의 판단 127
(11) 괘위(卦位)의 판단 129
(12) 괘서(卦序)의 판단 128
(13) 호괘(互卦)의 판단 129
(14) 문자의 형상으로 판단 130
3. 《설괘전》에서의 점서(占筮)적인 원칙 131
4. 춘추시대의 괘를 판단하는 규칙
(1) 좌전(左傳)과 국어(國語)의 변괘적인 점법 134
(2) 역사(易辭)적인 응용 136
(3) 좌전(左傳)과 국어(國語)의 점례 137
제 7장 64괘 원문
상경
(1) 건위천 ………··143 (16) 뇌지예 ………174
(2) 곤위지 ………··145 (17) 택뢰수 ………176
(3) 수뢰준 ………··148 (18) 산풍고 ………178
(4) 산수몽 ………··150 (19) 지택림 ………180
(5) 수천수 ………··152 (20) 풍지관 ………182
(6) 천수송 ………··154 (21) 화뢰서합 ……184
(7) 지수사 ………··156 (22) 산화비 ………186
(8) 수지비 ………··158 (23) 산지박 ………188
(9) 풍천소축 ……··160 (24) 지뢰복 ………190
(10) 천택리 ………162 (25) 천뢰무망 ……192
(11) 지천태 ………164 (26) 산천대축 ……194
(12) 천지부 ………166 (27) 산뢰이 ………196
(13) 천화동인 ……168 (28) 택풍대과 ……198
(14) 화천대유 ……170 (29) 감위수 ………120
(15) 지산겸 ………172 (30) 리위화 ………202
하경
(31) 택산함 ……···204 (48) 수풍정 ………239
(32) 뇌풍항 ……···206 (49) 택화혁 ………241
(33) 천산둔 ……···208 (50) 화풍정 ………243
(34) 뇌천대장 ……210 (51) 진위뢰 ………245
(35) 화지진 ………212 (52) 간위산 ………247
(36) 지화명이 ……214 (53) 풍산점 ………249
(37) 풍화가인 ……216 (54) 뇌택귀매 ……251
(38) 화택규 ………218 (55) 뇌화풍 ………253
(39) 수산건 ………220 (56) 화산려 ………255
(40) 뇌수해 ………222 (57) 손위풍 ………257
(41) 산택손 ………224 (58) 태위택 ………259
(42) 풍뢰익 ………226 (59) 풍수환 ………261
(43) 택천쾌 ………228 (60) 수택절 ………263
(44) 천풍구 ………230 (61) 풍택중부 ……265
(45) 택지췌 ………232 (62) 뇌산소과 ……267
(46) 지풍승 ………234 (63) 수화기제 ……269
(47) 택수곤 ………236 (64) 화수미제 ……271
육효점
제 1장 육효점의 납갑(納甲)
1. 납갑(納甲)이란 무엇인가?
(1) 납갑법의 개념 274
(2) 납갑법의 용법 275
2. 납갑의 팔궁설(八宮說)
(1) 납갑에 의한 팔궁(八宮)의 육친표 276
(2) 납갑의 천간과 지지 284
3. 육친(六親) 286
4. 육신(六神) 287
제 2장 괘의 판단
1. 세응(世應)
(1) 세응적인 함의(涵義) 289
(2) 논단하는 법 289
(3) 세응의 관계 290
(4) 세응과 유혼괘、귀혼괘 290
(5) 세효(世爻)를 빨리 찾는 방법 291
(6) 세신(世身) 292
2. 용신(用神)
(1) 용신(用神)의 개념 293
(2) 용신양현(用神兩現) 294
3. 원신(元神)、기신(忌神)、구신(仇神)
(1) 원신(元神) 296
(2) 기신(忌神) 297
(3) 구신(仇神) 298
4. 월건(月建)과 월파(月破)
(1) 월건(月建)) 299
(2) 월파(月破) 299
5. 일진(日辰)과 암동(暗動) 및 일파(日破)
(1) 일진(日辰) 301
(2) 암동(暗動) 및 일파(日破) 302
6. 진신(進神)과 퇴신(退神)
(1) 진신(進神) 304
(2) 퇴신(退神) 305
7. 생(生)、왕(旺)、묘(墓)、절(絶) 307
8. 입묘(入墓) 310
9. 왕(旺)、상(相)、휴(休)、수(囚)、사(死) 311
10. 육충(六沖)과 육합(六合)
(1) 육충(六沖) 312
(2) 육합(六合) 313
11. 삼합(三合)과 삼형(三刑)
(1) 삼합(三合) 316
(2) 삼형(三刑) 318
12. 반음(反吟)과 복음(伏吟)
(1) 반음(反吟) 319
(2) 복음(伏吟) 320
13. 순공(旬亡)
(1) 순공의 종류 322
(2) 순공의 작용 324
14. 비복설(飛伏)
(1) 복신(伏神) 326
(2) 비신(飛神) 328
15. 응기(應期)
(1) 야학노인의 응기법 329
(2) 기타 응기법 331
16. 독발(獨發)과 독정(獨靜)
(1) 독발(獨發) 333
(2) 독정(獨靜) 333
17. 괘를 판단하는 기본원칙 334
제 3장 용신분류별 점단요결
1. 연애와 혼인
(1) 남자의 인연을 점치는 경우 336
(2) 여자의 인연을 점치는 경우 338
2. 사업과 재물운 342
3. 직장 345
4. 관운(官運)、승진(昇進)、공명(功名) 347
5. 고시(考試) 352
6. 학업 355
7. 질병 358
8. 소송 362
9. 실물(失物) 365
10. 행인 368
11. 출행(出行) 371
12. 임신(妊娠)과 출산(出産) 373
13. 음양택풍수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