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39718799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5-02-03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프롤로그 자신에게 가장 좋은 친구가 되어줄 당신에게
1장 자기 친화력이 좌우하는 인생
지가 친화력을 만드는 세 가지 기둥
나와의 관계를 포기할 때 생기는 일
누구나 나와 친하게 지낼 수 있다
이기주의가 아닌 똑똑한 개인주의
미래를 불안해할 필요가 없다
2장 나의 가치를 결정하는 사람은 오직 나 _자기 가치감
부모가 나의 가치를 결정하게 두지 말라
:: 나와 친해지는 연습 1 지나간 상처로 아픈 어른아이에게
나는 왜 끊임없이 결핍감을 느낄까?
완벽하지 않지만 충분하다
:: 나와 친해지는 연습 2 나를 용서하고 나에게 감사하기
나에 대한 확신은 오직 나만 줄 수 있다
:: 나와 친해지는 연습 3 나에게 무조건적인 사랑을 주고 있는가?
나로 살 때 비로소 행복하다
3장 나의 행동과 감정에 공감하기 _자기 공감 능력
행동을 보면 나와의 관계가 보인다
나에게 우호적인 행동을 선택하라
:: 나와 친해지는 연습 4 행동 일기 쓰기
숨겨진 중독을 파악하라
:: 나와 친해지는 연습 5 숨겨진 중독 파악하기
감정은 나의 수호신이다
:: 나와 친해지는 연습 6 감정이라는 손님
나에게 공감하라
억눌린 감정과 화해하라
뇌과학으로 보는 감정의 메커니즘
마음챙김은 의학이다
:: 나와 친해지는 연습 7 따라 하기 좋은 마음챙김 훈련법
:: 나와 친해지는 연습 8 마음챙김을 위한 환경과 도구
감정에 이름을 붙여라
:: 나와 친해지는 연습 9 감정을 건강하게 다루는 법
:: 나와 친해지는 연습 10 ‘낙타의 코’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
4장 나를 믿고 나아가는 법 _자기 신뢰
뇌에게 안전하다는 신호를 전달하는 법
감사할수록 변하는 뇌
:: 나와 친해지는 연습 11 감사 실천법
나는 왜 이토록 스트레스에 취약할까?
스트레스, 위협인가 도전인가
:: 나와 친해지는 연습 12 스트레스가 만드는 강한 나
인생의 복리가 되는 스트레스 활용법
:: 나와 친해지는 연습 13 스트레스의 유익성 발견하기
:: 나와 친해지는 연습 14 피해자 역할에서 벗어나라
작은 성공이 가져다주는 자기 신뢰
:: 나와 친해지는 연습 15 자기 신뢰를 키우는 3단계 기록법
운동으로 스트레스의 무게를 덜어내라
강철멘탈을 만드는 마음챙김
:: 나와 친해지는 연습 16 자기 신뢰가 생기는 메커니즘
5장 관계 속에서 자기 친화력 높이기
관계는 또 다른 형태의 자기 돌봄
배려와 희생 사이 중심 잡기
나에게 독이 되는 사람은 누구일까?
자기 친화력의 동반상승효과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사람으로 치유하라
도움을 주는 사람 vs 도움을 받는 사람
:: 나와 친해지는 연습 17 도움받을 용기, 자조 모임
6장 나의 영원한 안전기지 만들기
자기 연민이 필요하다
:: 나와 친해지는 연습 18 내가 나의 엄마가 되어주자
:: 나와 친해지는 연습 19 어른이 된다는 것
왜 하필 나에게 이런 불행이 찾아왔을까?
:: 나와 친해지는 연습 20 내 안의 다정함을 일깨우는 3단계 연습
상실을 대하는 자세
아무에게도 말하지 못한 외로움
:: 나와 친해지는 연습 21 지혜를 성장시키는 나만의 전략
:: 나와 친해지는 연습 22 외로움의 반대말
나는 왜 행복하지 않을까?
::나와 친해지는 연습 23 중독으로 병들어가는 대한민국
휴식도 나의 책임이다
:: 나와 친해지는 연습 24 번아웃 증후군 자가진단법
:: 나와 친해지는 연습 25 순도 100퍼센트의 휴식 목록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나는 이 책을 통해 당신에게 꼭 말하고 싶은 것이 있었다. 그것을 하나의 단어를 통해 명확하게 전달하고 싶었다. 깊은 고민 끝에 선택한 단어가 자기 친화력(self intimacy)이다. 자기 친화력이란 표현이 다소 낯설게 들릴 수도 있다. 우리는 보통 친화력이란 단어를 타인과의 관계에서 사용하기 때문이다. 나는 친화력이란 단어를 사용해 당신이 자신을 마치 이방인처럼 소외시키고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다. 당신이 때로는 당신이 아닌 모습으로 살아간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다.
_ 프롤로그
지은 씨가 지니고 있던 가장 큰 문제는 음식 조절에 실패했을 때 수치심을 느끼는 것이었다. 수치심은 “내 행동뿐만 아니라 나라는 존재 그 자체가 잘못되었다”라고 인식하는 감정으로, 나는 이를 죄책감으로 바꾸어주는 데 주력했다. 죄책감은 “내 존재는 문제없지만 이 행동은 잘못되었다”라고 판단하는 감정이다. 언뜻 보면 비슷한 감정 같지만 자신의 행동을 부끄러워하는 것과 존재를 부끄러워하는 것은 완전히 다르다. 대개 행동은 바로잡을 수 있다고 느끼지만, 존재를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_ 자기 친화력이 좌우하는 인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