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일반
· ISBN : 9791140702299
· 쪽수 : 152쪽
· 출판일 : 2022-12-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학습 계획표
준비 마당_ 문해력 이해하기
“선생님 ○○이 무슨 말이에요?”
문해력이란 무엇일까?
초등학교 때 문해력을 길러야 하는 이유
어휘의 한계는 학습의 한계
초등학교 1~2학년이라면 꼭 알아야 하는 학습어휘 모음
이 책 속 학습어휘는 어디서 왔을까?
학습어휘를 효과적으로 익히는 방법
첫째 마당_ 국어 교과에서 문해력 다지기
01 이건 무슨 글자일까?
02 ‘ㄱ’부터 ‘ㅎ’까지 쓸 수 있을까?
03 ‘ㅏ’와 ‘ㅓ’는 어떻게 읽을까?
04 선생님께서는 어떤 말을 자주 사용하실까?
05 받침이 있는 글자를 읽고 써 볼까?
06 그림에 어울리는 문장을 써 볼까?
07 마침표(.), 쉼표(,), 물음표(?), 느낌표(!), 큰따옴표(“ ”)는 언제 쓸까?
08 그림일기는 어떻게 쓰는 걸까?
09 점심시간, 우리가 지켜야 할 일은 뭘까?
10 자신 있게 말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11 우리 말놀이 할까?
12 인물의 마음을 짐작해 볼까?
13 꾸미는 말을 넣어 글을 써 볼까?
14 바른말, 고운 말을 써 볼까?
15 시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16 소리 나는 대로 썼는데 왜 틀렸을까?
17 흉내 내는 말을 넣어 글을 써 볼까?
18 내가 좋아하는 물건을 소개해 볼까?
19 생일에 나는 어떤 경험을 했을까?
20 인터넷 매체가 뭘까?
둘째 마당_ 수학 교과에서 문해력 다지기
01 가르기와 모으기를 해볼까?
02 덧셈과 뺄셈이 뭘까?
03 둘 중에 더 무거운 건 무엇일까?
04 50까지 수 세기를 해볼까?
05 100원이 다섯 개 있으면 얼마일까?
06 우리 반에서 ○, △, □ 모양을 찾아볼까?
07 칠교놀이는 어떻게 하는 걸까?
08 홀짝놀이를 해볼까?
09 지우개로 교과서의 길이를 재 볼까?
10 블록을 색깔별로 분류해 볼까?
11 묶어 센다는 게 뭘까?
12 1000원이 다섯 장 있으면 얼마일까?
13 곱셈구구란 무엇일까?
14 1m짜리 막대 과자를 만들어 볼까?
15 지금 시각이 몇 시야? 시간이 몇 시야?
16 바닥 무늬에서 규칙을 찾아볼까?
셋째 마당_ 통합 교과에서 문해력 다지기
01 내 몸을 깨끗하게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02 어떻게 좋은 습관을 만들 수 있을까?
03 내 몸에는 어떤 부분이 있을까?
04 우리 가족을 소개해 볼까?
05 사촌은 나와 어떤 관계일까?
06 좋은 이웃이 되는 방법은 뭘까?
07 조심해! 안전하게 길을 건너 볼까?
08 친구를 어떻게 대해야 할까?
09 학교에 가면 뭘 할까?
10 우리 학교에는 어떤 교실이 있을까?
11 우리 마을엔 무엇이 있을까?
12 시장, 마트, 백화점은 뭐가 다를까?
13 우리나라 국기는 어떻게 생겼을까?
14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알아볼까?
15 다른 나라로 여행을 가 볼까?
16 우주를 탐험해 볼까?
17 하루 동안 내 몸무게는 어떻게 변할까?
18 한 해 동안 계절은 어떻게 변할까?
19 봄 날씨의 특징은 무엇일까?
20 여름 날씨의 특징은 무엇일까?
21 가을 날씨의 특징은 무엇일까?
22 겨울 날씨의 특징은 무엇일까?
23 과거와 미래 중에서 하나를 골라 볼까?
24 내가 할 수 있는 자연보호 방법은 무엇일까?
어휘 찾아보기
이 책에 나온 학습어휘와 주제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독해와 문해, 모두 한자어입니다. 한자 풀이를 하면 독해(讀解)는 글을 읽고 이해하는 것이고, 문해(文解)도 글을 읽고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게 무슨 소리냐고요? 한자 풀이만 보면 두 단어가 비슷한 말입니다. 하지만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에서 정의한 문해력의 개념에는 읽고 이해하는 것 이외의 기능들이 등장합니다.
“문해력이란 글을 이해하고, 평가하고, 사용하고, 글로 소통하는 능력이다.”
즉 문해력의 개념에는 읽고 이해하는 것 외에 평가하고, 사용하고, 소통하는 능력이 추가됩니다.
_ ‘문해력이란 무엇일까?’
초등학교 1~2학년의 통합 교과 시간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수업 자료에 등장하는 ‘봄에는 황사가 심해져요.’, ‘여름에는 폭염을 조심해야 해요.’, ‘가을에는 일교차가 심해요.’, ‘겨울에는 함박눈이 내려요.’라는 문장을 읽었을 때 황사가 무엇인지, 폭염이 무슨 뜻인지, 일교차나 함박눈이 무엇을 뜻하는지를 몰라 내용을 파악하지 못합니다. 어휘를 알지 못해 학습에 한계가 생긴 것입니다.
초등학교 3~4학년 때까지는 어휘력이 조금 부족해도 큰 문제가 되진 않습니다. 교과서나 수업 자료에 나오는 어휘의 수가 그리 많지 않고 수준도 높지 않으니까요. 이리저리 하다 보면 버텨 낼 순 있습니다. 그런데 호미로 막을 수 있을 때 막지 않으면 나중에는 가래로 막아야 합니다. 초등학교 5~6학년이 되면 어휘력의 차이가 본격적으로 학습 격차를 만들어 내기 시작합니다. 같은 수업을 듣더라도 어휘력의 차이로 인해 어휘를 많이 알고 있는 아이들과 그렇지 않은 아이들의 이해 정도가 달라집니다. 한마디로 이해의 수준이 차이 나기 시작하죠. 이 수준 차이는 시간이 흐를수록 더 벌어져 어휘의 한계가 학습의 한계를 만듭니다.
_ ‘어휘의 한계는 학습의 한계’
이 책에서 소개하는 학습어휘는 다음과 같은 4단계의 과정을 거쳐 추출했습니다.
-1단계 : 초등학교 1~2학년 국어, 수학, 통합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2단계 : 교과별로 반드시 알아야 하는 내용 요소 추출
-3단계 : 내용 요소 중 1~2학년 학생들이 잘 알지 못하거나 혼동하는 어휘 추출
-4단계 : 1~2학년 학습어휘와 연결되는 3~4학년 학습어휘, 1~2학년 학습어휘와 연결하여 배우면 좋은 학습어휘 및 1~2학년 수준을 넘어가는 어려운 어휘들을 추출한 뒤 ‘심화 학습어휘’로 분류
이 책 속 학습어휘에는 성취기준을 일일이 표기하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학습어휘를 추출할 때 성취기준을 가장 먼저 고려했습니다.
_ ‘이 책 속 학습어휘는 어디서 왔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