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9114071336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5-05-26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프롤로그
모임의 기술, 그 첫 번째 : Why 왜 만들까?
퇴사하지 않으려고 모임을 기획합니다
하필, 대화 모임을 열기로 한 이유
모임 운영은 혼자 말고 둘이서!
해보고 고쳐나가자는 마음으로
Doing Kit 파일럿 체크 리스트
Interview LBCC 최다 참석자 박세희 님
모임의 기술, 그 두 번째 : Who 누구를 모을 것인가?
왜 레이지버드예요?
결이 비슷한 사람을 모으는 한 줄의 카피
중니어에게 가장 필요한 딴짓의 시간
경력보다 경험이 궁금한 사람
Interview 모임 기획을 즐기는 취향 부자 제연주 님
모임의 기술, 그 세 번째 : What 어떤 콘텐츠를 제공하는가?
사람들이 굳이 우리를 찾게 만드는 차별화
Doing Kit 모임 차별화 요소 찾기 템플릿
실전! 커뮤니티 브랜딩
Doing Kit 태그라인을 뽑아내기 위한 질문 템플릿
다양한 형태의 모임 시도하기
일요일 아침, 좋은 기분 전하기
LBCC 멤버들에게 소속감을 부여하는 방법
100번의 모임, 2,000명의 사람을 만나며 느낀 점
Interview 모닝 글쓰기 클럽 모임장 한희진 님
모임의 기술, 그 네 번째 : How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LBCC 운영 원칙
좋은 대화의 조건
대화를 조율하는 모더레이터
허들의 미학
LBCC의 강점: 호스트 섭외
Doing Kit 호스트 섭외 시 주제 기획 가이드
더 나은 커뮤니티를 위해 필요한 것
Interview 브랜드 커뮤니티 매니저 김현정 님
모임의 기술, 그 다섯 번째 : And Next? 지속 가능한 모임을 위하여
2년 넘게 계속하며 알게 된 커뮤니티의 '맛
지속하려면 모멘텀이 필요해
팔로워에 일희일비 금지
윈윈을 위한 제휴의 시간
Doing Kit 제휴 미팅 전 체크 리스트
커뮤니티를 확장하는 나름의 방식
지속 가능한 커뮤니티를 위한 노하우
에필로그 / 역대 모임 주제 아카이브
리뷰
책속에서
모임이 지향하는 가치를 알리면 그 가치에 공감하는 이들이 방문합니다. 모임에 참여하는 횟수를 거듭하며 그들이 커뮤니티를 구성하게 되고요.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자신의 지향과 부합하는 커뮤니티의 비전을 공유하며 소속감을 느낍니다.
모이는 사람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일에서 커뮤니티 브랜딩이 시작됩니다. 단순하게 생각해보자면 커뮤니티를 만드는 건 '어떤 사람들을 모을 거야?'에 대한 답변이죠. 커뮤니티 활동을 설계하기 전 참여할 사람을 특정해야 그들의 특성을 바탕으로 브랜딩되고요.
사람들이 돈과 시간을 들여 채우려고 하는 것은 '돈과 시간으로 살 수 없는' 무정형의 무엇이라고 생각해요. 쉽게 얻을 수 있다면 돈도 시간도 내려 하지 않겠죠. 지금 내게 없는 것을 얻기 위한 시도 또는 내가 해소하고 싶은 감정적 공허감 등에 대한 답을 타인과의 만남에서 구하는 것 같거든요. 결국 어떻게 '진정성 있는 교감'에 도달하느냐에 따라 커뮤니티 빌딩의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한 사람과의 진정성 있는 관계 형성이 책 몇 권보다 더 가치 있을지도 모르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