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산업공학
· ISBN : 9791141037208
· 쪽수 : 269쪽
· 출판일 : 2023-07-25
목차
1. 서론
1.1. 책의 목적 및 범위 8
1.2. 타겟 독자 소개 9
1.3. 책의 필요성 11
2. 재난 원인 조사의 중요성
2.1. 인명 구조 및 자산 보호 15
2.2. 예방 및 대비책 발굴 16
3. 재난 원인의 분류
3.1. 구조적 원인 19
3.1.1. 인프라 불완전성 21
3.1.2. 건축 설계와 공사 방법 22
3.2. 기술적 원인
3.2.1. 설비 고장 및 부적절한 유지보수 25
3.2.2. 신기술 도입과 관련된 잠재 위험 28
3.3. 인적 원인
3.3.1. 인식 부족 및 교육 미비 32
3.3.2. 직무유기 및 에러 34
3.4. 환경적 원인
3.4.1. 기후변화 영향 36
3.4.2. 인구 밀도와 접촉 확률 37
4. 재난 원인 조사 방법론
4.1. 조사 과정 및 대상 선정 41
4.1.1. 기존 연구 및 사례 분석 43
4.1.2. 탐색적 조사 45
4.2. 데이터 수집 및 분석 47
4.2.1. 정량적 방법론 49
4.2.2. 정성적 방법론 50
4.3. 실험 및 연구 52
4.3.1. 실험 설계 및 방법론 53
4.3.2. 연구 및 관찰 기법 56
4.4. 인터뷰 및 정보 검증 58
4.4.1. 전문가 인터뷰 60
4.4.2. 현장 조사 및 영상 분석 61
5. 실제 재난 사례와 원인 분석
5.1. 사례별 재난 원인 조사 및 논의 64
5.1.1. 세계 대표적 재난 사례 66
5.1.2. 국내 재난 사례 70
5.2. 각 사례에서 배울 수 있는 교훈 72
5.2.1. 예방적 대책 수립 76
5.2.2. 효율적 구조조직 협력 79
5.3. 사례별 구조적, 기술적, 인적, 환경적 원인의 영 향 81
5.3.1. 기존 시스템의 한계 86
5.3.2. 신기술 도입의 필요성 88
6. 개선 방안 및 대응 전략
6.1. 사례별 개선 방안 제시 92
6.1.1. 시스템 및 프로세스 개선 98
6.1.2. 인재 양성 및 교육 체계 구축 100
6.2. 대응 전략 수립 및 실행 102
6.2.1. 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 104
6.2.2. 현장 대응능력 개발 107
6.3. 단기 대책과 장기 대책의 차이 109
6.3.1. 단기적 대응 최적화 111
6.3.2. 방향성에 기반한 장기적 대응 전략 113
7. 재난 원인 조사의 한계 및 보완 방안
7.1. 정보 공유와 협업의 중요성 116
7.1.1. 국가 간 및 기관 간 정보 교환 116
7.1.2. 커뮤니케이션 체계 구축 117
7.2. 법적 및 제도적 한계 122
7.2.1. 현행 제도의 미비점 124
7.2.2. 법제 개선을 위한 연구 127
7.3. 보다 효과적인 재난 원인 조사 방식 129
7.3.1. 분석 및 모니터링 기술 발전 129
7.3.2. AI 및 로봇 기술의 활용 129
8. 결론 및 미래 전망
8.1. 재난 원인 조사의 발전 방향 133
8.1.1. 지속 가능한 발전과 안전문화 135
8.1.2. 스마트시티 추진과 지능형 재난관리 138
8.2. 지속 가능한 재난관리와 대응 140
8.2.1. 탄력적 사회 구조의 필요성 140
8.2.2. 재난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 유통 시스템 141
8.3. 사회와 기술 변화에 따른 적응 143
8.3.1. 사회 변화에 따른 재난 예측 145
8.3.2. 기술 발전의 확산과 활용 가능성 148
부록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