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AI와 생성 음악](/img_thumb2/9791143000934.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43000934
· 쪽수 : 101쪽
· 출판일 : 2025-05-20
책 소개
목차
생성형 AI와 인간, 미래
01 AI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02 대중음악 생태계의 변화
03 생성과 예술
04 생성 예술의 특성
05 생성 음악의 정의
06 시대별 생성 음악
07 생성형 AI 작곡 프로그램
08 생성형 AI 음악의 창작
09 생성형 AI 음악의 유통과 소비
10 생성형 AI 음악과 인간
저자소개
책속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특징 중 하나는 사용자 중심의 개인화다. ‘100명이 있으면 100개의 시장이 있다’는 디지털 환경에서는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과 성향을 반영한 맞춤형 경험이 가능해졌다. 플랫폼은 자유로운 접근성과 높은 편의성을 제공하며, 클라우드 서비스의 발전은 정보 구축 시스템의 진입 장벽을 낮춰 소규모 기업과 개인도 쉽게 콘텐츠를 제작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이로 인해 개인 콘텐츠의 수요와 공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01_“AI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중에서
생성 예술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식은 크게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디지털 방식은 주로 컴퓨터 알고리즘을 활용하며 최근에는 AI 기술을 통해 더욱 정교한 시스템을 설계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디지털 방식은 직접적으로 결과물을 생성하거나 알고리즘을 통해 얻은 데이터값을 활용해 창작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후자의 경우 디지털 데이터를 활용해 아날로그 매체와 결합하는 방식도 포함한다. 아날로그 방식의 대표적인 예로는 잭슨 폴록(Jackson Pollock)의 액션 페인팅을 들 수 있다. 물감을 떨어뜨리기나 튀기고, 페인트 통을 흔드는 등의 규칙적이고 연속적인 행위를 통해 작품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03_“생성과 예술” 중에서
AI를 활용한 최초의 작곡 시스템이라고 일컫는 1957년 레자렌 힐러(Lejaren Hiller)와 레너드 아이작슨(Leonard Issacson)의 일리악(ILLIAC)은 확률적 방식과 규칙 기반 방식을 활용해 음악을 생성했다. 한편 생성 음악(generative music)이라는 개념을 처음 제시한 브라이언 이노(Brian Eno)는 초기 작업에서 셀룰러 오토마타(cellular automata) 알고리즘 방식을 활용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작곡 시스템 개발이 활발해졌다. 초기 컴퓨터 알고리즘 기반 작곡 방식은 인공지능이라는 큰 범주 안에 포함되어, 인간의 창작 영역을 알고리즘이 대체하거나 보조하는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06_“시대별 생성 음악”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