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한국 전통음악
· ISBN : 9791155223604
· 쪽수 : 351쪽
· 출판일 : 2023-12-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Ⅰ. 아리랑이란 무엇인가
01. 아리랑의 정의와 범주
02. 아리랑 국가무형문화재 전승공동체 종목 지정의 의미
03.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 아리랑의 의의와 가치
Ⅱ. 아리랑 생성의 시간과 공간
01. 아리랑의 생성
02. 아리랑의 공간
03. 아리랑의 역사성과 지역성
Ⅲ. 아리랑의 변주와 전형
01. 아리랑의 악곡별 특징과 변주 양상
02. 아리랑의 전형성
Ⅳ. 아리랑의 전승현황
01. 아리랑의 전승공동체
02. 아리랑의 전승활동과 콘텐츠적 활용
03. 아리랑의 현재적미래적 가치
부록 악보
미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아리랑은 이제껏 그래왔듯이 끊임없이 변주되고 확장해 나갈 것이다. 그리고 무형유산으로서 아리랑을 바라보는 우리는 그러한 확장을 장려하고, 때로 주도해야 할 임무가 있다. 자유로운 변주와 확장이 아리랑의 전형이자 정체성이기 때문이다.
아리와 아라리, 아리랑은 항상 ‘고개’를 넘는 것으로 귀결된다. ‘고개’는 많은 것을 담을 수 있는 상징이다. 넘기 힘든 고개는 인생의 고난이고 역경이다. 인간이 살아가는 과정에서 만나는 모든 어려움이 ‘고개’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누구에게나 있는 ‘고개’가 아리랑의 대표 가사로 들어가 있다는 것은 아리랑이 그런 고개를 넘는 이들에게 위로가 되어 주는 노래였음을 말해 준다.
아리랑은 그동안 다양한 의미와 가치로 평가받아 왔지만 불변의 가치는 정서를 담는 표현 도구라는 점이라 본다. 이러한 가치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누구나 자신의 아리랑을 만들어 부를 수 있어야 한다. 미래의 아리랑을 위해서, 아리랑의 건강한 전승을 위한 정책으로써 ‘모두의 아리랑’이라는 방향성을 분명히 세워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