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91155505861
· 쪽수 : 760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한국 현대문학의 제도적 시원
1장 해방 또는 ‘신천지’의 열림
1. 해방기의 매체와 문학 그리고 『신천지』
2. 『신천지』의 저변과 잡지주체
3. 『신천지』의 매체전략과 문학
2장 대한민국 문화의 근원-전향과 내부냉전
1. 단정수립 후 전향 공간의 특수성
2. 해방 후 문화운동의 분극화와 전향
3. 전향 공간의 문화적 역학
4. 전향 의제와 문화사
3장 순수문학이라는 제도-『문예』와 문학 권력의 창출
1. 『문예』의 위상
2. 단정수립 후 문학 장의 재편과 『문예』
3. 등단제도의 확립과 순수문학의 제도적 정착
4. 해방10년 문학·문단사와 『문예』의 유산
4장 신문소설의 재등장과 식민유산의 전환
1. 신문, 그 이상의 미디어
2. 권력, 신문, 문학의 관계와 신문의 문학전략
3. 신문 연재소설의 양상과 그 저변
4. 신문소설에 대한 문단·문인의 인식
제2부 열전과 혁명 사이, 전후 문학 장의 재구조화
5장 전후 풍속과 자유민주주의
1. 『자유부인』과 전후 풍속
2. 열전과 혁명 사이, 전후 풍속의 혼돈과 시대성
3. 풍속담론의 내적 역학
4. 소용돌이 풍속의 사회문화적 함의
6장 저널리즘과 문학
1. 1950년대 매체론적 문학연구의 유효성
2. 신문저널리즘과 문학
3. 잡지저널리즘과 문학
4. 문예지와 문학
7장 번역 장의 형성과 구조
1. 1950년대 번역 장 조형의 특수성
2. 국가권력의 근대화 기획과 번역
3. 출판자본의 이율배반적 출판전략과 번역
4. 문화주체의 세계주의와 번역-『문학예술』을 중심으로
5. 불구적 번역지형과 문화적 사유
8장 전후의 등단제도
1. 등단제도의 복원
2. 신춘문예의 부활과 제도화 양상
3. 추천제의 경쟁 구도와 가부장적 문단 체제
4. 등단제도와 문학계의 구조 변동
9장 『신태양』과 문학
1. 문학 중점주의
2. 신태양사 출판자본의 잡지연쇄
3. 『신태양』의 매체전략과 문학
4. 전반기 『신태양』의 문학 배치
제3부 혁명과 쿠데타의 교차, 1960년대 문학의 존재
10장 1960년대 등단제도와 문학
1. 1960년대 문단과 등단제도
2. 신춘문예, 세 욕망의 경합 메커니즘
3. 잡지의 추천제와 신인문학상
4. 동인지 전성과 세대교체론
11장 1960년대 검열체제와 민간자율기구
1. 1960년대 검열의 중요 지점
2. 박정희체제의 언론정책과 민간자율기구
3. 윤리위원회의 실태와 자율심의 결과
4. 민간자율기구의 제도적 위상과 기능
5. 민간검열과 문학
12장 불온성, 대중교양 그리고 문학-1960년대 복간 『신동아』론
1. 동아일보사 『신동아』의 복간
2. 편집체제와 종합지의 새 모델
3. 매체전략과 대중교양
4. 『신동아』와 문학
13장 1960년대 권력과 지식인 그리고 학술의 공공성
1. 권력/지식인 관계의 다층성과 다면성
2. 지식인 현실참여의 배경과 지점
3. 학술적 파르티씨파숑의 특징과 공과 –평가교수단의 활동을 중심으로
4. 학술적 현실참여의 가능성
참고문헌
논문의 원문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