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냉전문화사

한국의 냉전문화사

이봉범 (지은이)
소명출판
6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2,000원 -0% 0원
620원
61,380원 >
55,800원 -10% 0원
0원
55,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의 냉전문화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냉전문화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59057656
· 쪽수 : 758쪽
· 출판일 : 2023-03-01

책 소개

냉전체제와 한국적 조건이 뒤섞여 굴절·변용되는 전경은 서구발 냉전(문화)의 보편성으로 치환 또는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복잡다단하다. 냉전/문학(화)의 구조적 역학으로 빚어진 한국의 냉전문화란 무엇일까? 이 책은 한국의 냉전문화의 형성, 문화, 사상 등 냉전문화사를 정리하였다.

목차

책머리에 3

제1부 미국의 원조 그리고 동아시아 냉전
제1장 냉전과 원조, 원조시대 냉전문화 구축의 역동성1950~60년대 미국 민간재단의 원조와 한국의 문화·학술 19
1. 아시아재단에 대한 연구의 몇 가지 전제 19
2. 냉전과 원조의 구조적 역학, 미국의 대한원조 32
3. 미국 민간재단이 시행한 한국원조와 냉전 문화·학술의 형성 50
4. 냉전문화연구에 대한 일 전망 73
제2장 한미재단, 냉전과 한미 하방연대 78
1. 전쟁고아 리틀 타이거와 한미재단 그리고 냉전 78
2. 한미재단의 위상과 주요 사업 92
3. 4-H클럽 지원 사업, 미국적 모델 이식과 종속/발전의 이중주 110
4. 한미재단에 대한 폭넓은 관심을 제안하며 133
제3장 일본, 적대와 연대의 이중주 1950년대 한국지식인들의 대일인식과 한국문화(학) 137
1. 1950년대에서의 일본, ‘괴로운’ 존재 137
2. 이승만의 대일정책과 지식인들의 대일인식 기조-경계론·배제론/현실론·운명론의 교차와 길항 148
3. 1950년대 일본적인 것의 존재와 한국문화(학) 172
4. 1950년대 친일문제의 한 국면 191
제4장 냉전과 두 개의 중국, 1950~60년대 중국 인식과 중국문학의 수용 196
1. 냉전과 중국문학 196
2. 1950~60년대 한국의 냉전외교정책과 중국 이해의 지평 207
3. 1950~60년대 중국문학 번역 및 수용의 구조와 양상 226
4. 중국문학사 저술의 안팎 248

제2부 냉전의 지식, 냉전의 텍스트
제5장 냉전텍스트 『실패한 신』의 한국 번역과 수용의 냉전 정치성 257
1. 『실패한 신』의 기획과 한국에서의 번역 양상 257
2. 냉전텍스트의 세계적 연쇄와 한국 및 동아시아의 문화냉전 268
3. 냉전텍스트의 심리전 활용과 전향의 냉전 정치성 288
4. 냉전텍스트 전유의 균열과 탈냉전적 전망 301
5. 사회주의 전향자의 지적 유토피아니즘과 한국사회 311
제6장 자주적 통일 민족국가의 상상과 북조선북조선기행기와 민족주의 문화지식인의 동향을 중심으로 315
1. 남북협상과 1948년 체제 그리고 북조선 315
2. 북조선기행기에 나타난 북조선 인식의 몇 층위 329
3. 단선·단정국면 문화지식인들의 자주적 통일국가수립 운동의 조건과 논리 351
4. 민족주의 문화지식인들의 통일국가 운동이 남긴 유산 358
제7장 『북의 시인』과 냉전 정치성1960년대 초 한국 수용과 현해탄 논전을 중심으로 371
1. 냉전문화사 텍스트 『북의 시인』 371
2. 『북의 시인』과 현해탄 논전 380
3. 『북의 시인』의 냉전 정치성 395
4. 두 번의 한국 수용이 갖는 의미 415
제8장 냉전과 북한연구, 1960년대 북한학 성립의 안팎 418
1. 통일의식과 북한 이해의 크렘리놀로지 418
2. 냉전지역학으로서 북한학의 출현 432
3. 1960년대 북한연구의 두 방향 449
4. 맺음말 470

제3부 한반도의 내부냉전, 부역·월경越境·전향
제9장 냉전 금제와 프로파간다반란, 전향, 부역 의제의 제도화와 내부냉전 475
1. 진실 복원에 대한 심문 475
2. 내부냉전 구조의 창출과 냉전 금제의 제도화 481
3. 프로파간다와 의사합의적 냉전멘탈리티의 정착 531
4. 전후 심리전의 징후 540
제10장 냉전과 월남지식인, 냉전문화기획자 오영진한국전쟁 전후 오영진의 문화 활동 543
1. 세계냉전과 오영진 543
2. 남한의 ‘내부냉전’과 오영진의 문화냉전 기획 553
3. 월남문화인의 조직화와 문화냉전 전 572
4. 기록주의의 성과와 한계 585
제11장 귀순과 심리전, 1960년대 국가심리전 체계와 귀순의 냉전 정치성 592
1. 귀순과 전략심리전 592
2. 1960년대 반공체제 재편성과 국가심리전 체계 603
3. 대공심리전의 주체와 논리, 귀순자의 존재론 632
4. 냉전질서의 변동과 심리전 652
제12장 냉전과 월북, (납)월북의제의 문화정치 656
1. (납)월북 문인·예술가 해금조치, 그 경과, 의의, 한계 656
2. 냉전논리의 제도화와 사상지리의 구축, 1950년대 675
3. 냉전체제 변동의 국내적 변용과 금지/해금의 파행, 1960~70년대 697
4. 신데탕트의 조성과 해금의 불가항력, 1980년대 714
5. 미완의 해금(복권) 너머 726

참고문헌 730
찾아보기 745
초출일람 756

저자소개

이봉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해방 후 검열, 매체, 전향, 번역. 등단제도, 법제, 문예조직 등의 문학제도사를 연구했고 이를 냉전과 결부시켜 한국냉전문화사 연구로 확장시켜왔다. 냉전과 검열의 관계를 중심으로 냉전기 검열의 사회문화사를 집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의 냉전문화사』(2023), 『전향, 순수, 전후, 참여-대한민국 문학의 형성과 매체』(2023), 『해금을 넘어서 복원과 공존으로-평화체제와 월북작가 해금의 문화정치』(공저,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