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91155506486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24-11-29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滄溪家文獻의 내력과 의미 서설 / 임형택
1. 창계가문헌의 내력
2. 창계가문헌에 대한 관점의 일단
羅州林氏 滄溪家門의 연원과 역사적 전개 / 김학수
1. 머리말
2. 林泳家 淵源과 역사적 대두
3. 16세기 사림시대의 전개와 회진임씨
4. 17세기 초반 서인시대의 개막과 회진임씨 : 林㙐・林㙔 형제를 중심으로 64
5. 17세기 중후반 임영가의 형성과 전개 : 정치적 신축성과 학문적 개방성
6. 18세기 이후 임영가의 동향 : ‘창계추양론’과 사회적 대응
7. 맺음말
滄溪의 시문과 학술에 대한 일고찰 / 심경호
1. 서언
2. 창계의 科宦歷·學問工程과 시문
3. ‘因文入道’와 ‘喫緊精熟’
4. 창계의 학술 규모와 학문 방법
5. 결어
滄溪 林泳의 漢詩 硏究 - 自己 省察과 求道의 情感 / 진재교
1. 머리말
2. 자기 省察과 求道를 향한 삶 : 창계 한시의 배경
3. 自己 省察과 修養의 情緖
4. 哲理의 실천과 求道의 노래
5. 맺음말
滄溪 林泳 자료의 문헌적 검토와 산문 창작의 일면 / 정우봉
1. 문제 제기
2. 滄溪家 소장 필사 문헌과 문집 간행
3. 滄溪 林泳의 산문 창작과 글쓰기 방식
4. 마무리
滄溪 林泳의 疏箚 / 송혁기
1. 학자 임영의 소차
2. 임영의 出處觀과 出仕 경위
3. 임영의 소차 인식과 작품
4. 임영의 萬言疏
5. 임영 소차의 의의
滄溪 林泳의 因文入道論 / 이영호
1. 들어가는 말
2. ‘文’을 통하다(因文)
3. ‘道’로 들어가다(入道)
4. 마무리
滄溪 林泳의 경학 - 自得과 일상에서의 실천을 중심으로 / 함영대
1. 문제제기
2. 학문의 지향과 해석의 두 방향
3. 자득의 방법론과 경전해석의 실제
4. 독서와 일상에서의 학문적 실천
5. 남는 문제
존경각 기탁 창계 자료 개관 - 필사본 고서와 고문서를 중심으로 / 장유승
1. 머리말
2. 필사본 고서
3. 고문서
4. 맺음말
滄溪 林泳 저술 번역의 현황과 과제 / 권헌준
1. 서론
2. 滄溪 林泳 저술의 번역 현황
3. 『창계집』과 『국역 창계집』
4.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번역총서 『창계집』의 의의와 과제
5. 결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