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금화경독기 세트 - 전2권

금화경독기 세트 - 전2권

서유구 (지은이), 진재교, 노경희, 박재영, 김준섭, 박지은, 이정욱, 전형윤, 지금완 (옮긴이)
  |  
자연경실
2019-11-01
  |  
10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90,000원 -10% 0원 5,000원 8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금화경독기 세트 - 전2권

책 정보

· 제목 : 금화경독기 세트 - 전2권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91189801212
· 쪽수 : 853쪽

책 소개

<금화경독기>는 풍석 서유구의 저술로, 서유구 만년의 학문적 성과를 보여주는 책으로, 다양한 학술적 주제와 이용후생학 관련 지식·정보를 담고 있는 만년의 노작 중 하나이다.

목차

번역문 차례
《금화경독기》를 펴내며
일러두기
《금화경독기(金華耕讀記)》 해제

금화경독기金華耕讀記 권1 >>
《전국책戰國策》의 오류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1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2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3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4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5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6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7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8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9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10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11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12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13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14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15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16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17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18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19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20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21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22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23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24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25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26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27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28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29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30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31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32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33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34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35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36 | 《사기史記》의 정오正誤 37 | 《사기史記》에서 시호를 잘못 쓴 오류 | 《사기史記》에서 같은 내용을 반복하여 쓴 것 1 | 《사기史記》에서 같은 내용을 반복하여 쓴 것 2 | 《사기史記》에서 같은 내용을 반복하여 쓴 것 3 | 《사기史記》에서 같은 내용을 반복하여 쓴 것 4 | 《사기史記》에서 같은 내용을 반복하여 쓴 것 5 | 《사기史記》에서 같은 내용을 반복하여 쓴 것 6 | 《사기史記》에서 잘못 쓴 글자 | 《사기史記》에서 군더더기로 쓴 말 | 《사기史記》에서 사건의 전말이 확실히 드러나지 않은 문장 | 《사기史記》의 구두句讀 | ‘承’ 자와 ‘乘’ 자의 통용 | 고기반찬을 먹다 | 《전국책》과 《사기》의 우열 1 | 《전국책》과 《사기》의 우열 2 | 《전국책》과 《사기》의 우열 3 | 《전국책》과 《사기》의 우열 4 | 《한서漢書》의 오류 | 〈고금인표古今人表〉 | 《송사宋史》의 오류 |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의 글자 생략

금화경독기金華耕讀記 권2 >>
기삼백朞三百 | 용수用數 | 해설 | 찬讚 | 《율려신서律呂新書》 | 12율의 실수實數 | 변률變律 | 변성變聲 | 84성도八十四聲圖 | 60조도六十調圖 | 사마천의 〈율서〉를 개정하다司馬遷〈律書〉改正 | 〈율서律書〉 생종분生鐘分 | 《역상계몽易象啓蒙》 | 《상서지지尙書枝指》

금화경독기金華耕讀記 권3 >>
《시경》 〈진풍秦風〉의 《시경집전詩經集傳》 | 〈자금子衿〉 | 〈의례석궁儀禮釋宮〉
《맹자》의 개와 돼지가 사람이 먹을 식량을 먹는데도 단속할 줄 모른다 | 《지언의의知言疑義》 | 《제민요술齊民要術》의 주석 | 《유산집遺山集》 | 《본초강목本草綱目》 | 《화통化統》 | 《오대사五代史》 | 《종수서種樹書》 | 《감석성경甘石星經》 | 《농사직설農事直說》 | 《통지通志》의 소략함 | 《군쇄록群碎錄》 | 신유紳瑜 | 《일존총서佚存叢書》 | 《성심록省心錄》 | 《주후농서周侯農書》 | 《와유록臥遊錄》 | 《옥호청화玉壺清話》의 오류 | 《사조문견록四朝聞見錄》의 오류 | 《화담집花潭集》 | 《고려사高麗史》 | 비지碑誌가 후세에 전하다 | 제왕이 지은 묘비명 | 한유가 지은 왕적王適의 묘지명 | 구양수의 비지문 | 구양수가 지은 왕단王旦의 신도비 | 자명自銘 | 비간比干의 묘지명 | 비음碑陰에 문생을 나열하다 | 도치문 | 헐후歇後 | 《이소離騷》의 구법句法 | 《한시외전韓詩外傳》 | ‘근僅’ 자의 쓰임 | 지팡이에 새긴 경계의 글, 장명杖銘 | 《열자列子》 | 상앙商鞅이 진 효공秦孝公을 세 번 만나다 | 부정斧政 | 송부떡 | 《문장종지文章宗旨》 | 최간이崔簡易의 문장 | 《각기집脚氣集》에서 논한 소동파蘇東坡의 문장 | 소동파가 등장민滕章敏을 대신하여 지은 계啓 | 〈지희정기至喜亭記〉 | 양신이 주자의 문장을 논하다 | 교행간喬行簡과 조허재趙虛齋의 상량문上樑文 | 집안에 보관하다 | 속자俗字 | 어휘의 중복 사용, 사죽관현絲竹管絃 | 청운靑雲의 선비 | 아름답고 우아하다

금화경독기金華耕讀記 권4 >>
사천斜川 소과蘇過의 시문詩文 | 장초蔣超의 게偈 | 시詩는 처절함을 꺼린다 | 성여학成汝學의 경구警句 | 사간재謝艮齋의 권농시勸農詩 | 은사隱士의 제벽시題壁詩 | 우촌雨村 이조원李調元의 견일정見一亭 시 | 두보 시의 측백나무와 《장자》의 상수리나무 | 왕안석의 시 | 기러기 모양의 돌 | 막다른 길에서 발걸음을 재촉하다 | 신중선辛仲宣 | 예양豫讓 | 구양관歐陽觀 | 장자야張子野 | 위상魏祥 | 나덕헌羅德憲 | 주탁周倬이 고려에 사신으로 가다 | 구양수가 적청狄靑을 논한 차자에 대해 위희魏禧가 논하다 | 우겸于謙이 왕세자의 복위를 청하다 | 소송蘇頌이 부친에 대한 비난에 변명하다 | 반양귀潘良貴와 향자인向子諲에 대한 시비의 문제 | 명인名人의 불초한 자식들 | 패수浿水 | 서한西漢의 강토 | 《방여기요方輿記要》에 언급된 흑수黑水의 오류 | 평양平壤의 지형 | 둔라屯羅 | 연광정練光亭 편액 | 사견四堅 | 압구정鴨鷗亭 | 완구정翫鷗亭 | 전철煎鐵 | 한구寒具 | 요화蓼花 | 대보름 약밥 | 상공일上工日 | 등석燈夕 | 중명조重明鳥 | 전좌傳坐 | 유상곡수流觴曲水

금화경독기金華耕讀記 권5 >>
옥각玉刻 | 문팽文彭과 하진何震의 인각印刻 | 협접도蛺蝶圖 | 백자도百子圖 | 화염도火炎圖와 적설도積雪圖 | 계첩禊帖 | 주지번朱之蕃의 글씨 | 도서 수집[儲書] | 장서지裝書紙 만드는 방법 | 장황裝潢 | 자황雌黃 | 할부割付 | 장서藏書 | 책방[書肆] | 활판 | 침서 | 대장경大藏經

금화경독기金華耕讀記 권6 >>
문장지우文章知遇 | 성인의 사람 보는 눈 | 마음을 분산시키지 않기 | 살아있을 때 미리 관 짜두기 | 혼인할 집에서 먼저 물건을 보내는 것 | 곡식 창고를 턴 도둑을 처벌하는 법률 | 소 도살 금지 | 술 만드는 도구의 금지 | 선침온피扇枕溫被 | 수년장隨年杖 | 죄수를 풀어주다 | 옥대玉帶 도둑 | 큰 수레 | 땅에서 나는 밀가루麪 | 하늘에서 보리가 내리다 | 다시 살아나다 | 기이한 사람 | 백 세 노인 | 육경六更 | 의장義莊과 의숙義塾 | 하루에 쓰는 비용을 절약하다 | 인생을 받아서 쓰다 | 눈썹이 다 빠지다 | 기밀螧蜜 | 음식 재료 | 책을 보며 잠을 쫓다 | 황도黃道 | 책제策題 | 신수神樹 | 지장을 찍은 문서[畵指券] | 방구들의 시초 | 옥당玉堂 | 내각대교內閣待敎 | 검교관檢校官 | 상 당한 사람을 대신하는 것을 꺼리다 | 월급 | 호포제戶布制 | 선덕宣德 연간에 소를 징수하다 | 악성樂成 | 생황笙黃 | 비파의 가죽 현 | 고금의 도량형 | 한전제限田制 | 경작지를 구분하는 방법 | 토양에 수분이 많을 때의 경작 | 신농神農과 허행許行의 책 | 소의 사료로 이용된 면병棉餠 | 온천물은 싹을 빨리 자라게 해 준다 | 금성金城에서의 전투 방략方略 | 소를 이용한 밭갈이의 시초 | 말은 높고 추운 곳을 좋아한다 | 서한의 성대한 목축

금화경독기金華耕讀記 권7 >>
유연묵油煙墨 | 우리나라의 종이 | 측리지側理紙 | 안경[靉靆] | 나판[懶版] | 접첩선摺疊扇 | 단선團扇 | 염정鹽井 | 석탄 | 석회목石灰木 | 전나무와 회나무 | 마린馬藺 | 오동나무 기름 | 여정女貞 | 우芋 | 족제비[鼠狼] | 도룡뇽[鯢魚] | 왜송倭松 | 자작나무[樺] | 정공등丁公籐 | 대자석代赭石 | 한 치의 오디 | 관음죽 | 흡독석吸毒石 | 송이 | 마가목 열매 | 도꼬마리 | 목화씨 기름[木綿油] | 석화石花 | 광어廣魚와 설어舌魚 | 편도匾桃 | 벽도碧桃 | 기장[稷] | 수수[蜀黍] | 철갑상어[鱣] | 학鶴 | 새우가 메뚜기가 되다 | 진晋나라 사람의 나무 심고 가꾸기 | 사탕수수[蔗] | 오구나무[烏桕] | 옥미인玉美人 | 추해당秋海棠 | 해당화海棠花 | 밀화密花 | 유리석琉璃石 | 구리[銅] | 금
도인법導引法으로 병을 치료한다 | 풍비風痺를 치료하는 방법 | 가슴과 배의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 | 곽란霍亂을 치료하는 방법 | 구토嘔吐를 치료하는 방법 | 기병氣病을 치료하는 방법 | 담음痰飮을 치료하는 방법 | 폐결핵을 치료하는 방법 | 허리와 옆구리의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 | 각기脚氣를 치료하는 방법 | 적취積聚를 치료하는 방법 | 비위脾胃가 편치 않음을 치료하는 방법 | 소갈消渴을 치료하는 방법 | 배가 더부룩한 것을 치료하는 방법 | 눈과 귀가 밝아지게 하는 방법 | 목구멍과 혀의 병을 치료하는 방법 | 이를 단단하게 하는 방법 | 비염을 치료하는 방법 | 정액이나 소변이 새는 것을 치료하는 방법 | 임질을 치료하는 방법 | 대소변이 원활치 않음을 치료하는 방법 | 산증疝症을 치료하는 방법 | 치질을 치료하는 방법 | 황종黃腫을 치료하는 방법 | 어지럼증을 치료하는 방법 | 부스럼을 치료하는 방법 | 온몸이 욱신거리는 고통을 치료하는 방법 | 설사를 치료하는 방법 | 등과 팔뚝의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 | 색로色勞를 치료하는 방법 | 피곤증을 치료하는 방법 | 상한傷寒을 치료하는 방법 | 식체食滯를 치료하는 방법 | 임맥任脈을 치료하는 방법 | 모든 잡병을 치료하는 방법 | 이[齒]를 단단하게 하는 방법 | 검은깨 | 장생주長生酒

표점원문 차례

金華耕讀記 卷一
《戰國策》 紕繆 | 《史記》 糾謬 | 《史記》 稱謚之誤 | 《史記》 疊句 | 《史記》 累語 | 《史記》 贅語 | 《史記》 晦語 | 《史記》 句讀 | 承·乘通用 | 刺齒肥 | 《國策》 《史記》 優劣 | 《漢書》 訛謬 | 〈古今人表〉 | 《宋史》 訛謬 | 《綱目》 減字

金華耕讀記 卷二
朞三百 | 用數 | 解說 | 讚曰 | 《律呂新書》 | 十二律之實 | 變律 | 變聲 | 八十四聲圖 | 六十調圖 | 司馬遷 〈律書〉 改正 | 〈律書〉 生鐘分 | 《易象啓蒙》 | 《尙書枝指》

金華耕讀記 卷三
詩秦風集傳 | 〈子衿〉 | 〈儀禮釋宮〉 | 《孟子》 狗彘食人食而不知檢 | 《知言疑義》 | 《齊民要術》 注 | 《遺山集》 | 《本草綱目》 | 《化統》 | 《五代史》 | 《種樹書》 | 《星經》 | 《農事直說》 | 《通志》 疎略 | 《群碎錄》 | 紳瑜 | 《佚存叢書》 | 《省心錄》 | 《周侯農書》 | 《臥遊錄》 | 《玉壺清話》 訛謬 | 《四朝聞見錄》 訛誤 | 《花潭集》 | 《高麗史》 | 碑誌傳後 | 墓碑御撰 | 韓文公王適墓銘 | 六一碑誌 | 歐陽公王文正神道碑 | 自銘 | 比干墓銘 | 碑陰列門生 | 倒語 | 歇後 | 〈離騷〉 句法 | 《韓詩外傳》 | 僅 | 杖銘 | 《列子》 | 商君三見 | 斧政 | 松膚 | 文章宗旨 | 簡易文 | 《脚氣集》 論東坡文 | 東坡代作滕章敏啓 | 至喜亭記 | 楊愼論朱子文 | 喬、趙上梁文 | 藏于家 | 俗字 | 絲竹管絃 | 靑雲之士 | 美且都

金華耕讀記 卷四
斜川詩文 | 蔣超偈 | 詩忌凄切 | 成汝學警句 | 謝艮齋勸農詩 | 傳逸人題壁詩 | 李雨村見一亭詩 | 杜詩柏莊子櫟 | 荊公詩 | 石雁 | 窮道疾足 | 辛仲宣 | 豫讓 | 歐陽觀 | 張子野 | 魏祥 | 羅德憲 | 周倬使高麗 | 魏叔子論歐陽公論狄靑箚子 | 于忠肅請復儲 | 蘇子容辨謗 | 潘向是非 | 名人子不肖 | 浿水 | 西漢職方 | 《方輿記要》 言黑水之誤 | 平壤地形 | 屯羅 | 練光亭扁 | 四堅 | 狎鷗亭 | 翫鷗亭 | 煎鐵 | 寒具 | 蓼花 | 上元藥飯 | 上工日 | 燈夕 | 重明鳥 【重明鳥一名雙睛, 言雙睛在目.】 | 傳坐 | 流觴曲水

金華耕讀記 卷五
斜玉刻 | 文三橋、何雪漁鐵筆 | 蛺蝶圖 | 百子圖 | 火炎積雪圖 | 禊帖 | 朱之蕃筆 | 儲書 | 造裝書紙法 | 裝潢 | 雌黃 | 割付 | 藏書 | 書肆 | 活板 | 鋟書 | 藏經

金華耕讀記 卷六
文章知遇 | 聖人觀物 | 用志不分 | 生前作棺 | 姻家先輸 | 盜倉穀律 | 屠牛之禁 | 禁酒具 | 扇枕溫被 | 隨年杖 | 縱囚 | 玉帶盜 | 大車 | 地産麪 | 雨麥 | 再生 | 人異 | 百歲老人 | 六更 | 義莊、義塾 | 日用節嗇 | 人生受用 | 眉毛落盡 | 螧蜜 | 食料 | 看書驅睡 | 黃道 | 策題 | 神樹 | 畵指券 | 房堗之始 | 玉堂 | 內閣待敎 | 檢校官 | 辭避遭喪代 | 月俸 | 戶布 | 宣德徵牛 | 樂成 | 笙黃 | 琵琶皮絃 | 古今度量 | 限田 | 區田 | 濕耕澤鉏| 神農許行之書 | 棉餠飼牛 | 溫泉催苗 | 金城方略 | 牛耕之始 | 馬喜高寒 | 西漢畜牧之盛

金華耕讀記 卷七
油煙墨 | 東紙 | 側理紙 | 靉靆 | 懶版 | 摺疊扇 | 團扇 | 鹽井 | 石炭 | 石灰木 | 樅檜 | 馬藺 | 桐油 | 女貞 | 芋 | 鼠狼 | 鯢魚 | 倭松 | 樺 | 丁公籐 | 代赭石 | 一寸椹 | 觀音竹 | 吸毒石 | 松耳 | 丁公實 | 蒼耳 | 木綿油 | 石花 | 廣魚、舌魚 | 匾桃 | 碧桃 | 稷 | 蜀黍 | 鱣 | 鶴 | 蝦爲蝗 | 晋人樹藝 | 蔗 | 烏桕| 玉美人 | 秋海棠 | 海棠 | 密花 | 琉璃石 | 銅 | 金 | 導引療病 | 治風痺方 | 治心腹痛方 | 治霍亂方 | 治嘔吐方 | 治氣病方 | 治痰飮方 | 治勞瘵方 | 治腰脅痛方 | 治脚氣方 | 治積聚方 | 治脾胃不和法 | 治消渴法 | 治脹滿方 | 明目聰耳法 | 治喉舌病方 | 固齒方 | 治鼻病方 | 治遺洩方 | 治淋方 | 治二便不通方 | 治疝方 | 治痔方 | 治黃腫方 | 治頭暈方 | 治癤方 | 治遍身疼痛方 | 治痢方 | 治背膊痛方 | 治色勞方 | 治疲症方 | 治傷寒方 | 治食滯方 | 治任脈方 | 治一切雜病方 | 固齒方 | 黑細頭 | 長生酒

저자소개

서유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이며 본관은 대구이다. 대제학 보만재 서명응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서호수의 아들이다. 영조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초계문신으로 발탁된 후 좌부승지,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사헌부대사헌, 예문관대제학,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가 늦은 나이에 전라도관찰사, 수원부 유수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경화세족 가문에서 태어나 다양한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가학을 이어 특히 농학(農學)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가문의 개방적인 학문 기풍과 방대한 장서의 열람, 뛰어난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방면에 식견과 경험을 쌓았다. 젊은 시절 정조의 치세 때에는 규장각에서 많은 편찬 사업에 참여했고, 방폐기간 동안의 여러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성장했다. 서유구가 지은 16개의 주제를 지(志)로 하여, 113권으로 구성된《임원경제지》는 농업, 목축, 어업, 양잠, 상업 등의 생산 전반과 의학, 음식, 주거, 선비가 알아야 할 일상 실용지식 등의 생활 전반을 담은 방대한 양의 생활 백과전서이다. 그 밖의 저술로는 정조의 명으로 조선에서 출판한 도서의 목판을 조사한《누판고》와,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할 때는 기민을 구제하기 위해 고구마 재배법을 기록한 《종저보》를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개인 문집으로 《풍석고협집》, 《금화지비집》, 《번계시고》, 《금화경독기》와 전라도관찰사와 수원유수시절의 업무일지인 《완영일록》과 《화영일록》이 전한다. 임원경제연구소, 임원경제연구소는 고전 연구와 번역, 출판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사단법인으로 다양한 전공분야의 소장학자가 참여하여 《임원경제지》를 완역하고 있다.
펼치기
진재교 (옮긴이)    정보 더보기
균관대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대학원 한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고전번역원에서 한학을 연구했으며, 전근대 동아시아학과 조선조 후기 한문학 관련 논저 100여 편이 있으며, 조선조 후기 전(傳)과 기사(記事)를 가려 뽑은 《알아주지 않는 삶 : 모음집》과 야담의 서사에서 가려 뽑은 《사랑이야기》, 《재물이야기》 등을 편역하였다. 그리고 《정조어찰첩》, 《18세기 견문지식의 축적과 지식의 탄생― 지수염필》,《18세기 일본 지식인 조선을 엿보다-평우록》, 《북학 또 하나의 보고서, 설수외사》 등을 공역하였다. 경북대 한문학과 교수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로 근무하며,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장과 동아시아학술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학회와 한국한문학회 회장으로 있다.
펼치기
박재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국역연수원 상임연구원 과정과 성균관대 대학원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고전적 정리의 측면에서 본『한국문집총간』편찬의 의의와 향후 과제」(민족문화 제42집, 2013)가 있고, 번역서로『청성잡기』(공역, 2006),『설수외사』(공역, 2011),『교감학개론』(공역, 2013),『사고전서 이해의 첫걸음:사고제요서강소(四庫提要敍講疏)』(공역,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노경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문고전번역학을 전공하였다. 현재 조선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沈大允의 『論語』해석의 일 단면-利와 忠恕를 중심으로-」(한문고전연구 제29집, 2014), 「沈大允의 『論語注說』譯註」(박사학위논문, 2014)가 있고, 주요 번역서로 『주석학개론』(공역, 2014), 『유교의 이단자들』(공역, 2015),『사고전서 이해의 첫걸음:사고제요서강소(四庫提要敍講疏)』(공역, 2016), 『국역 교궁집록기Ⅱ』(공역,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지금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문고전번역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와 일반연구부 및 국사편찬위원회 초서고급과정을 수료하였다.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으로 재직하였으며 서일대 등에서 강의 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久菴 韓百謙의 方領 深衣說 硏究」(한문고전연구 제29집, 2014), 「한백겸의 『구암유고』譯註」(박사학위논문, 2015)가 있고, 주요 번역서로 『서화잡지』(공역, 2016) 『국역 구암유고』(2016)등이 있다.
펼치기
김준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국어국문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에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정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을 수료하였으며,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와 일반연구부를 졸업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에 재직 중이다. 번역서로 『교감학개론』(공역, 2013), 『주석학개론』(공역, 2014), 『사고전서 이해의 첫걸음:사고제요서강소(四庫提要敍講疏)』(공역, 2016), 『북여요선』(2018) 등이 있다.
펼치기
박지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에 재직 중이다. 번역서로 『교점역해 정원고사』(공역, 2017)가 있다.
펼치기
전형윤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을 수료하였다. 전통문화국역연구원 온지당에서 아당 이성우 선생에게 수학하였으며, 현재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병산집》 《한포재집》 《서하집》 《송사집》 등의 번역에 참여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