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선박 기인 대기오염물질 및 배출량 산정

선박 기인 대기오염물질 및 배출량 산정

이원주, 여실중, 김정국 (지은이)
GS인터비젼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0원
2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선박 기인 대기오염물질 및 배출량 산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선박 기인 대기오염물질 및 배출량 산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우주/해양/조선 기타공학
· ISBN : 9791155765166
· 쪽수 : 239쪽
· 출판일 : 2025-07-31

책 소개

“선박 배출량 산정 방법론”이라는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루고자 한다. 단순한 기술적 접근을 넘어, 선박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계량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정책 수립과 산업 전략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 목적이다.

목차

Chapter 1. 선박 기인 대기오염의 배경과 중요성
1.1 국내외 환경규제 및 정책
1.1.1 국내 환경규제 및 정책
1.1.2 국제해사기구(IMO) 규제
1.1.3 그 밖의 해외 환경규제 및 정책
1.2 선박 기인 대기오염의 개요
1.2.1 질소산화물(NOx)
1.2.2 황산화물(SOx)
1.2.3 이산화탄소(CO2)
1.2.4 입자상 물질(PM)
1.2.5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1.2.6 일산화탄소(CO)
1.2.7 미연탄화수소(unburned hydrocarbon, UHC)
1.3 선박 기인 대기오염물질 저감기술 현황 및 전망
1.3.1 배기가스 재순환(EGR) 시스템
1.3.2 선택적 촉매 환원(SCR) 시스템
1.3.3 황산화물 배기가스정화장치(Scrubber)
1.4 대체 연료: 저탄소 배출 연료
1.4.1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1.4.2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
1.4.3 메탄올(Methanol)
1.5 대체 연료: 탄소 중립 연료, 무탄소 연료
1.5.1 바이오디젤(Biodiesel)
1.5.2 암모니아(Ammonia)
1.5.3 수소(Hydrogen)
1.6 Electricity and Fuel cell
1.6.1 전기추진 선박
1.6.2 연료 전지(Fuel cell, FC)
1.7 Others(Nuclear)
Chapter 2.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방법
2.1 배출량 산정 지침
2.1.1 미국의 배출량 산정 지침의 개발 배경
2.1.2 항만 관련 배출가스 인벤토리의 중요성
2.1.3 가이드 라인의 구성
2.1.4 오염물질 목록의 종류
2.1.5 해양 경계(Marine boundary)
2.1.6 일반 사항
2.2 Ocean-Going Vessels에 대한 배출량 산정 상세 방법
2.2.1 배출량 추정 개요
2.2.2 선박 특성(Vessel Characteristics)
2.2.3 선박 활동 데이터 소스
2.2.4 배출 계수
2.2.5 운항 모드별 보조 엔진 및 보일러 부하
2.2.6 저부하 조정 계수
2.2.7 AIS 인벤토리 계산
2.2.8 대체 인벤토리 계산
2.2.9 미래 배출 인벤토리 예측
Chatper 3. 전주기 평가론
3.1 전주기 평가론(Life Cycle Assessment, LCA) 소개
3.1.1 전주기 평가론(LCA)의 역사
3.1.2 제품의 환경적 측면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 도구
3.1.3 전주기 평가론(Life Cycle Assessment, LCA)
3.1.4 LCA의 장점과 단점
3.1.5 LCA의 기대효과
3.1.6 단순 LCA(Simplified LCA)
3.2 목표와 범위 정의(Goal and Scope Definition)
3.2.1 제품 시스템과 기능(Production System and Function)
3.2.2 시스템 경계(System Boundary)
3.2.3 데이터 범주(Data Category)
3.2.4 목표와 범위 정의 예(Example of the Goal and Scope Definition)
3.3 수명주기 목록 분석(Life Cycle Inventory Analysis, LCI Analysis)
3.3.1 데이터 수집을 위한 준비(Preparation for Data Collection)
3.3.2 데이터 수집과 검증(Data Collection and Verification)
3.3.3 단위 프로세스 환경 부하 계산(Calculation of Environmental Load per Unit Process)
3.3.4 단위 기능 단위 환경 부하 계산(Calculation of Environmental Load per Unit Functional Unit)
3.3.5 LCI 데이터베이스(Life Cycle Inventory Database, LCI DB)
3.3.6 제품 시스템의 LCI표 작성
3.3.7 할당(Allocation)
3.4 수명주기 영향 평가(Life Cycle Impact Assessment, LCIA)
3.4.1 분류(Classification)
3.4.2 특성화(Characterization)
3.4.3 표준화(Normalization)
3.4.4 가중치(Weighting)
3.5 해석(Interpretation)
3.5.1 핵심 이슈 식별(Identification of Key Issues)
3.5.2 완성도, 민감도, 일관성, 데이터 품질 요구 사항 평가(Evaluation of Completeness, Sensitivity, Consistency, Data Quality Requirements)
3.5.3 결론 및 권고사항(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3.6 LCA 예(Example of LCA)
3.6.1 목표와 범위 정의
3.6.2 LCI
3.6.3 LCIA
3.6.4 해석

참고 문헌

저자소개

이원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여실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정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