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봉려관

봉려관

(근대 제주불교를 일으켜 세우다)

정진희 (지은이)
조계종출판사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900원 -10% 590원 10,120원 >

책 이미지

봉려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봉려관 (근대 제주불교를 일으켜 세우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55801550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1-03-11

책 소개

봉려관의 출생과 출가, 제주불교를 다시 일으킨 배경 및 과정, 그의 품성과 일상에 대한 이야기까지, 기존 연구자들의 추측과 상상에 의거한 억지 주장에 맞서 반론을 펼치고 진실을 밝힌다.

목차

출간에 부쳐 / 7
들어가는 말 / 12

제1장 1900~1930년대 제주의 종교 분위기 / 18

제2장 비양도飛揚島—관음신앙 확신 / 26

1. 출생 / 26
2. 1882~1900년 초 / 32
3. 1900년 후반~1901년 / 47

제3장 산천단 山川壇—출가 수계 의지 확립·하화중생下化衆生 의지 발아 / 53

1. 출가 수계 의지를 확립하다 / 53
2. 근대 제주불교 최초 ‘부처님 오신 날’ 행사를 봉행하다 / 70
3. 운대사로부터 가사 전수傳受 / 75
4. 국추의 가사 공양을 받다 / 101
5. 한라산 산신제를 복원하다 / 104

제4장 대흥사大興寺—근대 제주불교 최초 비구니 탄생·항일 독립 의지 발아 / 113

1. 근대 제주불교 최초 비구니가 탄생하다 / 113
2. 승려 봉려관의 초기 활동(관음사 창건 전前) / 127
3. 항일 독립 의지 발아 / 134

제5장 관음사觀音寺—근대 제주불교 발원지 / 140

1. 한라산 관음사를 최초 창건하다—근대 제주불교 최초 사찰 / 141
2. 기층 민중과 함께하다 / 169
3. 의혹을 남긴 봉려관 입적 / 175
4. 관음사 역사를 다룬 기록물 / 190

제6장 법정사法定寺—항일 독립 실천 / 221

1. 봉려관, 법정사를 창건하다 / 221
2. 봉려관이 창건한 법정사 위치 / 226
3. 봉려관, 항일의 꽃을 피우다 / 229
4. 1918년 제주 항일 독립운동의 성격 논란과 그 문제점 / 239

제7장 봉려관, 근대 제주불교 역사를 써 내려가다 / 283

1. 성내포교당 창건—포교 중심 도량·신여성 양성 / 284
2. 고관사·불탑사·법화사—역사적 가치 소유 사찰을 복원하다 / 303
3. 백련사·월성사·소림사—지역 포교를 활성화하다 / 309

제8장 누가 봉려관 생애를 망쳐놓았는가? / 313

나오는 말 / 322
부록 • 봉려관 연보 / 327
• 두옥문도—봉려관 계보 / 332
참고문헌 / 334

저자소개

정진희 (감수)    정보 더보기
1982년 법희 스님(광주 흥룡사)을 은사로, 자운 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계하였다. 1987년 자운 스님을 계사로 구족계를 수계하였고, 1988년 3월 봉녕사 승가대학 대교과를 졸업하였다. 1994년 국립 대만사범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7년 국립 대만사범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2002년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중국 당·송대 조사선, 묵조선, 간화선을 전공하였다. 논문으로는 「마조도일과 그 선학 사상 연구」, 「묵조선과 간화선 비교 연구」, 「흑수성본 『겁외록』 교감」, 「공안의 표현 형식과 지도법의 변화」, 「간화 병통에서 본 간화 수행법」, 「묵조선과 간화선의 오문悟門에 대한 견해」, 「근대 한국 여성의 선구자 해월당 봉려관 스님」, 「해월당 봉려관 스님」, 「항일지사 봉려관 죽음을 둘러싼 의혹」 등이 있다. 저서로는 『제주의 여성 리더 봉려관』이 있다. 어른들이 읽는 동화 『고마워요 봉려관』을 기획 및 감수하였다. 10여 년에 걸쳐 고의적으로 왜곡시킨 봉려관의 행적과 근대 제주불교사近代濟州佛敎史를 교차검증해서 바로잡고 있으며, 봉려관의 항일 독립운동을 최초로 세상에 알렸다. 일본 리쓰메이칸대학 교환연구생, 일본 하나조노대학 연구원, 동국대학교(서울) 선학과 강사, (사)보조사상연구원 연구위원을 역임하였다. 현재 관음정사(제주) 문화원장, BBS 제주불교방송 운영위원(감사), (사)봉려관선양회 이사, (사)봉려관불교문화연구원 원장을 역임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산천단에 거처를 마련한 봉려관은 불상을 구하기 위해 비양도로 건너가던 중 거친 풍랑을 만났지만 무사하게 되자 관음신앙에 대한 확신을 가졌고, 그 후 제주도 곳곳을 다니면서 병자를 치료해주기도 하고 관음신앙을 제주도민에게 전파했는데, 이런 생활을 하던 중에 고통에 처해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어 그들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하겠다는 발원을 세운다. 이 발원을 세운 장소가 바로 산천단이고, 더욱더 많은 사람들에게 정신적 평온을 주기 위해서는 부처님처럼 출가를 해야 한다는 결심을 한 곳도 산천단이다.


자연적 악조건은 봉려관의 출가 수계 결심出家受戒決心과 하화중생 의지下化衆生意志의 밑거름이 되었고, 종교 문화관의 차이에서 발생한 사회적 시련은 도리어 봉려관에게 하화중생 의지를 발아시켰고 자연스레 박애博愛 실천으로 연계된다. 비양도와 산천단은 이처럼 ‘안려관’에서 근대 제주불교를 재건한 ‘봉려관’으로 시대를 운반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 장소이다. 또한 비양도와 산천단은 봉려관이 근대 한국의 여성 리더라는 삶을 견인牽引시킨 장소이기도 하다.


조선 시대 불교 탄압으로 인해 축소되고 쇠락했던 제주불교, 그리고 1900년대 초기 제주에서 천주교도에게 박해받았던 제주의 민간신앙. 그러나 봉려관은 민간신앙을 수용한다. 그래서 근대 제주불교는 기복신앙 요소가 더욱 뚜렷해지고, 불공 의례가 주를 이루게 되었으며, 이런 성향은 기층 민중의 종교관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봉려관은 시종일관 관음신앙을 전파했다. 관음사를 위시해서 산천단, 백록담, 영실 등 봉려관의 관음신앙 발길은 한라산 곳곳을 거쳐갔으며, 특히 한라산 관음사는 근대의 제주도에 관음신앙을 전파한 중요한 관음 성지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5801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