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태학
· ISBN : 9791155802281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4-10-2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황장 소나무
1. 상장례의 규범이 된 소나무 관재
2. 소나무 관재 수급
3. 조선의 소나무 관재 수급 정책
4. 시대별 관재 가격과 상대적 가치
5. 소나무 관이 조선 후기 산림 황폐에 끼친 영향
6. 맺음말
2장 근대 톱이 목재 이용에 끼친 영향
1. 조선과 일본의 근대 톱
2. 조선의 제재 톱 제작
3. 일본의 제재 톱 제작
4. 1인용 제재 톱, 마에비키 노코기리
5. 조선의 제재용 톱은 어디에서 유래된 것일까?
6. 맺음말
3장 국용주재, 율목
1. 위판의 규격
2. 위판의 조달 부서와 조달 방법
3. 분작제에 의한 밤나무 위판 조달
4. 봉산 지정(도작제)에 의한 밤나무 위판 조달
5. 송광사 율목봉산의 지정과 운영
6. 송광사 율목봉산의 위판 제작
7. 맺음말
4장 향탄(香炭)
1. 능원의 향탄산
2. 향탄산의 황폐화
3. 사찰의 향탄봉산
4. 탄봉산과 향탄봉산
5. 맺음말
5장 결론
부록_ 조선시대 왕실 고문서 ‘봉산(封山)’
주석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조선은 매장 장례를 장려하기 위해 왜 소나무를 관곽재로 선정하였을까? 조선 지배층은 주자 상제를 충실하게 따르기 위해 소나무를 관재로 선정하였겠지만, 목재 이용 측면에서 또 다른 이유가 있었다. 먼저 소나무는 주변에서 대량으로 쉽게 구할 수 있고, 생육환경에 강한 적응력으로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라며, 쐐기에 잘 쪼개지는 재질 특성을 보유하여 판재 제작이 용이하고, 세 아름(三抱)만큼 굵게 자라는 수종이었기 때문이다. _ ‘1장 황장 소나무’ 중에서
조선은 국가의 통치 이념을 성리학에 기반을 두었기에 상례를 중시했고, 왕을 비롯한 왕족의 장례에 필요한 황장목 관곽재의 안정적 조달과 비축을 중시했다. 따라서 장생전은 국왕이 즉위하면 즉시 관재 10부를 미리 제작하여 보관하였고, 매년 옻칠을 덧칠하여 나무를 단단하게 만들었다. 10부의 관재를 미리 비축해두는 제도는 영조 대에까지 지속되었지만, 조선 말기에 이르면 5부로 줄어든다. 비축 물량이 줄어든 이유는 산림자원 고갈로 인해 황장목의 수급이 원활하지 못한 탓도 무시할 수 없다. _ ‘1장 황장 소나무’ 중에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조선은 궁핍한 국가 재정과 해이한 행정력으로 곳곳에서 부정부패가 만연했다. 그와 동시에 점차 심화한 산림 황폐는 관재 가격을 상승시켜 지방 곳곳에서 불법적인 소나무 벌목을 일으킨다. 실록은 경기, 강원, 경상도에서 발생한 불법적 소나무 벌목과 송판 거래를 기록하고 있다. _ ‘1장 황장 소나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