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예술/사찰
· ISBN : 9791187280002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6-03-21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여는 글 | 사찰숲에 대한 새로운 인식
1 한국 사찰숲의 시작
01 숲의 종교, 불교
나무 아래 수행처
경전에 나타난 숲
한국성의 상징, 사찰숲
사찰림이라는 이름
산림법에서 말하는 사찰림
02 사찰숲의 유래
수행자들이 머무는 곳
신화 속의 숲
평지에서 산 속으로
숲.산.산림
삼국유사의 기록
사찰과 시지
산지수호의 임무
산림 소유의 형태
03 한국 사찰숲의 소유권 형성
조선임야분포도
임적조사사업
산림법으로 보는 소유권 이동
산림부로 보는 송광사의 예
사찰숲의 규모
면적의 변화 추이
2 조선시대
01 왕실과 사찰숲
산림금양의 배경
02 산림금양의 종류
태봉산 금양
- 직지사
- 은해사
- 법주사
황장금산
- 구룡사
황장(선재)봉산
- 백련사
사자황장산
- 법흥사
율목봉산 금양
- 송광사
향탄봉산 금양
- 동화사
- 해인사
- 송광사
- 용문사
- 안정사
- 능원이 불확실한 봉산사찰
- 조선후기 지도상의 향탄봉산
송화봉산 금양
- 안정사
3 일제강점기
01 조선총독부의 정책
규제 대상이 된 사찰숲
도별 사찰숲 실태
02 일제강점기 벌채의 역사
사찰령으로 통제
연도별 벌채 현황
벌채 이유
통도사와 백양사의 예
법주사의 예
03 일제강점기 사찰의 산림 조성
벌채 관리
산림시업안
선암사의 예
송광사 시업안
4 광복 이후
01 6.25전후의 사찰숲
기사로 보는 벌채 실태
전쟁기 사찰숲의 역할
02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사찰숲
산판경제 시기
난벌과 도벌의 수난기
03 오늘날의 사찰숲
산림치유의 시대
지구에서 가장 큰 병원
5 미래의 사찰숲
01 대안을 찾아서
과거에서 배운다
일본 곤고부지의 예
정보를 활용하라
- 한국임업진흥원
- 곤고부지의 사찰숲 경영
02 사찰의 자연유산 관리
소나무숲
천연기념물
지팡이 명목
동백나무
차나무
비자나무
금표
03 사찰 순례길
성찰의 시간
다른 나라 순례길의 예
우리는 왜
맺는 글 | 다가올 천년을 위한 제언
부록1 | 시기별 사찰숲 벌채 허가원 제출 건수
부록2 | 선암사 산림관리위원회 자료집
지은이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