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염주의 역사와 수행 이야기

염주의 역사와 수행 이야기

(염주 소의경전부터 바른 수행법까지 염주에 관한 모든 것)

태경(이선이) (지은이)
조계종출판사
17,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750원 -10% 0원
870원
14,8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염주의 역사와 수행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염주의 역사와 수행 이야기 (염주 소의경전부터 바른 수행법까지 염주에 관한 모든 것)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91155802601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25-09-30

책 소개

태경 스님은 이 책을 통해 경전 속 염주에 담긴 뜻을 알려주고, 의궤에서 전하는 바른 염주 수행 방법을 보여줄 뿐 아니라, 실제 염주 만드는 과정까지 사진으로 찍어 세세히 알려준다. 덕분에 많은 불자들이 이 책을 읽고 바른 염불관상 수행을 이루어 성불의 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염주는 언제 처음 만들어졌을까?
경전에서 찾은 염주의 시작과 그 의미!

108개로 구성된 염주는 108번뇌를 상징하며, 염주알을 하나씩 넘기면서 인간의 번뇌를 하나씩 소멸시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불교 관련 행사나 템플스테이에 참여하면 염주알을 하나하나 실에 꿰어서 직접 염주 만드는 체험 행사도 많이 한다. 그렇다면 이 염주는 누가 언제 처음 만든 것일까? 이 책에는 염주의 기원이 자세히 담겨 있다.
부처님께서 나열기 기사굴산에 계실 때였다. 난국의 왕 파유리가 사신을 보내 부처님께 청하였다. 나라가 작고 힘이 없어서 항상 주변국에게 위협받고 있으니, 이런 고통에서 벗어나 법을 수행하는 방법을 알려달라고 한 것이다. 부처님은 “목환자 열매 108개를 꿰어서 불·법·승을 외며 염불하면 번뇌를 끊고 열반으로 나아갈 것”이라 말한다. 이에 파유리 왕은 염주 1,000개를 만들어 백성들에게 나누어주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불설목환자경』이라는 경전에 실려 있으며, 이는 염주에 대한 최초의 기록으로 알려져 있다. 즉, 염주는 번뇌를 없애는 방법으로 부처님께서 직접 일러주신 수행 도구이자 수행 방법인 것이다.

총 11개 장에 나누어 체계적으로 정리한
염주 경전의 종류, 재료별 의미, 만드는 법 등
염주에 대한 모든 것!!

이 책은 경전의 종류, 염주의 재료와 알의 개수, 고려불화의 염주 이야기, 전통적으로 염주 만들기라는 4가지 주제를 총 11장에 걸쳐 이야기한다. 1장에서 4장에는 염주 관련 경전 종류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각 나라별로 염주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살펴본다. 5장부터 9장까지는 염주의 재료와 알의 개수에 따른 의미를 다루며, 경전 의궤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염주 내용도 달라진다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10장 ‘존나보살의 상징인 <고려수월관음도>의 염주’에서는 고려불화 속 염주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마지막 11장에서는 무학산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직접 염주를 만들고 있는 노스님의 보리수염주 제작 방법을 소개한다. 부록으로는 본문에 번역하여 소개한 7편의 경전 원문을 실어 독자들이 내용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목차

서문
일러두기

1. 우리는 염주를 얼마나 알고 있나
2. 관상법(觀想法)으로 염주경전 읽기
3. 수행자의 생활필수품인 염주
염주의 기원은 말라(mālā, 鬘)
수행자의 도구(道具)인 수주(數珠)
4. 염주는 어떤 의미인가
인도에서는 신들의 상징물
네팔에서는 관자재보살
티베트에서는 아미타불
5. 목환자수주는 염천(焰天)에 태어나게 한다
6. 정토왕생하는 수주의 모양[相]
7. 연명(延命)하는 보리수염주의 공덕
8. 변현(變現)하는 금강수보살의 명왕(明王)
9. 수주를 만드는 의궤
10. 존나보살의 상징인 <고려수월관음도>의 염주
11. 무학산 노스님의 염주 만들기
보리수나무를 도솔암으로 옮긴 이야기
염주 만드는 모습

미주
참고문헌
부록-경전 원문

저자소개

태경(이선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해인사 출가. 봉녕사승가대학 졸업.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불교학과 석박사 학위 취득.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박사 과정 수료.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본사 월정사 성보박물관 학예실장,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종단 교수아사리 및 포교원 의례위원회 의례실무위원, 세종특별자치시 무형문화재 위원 역임. 현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법계위원회 의제실무위원. | 저서 | 『조상경(造像經)-불복장의 절차와 그 속에 담긴 사상』(운주사, 2006) 『초기화엄사상사』(불교시대사, 2007) 『불복장(佛腹藏)에 새겨진 의미』(양사재, 2008) 『알기 쉬운 불교용어 산책』(양사재, 2011) 『고려 옹기와 청자에 음식을 담다-개경 승려와 사대부의 음식』(양사재, 2020, 세종학술우수도서) 『불교의례 낙화법의 기원과 형성과정』(경인문화사, 2021) 『낙화법과 수구즉득다라니』(공저, 경인문화사, 2025) | 주요 논문 | 「『대승육정참회』의 성격과 구조」(불교연구 vol.21, 2004) 「『석문가례초』 다비작법절차에 나타난 무상계에 대한 소고」(한국선학 vol.30, 2011) 「『진묵선사유적고』에 보이는 경전명과 그 의미」(정토학연구 vol.16, 2011) 「한국전통색의 범위와 정간색 구조에 관한 연구」(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4, 2012) 「‘사위성신변’과 대승불교미술의 기원」(불교학리뷰 vol.20, 2016) 「한국불교전통색의 시원 연구-『삼국사기』 복색조와 직관조를 중심으로」(동방학지 vol.181, 2017) 「묵담대종사와 불복장의식」(묵담대종사문도회, 2017) 「『석문의범』 간행의 의의와 한계」(동양고전연구 vol.72, 2018)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영색시(詠色詩)에 나타난 색채관과 특징」(온지논총 vol.61, 2019) 「조선후기 수륙재문(水陸齋文)에 나타난 불교음식 연구」(원불교 사상과 종교문화 vol.90, 2021) 「한국 불교문헌에 보이는 만두(饅頭)와 국수(洗麵)에 대한 의식(意識)변화 연구」(불교문예연구 vol.20, 2022) 「조선 명종(明宗, 재위 1545~1567)대 왕실 비구니승가의 불교수행관 연구」(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3, 2022) 「『육경합부』의 육경(六經)과 진언의 관계성 연구」(불교학밀교학 연구 vol.4, 2023) 「『권념요록』 왕생담에 나타난 조선 왕실 여성의 관상염불수행」(한마음연구 vol.11, 2023) 「감로도에 나타난 아귀의 정체성 연구」(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vol.98, 2023) 「아랫녘 수륙재의 수륙의문계통과 개선방향」(불교학보 vol.106, 2024)
펼치기

책속에서

염주와 관련된 경전을 바르게 이해하려고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다. 이 경전이 언제 번역되었는지, 번역될 당시의 사회는 어떠하였는지를 반드시 알 필요가 있다. 그 시대의 배경과 사상의 성격이 무엇인지를 먼저 아는 것이 경전을 이해하는 지름길이다. 불교사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고 경전을 이해하면, 염주신앙에 바르게 접근하고 염주의 쓰임새를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_ <2. 관상법(觀想法)으로 염주경전 읽기> 중에서


이 책에서는 염주 관련 경전을 소의경전부터 번역 시기를 기준으로 순서대로 배열하여 경전 내용을 설명하였다. 불교사상이 어떻게 미묘하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보여주기 위함이다. 경전의 내용과 사상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곧 관상염불에서 염주 사용하는 법을 아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염주의 사용법을 바르게 아는 것은 곧 염주를 바른 수행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_ <2. 관상법(觀想法)으로 염주경전 읽기> 중에서


염주의 재료로는 목환자, 자거, 철, 숙동, 수정, 진주, 제석자, 금강자, 연자, 보리자, 다라수자, 흙, 나선(螺琁), 아(牙), 적주(赤珠), 율무, 풀 등을 쓸 수 있다. 수행자에게 가장 좋은 염주는 보리수와 수정으로 만든 수주(數珠)이다. 염주알의 개수는 1,080, 108, 54, 27, 21개 등으로 할 수 있으며, 표준으로는 108개가 가장 좋다. 별도로 10개의 알로 된 기자(記子)염주도 있다. 이 염주는 갖추어진 염주를 한 바퀴 돌릴 때마다 한 개씩 수를 더하여 가기 때문에 큰 숫자를 세며 염송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_ <2. 관상법(觀想法)으로 염주경전 읽기>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