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교의례 낙화법의 기원과 형성과정

불교의례 낙화법의 기원과 형성과정

이선이, 강향숙 (지은이)
경인문화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600원 -5% 0원
840원
25,760원 >
25,2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520원
22,6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교의례 낙화법의 기원과 형성과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교의례 낙화법의 기원과 형성과정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49949444
· 쪽수 : 378쪽
· 출판일 : 2021-02-09

책 소개

저자가 새로이 발굴한 ‘낙화법(落火法)’은 연등회의 연장선에서 출발한다. 이제까지 ‘연등(燃燈)’에 관한 연구에서 등(燈)과 화(火) 그리고 관등(觀燈)과 관화(觀火)의 개념을 구분하지 않았다. 이는 연등을 밝히는 재료와 재료의 변화·상징성을 염두에 두지 않은 것이다.

목차

일러두기

Ⅰ.소의경전이 있는 낙화법(落火法)

Ⅱ.불교의례 낙화법의 기원과 역사 그리고 활용
[1] 낙화법의 정의 및 불교의례 위치
[2] 불교의례 낙화법의 기원과 형성과정
1. 시작하는 말
2. 낙화법(落火法) 소의경전과 관등(觀燈)의 종류
3. 등(燈)과 화(火)의 상징 의미
4. 연등회의 변화와 낙화법의 등장
5. 낙화숯봉지 만들기
6. 맺음말
[3] 낙화법의 수구다라니 신앙과 의례 구성
1. 들어가는 말
2. 낙화(落火)의 기원
3. 낙화와 수구다라니 신앙
4. 낙화법의 구성과 절차
5. 나가는 말
[4] 수기(手記) 낙화법과 오대진언집(五大眞言集)
1. 오대진언집 해설 및 수기(手記) 낙화법
2. 오대진언집 판본(板本) 현황
3. 보조자료
[5] 사진 자료 및 도판
1. 영평사 소장본 오대진언집의 묵서 내용
2. 영평사 소장본 오대진언집의 수기 낙화법
3. 국립무형유산원 소장자료
4. 무라야마 지준(村山 智順) 朝鮮の鄕土娛樂의 연날리기
5. 득중정어사도(得中亭御射圖)
[6] 낙화법의 의례절차
1. 예비의식
2. 본의식
3. 소재의식
4. 축원
5. 회향

Ⅲ.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번역 및 문헌자료

[1] 대수구대명왕대다라니(大隨求大明王大陀羅尼)의 뜻
1. 근본다라니(根本陀羅尼) 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의 뜻
2. 소진언(小眞言)
[2] 낙화법 관련 사료
1. 중국 자료
2. 고려시대 자료
3. 조선시대 자료
참고문헌
1. 사료 및 경전류
2. 단행본 및 논문
3. 데이터베이스 자료
부록_ 영평사 소장본 오대진언집(五大眞言集)
(영인본_우철)

저자소개

이선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불교학과에서 한국화엄을 전공하고 박사학위 취득, 미술학과에서 불교미술을 전공으로 박사과정 수료. 월정사성보박물관 학예실장, 조계종 포교의례실무위원 등을 역임하였 으며, 세종시무형문화재위원,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교수 등을 역임. 현재 조계종 의제실무위원, 교육원 교육아사리 등을 역임하고 있음. 저술로는 『초기화엄사상사』(불교시대사, 2006), 『조상경-불복장의 절차와 그 속에 담긴 사상』(운주사, 2007), 『불복장(佛腹藏)에 새겨진 의미』(양사재, 2008), 『알기쉬운 불교용어산책』(양사재, 2011), 『고려 옹기와 청자에 음식을 담다』(양사재, 2020, 2020년도 세종학술 우수도서 선정), 『불교의례 낙화법의 기원과 형성과정』(공저, 경인문화사, 2021)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석문가례초 다비작법절차에 나타난 무상계에 대한 소고」(한국선학회, 선학 Vol.30, 2011), 「한국 전통색의 범위와 정간색 구조에 관한 연구」(한국색채학회, 한국색채학회지 Vol.25, 2012), 「『오삼란야신학비용』이 다비법 『석문가례초』성립에 미친 영향」(동양고전학회, 동양고전연구, Vol.59, 2015), 「‘사위성 신변’과 대승불교미술의 기원」(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불교학리뷰 Vol.20, 2016), 「한국 불교전통색의 시원 연구」(연세대학교, 동방학지 Vol.181, 2017), 「『석문의범』간행의 의의와 한계」(동양고전학회, 동양고전연구 Vol.72, 2018),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영색 시(詠色詩)에 나타난 색채관과 특징」(온지논총 Vol.61, 2019), 「조선 후기 수륙재문에 나타난 불교음식 연구(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0. 2021), 「조선 명종(明宗, 재위 1545~1567)대 왕실 비구니승가의 불교수행관 연구」(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Vol.94, 2022), 「한국 불교문헌에 보이는 만두(饅頭)와 국수(洗麵)에 대한 의식변화 연구」(불교문예연구 Vol.20, 2022) 등이 있음.
펼치기
강향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도철학 중·후기밀교전공자이며, 「「헤와즈라 딴뜨라」만다라의 관상(觀想)수행 연구-「금강정경」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동국대 인도철학과, 2011)로 박사학위 취득. 공저로 『불교의례 낙화법의 기원과 형성과정』(경인문화사, 2021) 등이 있음. 주요 논문은 「『염불작법』의 의식구성과 염불수행 연구-용천사본을 중심으로」(정토학연구 36, 2021) 등이 있음.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인도의 밀교의례와 한국의 불교의례 사이에 보이는 상관 관계를 연구하고 있음.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