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55960004
· 쪽수 : 166쪽
· 출판일 : 2013-09-30
목차
제 1 장 항공물류 개요
1.1. 항공물류의 정의
1.2. 항공물류의 이해관계자의 정의
1.3. 항공화물 운송자원의 종류
1.3.1 탑재용기(ULD : Unit Load Device)
1.3.2. 지상조업장비
1.3.3. 화물기의 구조
제 2 장 항공화물 프로세스
2.1. 일반화물 프로세스
2.1.1. 일반화물 수출 프로세스
2.1.2. 일반화물 수입 프로세스
2.2. 일반화물의 환적 프로세스
2.3. 항공물류 이해관계자별 프로세스
2.3.1. 화주 수출입 업무 프로세스
2.3.2. 포워더 수출입 업무 프로세스
2.3.3 콘솔사 수출입 업무 프로세스
2.3.4. 항공사 수출입 업무 프로세스
2.3.5. 운송사 수출입 업무 프로세스
2.3.6. 화물터미널(터미널 조업사) 수출입 업무 프로세스
2.3.7. 관세사 수출입 업무 프로세스
2.3.8. 세관(관세청) 수출입 업무 프로세스
제 3 장 특수화물 프로세스
3.1. Perishable Cargo (부패성 화물)
3.1.1. 부패성 화물의 형태
3.1.2. 부패성 화물의 관리 요소
3.1.3. 부패성 화물의 권고 사항 목록
3.1.4. 부패성 화물의 Tracking과 Traceability
3.2. 위험화물
3.2.1. 위험화물의 취급 및 보관
3.2.2. 위험화물 관련 보고
3.2.3. 위험화물 처리프로세스
3.2.4. 위험화물 관리방안
3.3. 생동물(Live Animals)
3.3.1 생동물 운송 시 준비 서류
3.3.2 생동물 운송 금지
3.4. 중량화물
3.4.1 중량화물 예약·접수/반입 시 주의 사항
3.4.2 항공기 탑재 시 유의사항
3.4.3 중량화물 무게분산
제 4 장 화물 운임표 (Tariff)
4.1 화물 운송장 (AWB; Air Waybill)
4.1.1 화물 운송장의 구성
4.1.2 항공화물 운송장(AWB) 내용
4.1.3 운임 적용 조건과 종류
4.1.4 일반화물 요율(GCR; General Cargo Rate)
4.1.5 특정품목 할인요율(SCR; Sepcific Commodity Rate)
4.1.6 품목 분류 요율(Commodity Classification Rate)
4.1.7 종가요금(Valuation Charges)
4.1.8 단위탑재용기 운임(Bulk Unitization Charge)
제 5 장 항공물류 개선의 위한 방안들
5.1 IATA(International Air Transportation Association)의 StB(Simplifying the Business) \
5.2. IATA e-Freight Strategy
5.2.1. 개요 및 배경
5.2.2. 목표
5.2.3. e-Freight Benefit
5.2.4. 실행방안
5.2.5. 프로젝트 구조
5.3. Cargo 2000
5.4. 항공물류 화물 부분의 프로세스 간소화 방안 및 사례
5.4.1. RFC, BUP, BUC의 개념
5.4.2. 우리나라 항공물류 실무에서의 RFC, BUP, BUC의 적용 90
5.4.3. 해외사례
5.4.4. 국내 항공물류 프로세스 간소화 기술 사례
5.4.5. 국외 항공물류 프로세스 간소화 기술 사례
5.5. “AIRCIS 운영 및 e-Freight 구축”사업
5.5.1. FTZ 운영 전산화 및 AIRCIS 시스템 운영
5.5.2. AIRCIS 운영 대상 업무내역
5.5.3. AIRCIS와 e-Freight
5.5.4. e-Freight 구축(FTZ 전산화 포함)
5.5.5. AIRCIS를 활용한 FTZ (Free Trade Zone) 운영
제 6 장 항공화물 프로세스의 개선 방향
6.1. 현행 항공화물 프로세스의 문제점
6.2. 항공화물 개선 프로세스
6.3. 이해관계자별 RFID기반의 수출 화물 프로세스
6.3.1 화주
6.3.2. 포워더
6.3.3. 항공사
6.4. 항공화물 RFID 프로세스의 UML 모델
6.4.1. 시퀀스 다이어그램
6.4.2. 항공화물 RFID의 협력 다이어그램
6.4.3. 항공화물 RFID의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6.4.4. 항공화물 RFID의 활동 다이어그램
6.5. Legacy System과의 통합 Flow 및 Architecture 설계
6.6. 항공수하물 프로세스의 개선방향
6.6.1. 현행 항공수하물 프로세스
6.6.2. RFID기술기반의 항공수하물 프로세스
제 7 장 유비쿼터스 기반항공화물 관리기술
7.1. 유비쿼터스 기술 기반 항공화물 관리 시스템 개발
7.1.1 항공화물 모니터링 시스템
7.1.2 항공화물 통계 시스템
7.1.3 항공화물 자산 관리 시스템
7.1.4 위험화물 관리 시스템
7.1.5 부패성화물 관리 시스템
7.1.6 모바일기반 항공기 정비 부품 관리 시스템
제 8 장 세계의 화물 공항 및 항공사
8.1. 세계적인 공항의 성과 목표 (Performance Target)
8.1.1 해외공항 사례(General Performance Indices Related to Cargo Operations)
8.1.2 Air Cargo World의 Excellence조사(Air Cargo World-Air Cargo Excellence Survey)
8.2. 세계적인 공항의 화물 프로세스 사례
8.2.1. 싱가폴 공항(Chang-I Airport: SATS)
8.2.2. 홍콩 공항(Asia AirFreight Terminal)
8.2.3. 푸랑크 프르트 공항(Fraport Cargo Service)
8.3. 시사점
제 9 장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