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국내 여행에세이
· ISBN : 9791156027157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19-05-0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004
제1장 서울 경기 인천지역 순례
01 자비실천도량 안성 칠장사 … 014
02 마음의 정원 삼각산 진관사 … 023
03 천년고불이 있는 삼각산 삼천사 … 031
04 마애석가여래좌상이 있는 삼각산 승가사 … 039
05 한강 두물머리를 조망하는 운길산 수종사 … 046
06 관음기도도량 아차산 영화사 … 052
07 불교계율의 맥을 이어 온 삼각산 경국사 … 059
08 지장보살 상주도량 양주 육지장사 … 066
09 영조의 효심이 깃든 파주 보광사 … 073
10 마애이불입상의 파주 용암사 … 079
11 우담바라 핀 의왕 청계사 … 086
12 한국 최초 비구니율원 수원 봉녕사 … 094
13 한양 동쪽의 명찰 남양주 불암사 … 101
14 고구려 신비를 지닌 강화도 적석사 … 109
15 황금법당인 서오릉의 원찰 수국사 … 117
16 만일결사도량 용인 법륜사 … 124
제2장 충청지역 순례
17 국보 은진미륵의 논산 관촉사 … 132
18 세계최대와불 부여 미암사 … 140
19 천년지장도량 천안 광덕사 … 147
20 마애여래불의 홍성 용봉사 … 154
21 중악단 산신각의 공주 신원사 … 162
22 승가교육도량 계룡산 동학사 … 169
23 백제 천불선원 예산 향천사 … 175
24 백마강이 품은 부여 고란사 … 182
제3장 강원지역 순례
25 내설악 백담사, 관음보궁 오세암,
적멸보궁 봉정암 … 190
26 회전문이 있는 춘천 청평사 … 201
27 생지장도량 철원 심원사 … 209
28 호국청정도량 치악산 구룡사 … 217
29 철불노사나좌불의 동해 삼화사 … 224
30 관세음보살현신도량 양양 휴휴암 … 231
31 천년고찰 삼척 영은사, 신흥사 … 237
32 관세음보살 상주도량 강릉 등명낙가사 … 245
제4장 호남 제주지역 순례
33 백제불교 최초 도래지 영광 불갑사 … 254
34 서해제일 관음기도도량 부안 내소사 … 262
35 용화종찰 미륵성지 김제 금산사 … 270
36 구산선문 최초가람 남원 실상사 … 278
37 고즈넉한 산사 부안 개암사 … 287
38 한국 선의 발원지 곡성 태안사 … 295
39 도인들이 모여든 곡성 도림사 … 304
40 제일선종사찰 영암 도갑사 … 311
41 국보 극락보전의 강진 무위사 … 319
42 국보 철조비로자나불의 장흥 보림사 … 325
43 제주불교중흥지 제주 관음사 … 333
제5장 영남지역 순례
44 해수관음성지 남해 보리암 … 342
45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안동 봉정사 … 350
46 법보대찰 예천 용문사 … 358
47 천하명당 관음성지 의성 고운사 … 365
48 신라 최초사찰 선산 도리사 … 373
49 천년고찰 영천 은해사, 백흥암, 운부암,
거조암 … 382
50 비구니 승가대학 청도 운문사, 사리암 … 391
51 적멸보궁 대구 비슬산 용연사 … 402
52 고즈넉한 고찰 문경 김룡사 … 408
53 참선도량 문경 대승사, 윤필암 … 415
54 문수기도도량 하동 칠불사 … 422
에필로그 ...430
출간후기 ...434
저자소개
책속에서
행복한 인생을 위한 삶의 레시피
최근 수년간 ‘맛있는 삶의 레시피’를 화두로 삼아 맛있는 삶은 무엇일까? 행복한 삶은 무엇일까?를 늘 생각하면서 나름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고민하고 해결책을 도출해 보려고 했다.
많은 이들은 ‘삶의 궁극적 목표가 무엇인가?’에 행복추구라고 말한다. 이렇게 행복을 원하기는 하는데 많은 이들은 부·권력·명예를 소유하는 것이 행복에 이르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하여 보다 많은 부·권력·명예를 소유하려고 한다. 부가 많아야 행복한 삶인가? 이름이 높아야 행복한 삶일까? 많은 권력을 가져야 행복한 삶일까?
이 문제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던 중 불교와 인연을 맺으면서 그 해결책을 얻게 되었다. 내가 얻은 결론은 자신의 삶을 올바로 직시하고 행복을 밖에서 찾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밖으로부터가 아닌 내 안에서 찾아야 한다. 부·권력·명예와 같이 마음 밖의 대상으로부터 무언가 얻고자 하는 욕심으로는 참된 행복을 얻을 수가 없다. 행복은 보다 많은 부·권력·명예를 소유한다고 찾아오는 게 아니다. 그 행복은 잠깐의 머무름일 뿐이다. 부·권력·명예에 집착하면 절대로 행복이 찾아들지 않는다.
자기 마음속에 꾸준히 무엇인가를 간직하고 현재의 삶을 즐기며 기쁨 속에서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이다. 행복에 이르는 길은 나와 언제나 함께하는 마음을 다스리면서 성심을 다해 사는 것이다. 우리가 어떻게 마음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 똑같은 현상도 달리 보인다. 고통과 행복도 마찬가지다. 마음을 어떻게 갖느냐에 따라 지옥이 되기도 하고 극락이 되기도 한다. 이 마음을 다스리는 데 도움이 되는 종교가 바로 깨달음의 종교인 불교인 것이다. 진정한 불교신자가 됨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실존인물로 지금 네팔 땅인 인도 카팔라국의 룸비니 동산에서 태어난 이후 왕자의 지위를 버리고 29세에 출가하여 6년 고행 끝에 35세에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으신 분이다. 이후 베나레스의 녹야원에서 그를 따르던 다섯 비구에게 최초의 법을 설한 것을 시작으로 45년 간 법을 설하게 된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80세에 열반에 드신 후 그를 25년간 수행했던 아난존자는 500아라한이 모인 가운데 “如是我聞이와 같이 나는 들었노라” 하면서 부처님의 법문을 다 외워 내었다. 이것이 최초의 경전 결집이요 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목판에 새긴 것이 팔만대장경인 것이다.
부처님은 번뇌를 극복하고 해탈을 성취한 성자로서 최고의 깨달음인 열반에 이르는 방법을 중생에게 가르쳤고, 이를 실천한 중생들은 번뇌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불교와 인연을 맺고 본격적으로 법회에 참석하고 공부하면서 나름 생각과 행동에 많은 변화가 왔다. 불교의 목표는 행복의 실현이니 진정한 불자가 되어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고 내가 삶의 주인이 되어서 기쁜 마음으로 즐겁게 수행하여 행복에 도달하면 된다는 깨달음도 그중 하나였다. 행복은 밖에서가 아닌 내 안에서 찾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스스로 마음공부를 통해 마음의 그릇을 먼저 비우도록 해야 한다. 마음의 그릇이 미워하고, 원망하고, 질투하는 등의 번뇌망상으로 꽉 차 있으면 안 된다. 누구에게나 하늘에서 축복의 비를 내리는데 인간은 비운 마음그릇의 크기만큼 축복을 받아들인다고 한다. 종지 정도의 마음을 가진 사람은 종지만큼 축복의 빗물을 받을 것이고, 대접 정도의 마음을 가진 사람은 대접만큼 축복의 빗물을 받아들인다고 한다. 그러니 우리가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축복의 비를 많이 받기 위해 비운 마음의 그릇을 보다 크게 만드는 마음공부이다.
불교대학에서 경전공부와 함께 진행된 성지순례는 불교를 이해하고 즐기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이에 나름 108사찰순례 계획을 세우고 전국의 사찰 중 108사찰을 선정해 첫 해 54개 사찰순례에 이어 다음 해 나머지 54개 사찰순례를 다니고자 했다. 사찰을 순례하면서 보고 듣고 느끼며 배우는 바가 적지 않음을 알게 된 나는 점차 시간 날 때가 아니라 시간을 일부러 내서 다녀오고 싶은 사찰을 거리 장소를 불문하고 다녀오곤 했다.
전국의 사찰순례를 통해서 직접 보고 듣고 느끼며 배운 내용을 가감 없이 있는 그대로 책에 담고 싶었다. 사찰마다 모습과 법을 전하는 방식이 다양하고 강조점이 다르다는 것을 눈으로 직접 보고 귀로 듣고 마음으로 느꼈다.
이 책은 그런 나름의 생각을 바탕으로 직접 발품을 팔아 가면서 준비된 것이다. 현재 불자이거나 불교와 인연을 맺은 많은 이들에게 불교와 사찰을 이해하고 행복한 삶을 만들고 즐기는 데 조그마한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2019년 초봄
法華 이경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