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56221135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5-11-1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머리말
요약
제1부 미래사회 이슈분석
제 1장 10년 후 우리 사회의 이슈
·제 1절 이슈별 중요성
·제 2절 발생 가능성과 영향력
·제 3절 글로벌 이슈와의 비교
제 2장 네트워크 분석법으로 진단
·제 1절 이슈와 이슈 간 연관관계
·제 2절 이슈와 핵심기술 간 연관관계
제 3장 키워드를 모으면 정책변화가 보인다
·제 1절 보고서 숫자로 본 이슈의 변화
·제 2절 뉴스키워드 2년치 분석해보니
제2부 전문가가 보는 미래이슈
제 1장 사회문화의 변화
·제 1절 획일화 사회의 극복
·제 2절 왜 불평등 사회를 자꾸 말하는가?
·제 3절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대비
제 2장 산업경제의 변화
·제 1절 초연결 사회의 지속 가능한 미래
·제 2절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제 3절 지식노동 대체할 인공지능
제 3장 삶의 환경 변화
·제 1절 기후변화
·제 2절 대형시스템의 안전성
·제 3절 스마트 환경과 뉴미디어
결론
저자소개
책속에서
주요 이슈별로 이슈 상호 간 연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28개 분석대상 이슈에 대해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그림 1]과 같이 이슈 상호 간 연관관계를 도출하였다. 그림에서 이슈가 가운데 위치할수록 다른 이슈와의 연관관계가 많으며, 선의 굵기는 연관관계의 정도를 나타낸다. 즉, 선이 굵을수록 연관관계가 많다.
다른 이슈와 높은 연관관계를 맺고 있는 이슈는 ①삶의 질을 중시하는 라이프스타일, ②고용불안, ③불평등 문제, ④산업구조의 양극화, ⑤저출산·초고령화 사회, ⑥초연결 사회, ⑦저성장과 성장전략 전환, ⑧재난위험, ⑨글로벌 거버넌스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삶의 질을 중시하는 라이프스타일」은 이슈 그 자체로서는 중요성과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낮으나 여러 이슈와 가장 연관관계가 많은 이슈로 나타났다. 다른 이슈와 연관관계가 높은 이슈일수록 사회적으로 영향력이 미치는 범위가 넓기 때문에 이슈의 대응에 있어서도 관련 이슈와 함께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매우 중요해진 삶의 질-
28개 이슈에 대하여 10년 후에 그 중요성이 어떻게 변화될 것인가에 대하여도 분석하였다. 「학력중심 경쟁적 교육」을 제외한 이슈들은 10년 후에 중요성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슈의 현재의 중요성과 중요성의 증가 정도(10년 후 중요성과 현재 중요성의 차이)를 [그림 5]에 나타내었다.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 「사이버 범죄」, 「에너지 및 자원고갈」, 「저출산·초고령화 사회」, 「국가간 환경영향 증대」는 현재에도 다른 이슈보다 중요하고, 미래에는 더 중요해질 것으로 나타났다.
「저성장과 성장전략 전환」, 「미래세대 삶의 불안정성」, 「불평등 문제」, 「북한과 안보/통일문제」, 「고용불안」은 28개 이슈 간 비교시, 현재에는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나 미래의 중요성 증가 정도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식량안보」, 「생물 다양성의 위기」, 「초연결 사회」, 「글로벌 거버넌스」, 「삶의 질을 중시하는 라이프스타일」은 이슈 간 비교시, 현재에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나 미래에는 상대적으로 더 중요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 가족개념 변화」나 「젠더이슈 심화」는 현재나 미래 모두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슈의 현재와 미래 중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