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56221456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6-02-0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프롤로그
제1장 ‘삶의 질을 중시하는 라이프스타일’이란?
제1절 ‘삶의 질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미래전략 추진배경
제2절 ‘삶의 질’정의 및 미래전략의 필요성
제3절 ‘삶의 질’을 중시하는 미래사회 전략에 대한 해외사례
제2장 라이프스타일 변화추세
제1절 향후 대한민국 사회변화 추세
제2절 삶에 대한 가치 변화
제3절 삶의 질에 대한 국민 인식변화
제 3장 포괄적 미래전략
제1절 꿈꾸는 미래사회 모습
제2절 미래전략 및 중점과제
제4장 과학기술·ICT의 역할
제1절 사회분야별 삶의 질 및 과학기술 관련정도
제2절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
결론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이슈 보고서 요약본-한글판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이슈 보고서 요약본-영문판
저자소개
책속에서
‘삶의 질(quality of life)’이란, 한 사회의 시민들, 혹은 한 나라의 국민이 얼마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를 말한다. 국민이 얼마나 물질적으로 풍요롭고 정신적으로 행복한 삶을 살고 있는가를 경제·사회·문화·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척도화한 지표다. 흔히 ‘삶의 만족도’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삶의 질’을 고려한다는 것은 생존과 안전, 물질적인 풍요에 초점을 맞추던 과거의 생활방식에서 벗어나, 행복하고 인간다운 삶을 좀 더 강조한다는 의미이다. 실제로, 서구에서도 국민의 실질소득은 늘었지만 행복하다고 대답하는 사람들의 수가 줄어들면서 ‘물질적 풍요만으로 행복하고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없음’을 깨닫고, 향후 국가의 예산 책정 및 의사결정을 위한 주요 지표로 ‘삶의 질’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게 됐다.
그간 대한민국은 현재까지 이루어 온 경제성장에 비해 삶의 질 향상은 상대적으로 미진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최빈국 지위에서 시작하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선결조건으로 경제성장을 추구하여 우수한 성과를 달성한 것은 강조할 필요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스털린의 역설’이 말하는 바와 같이, 경제성장이 일정 수준에 다다른 후부터는 경제성장 자체가 삶의 질 향상을 담보하지 않는다. 따라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구체적이고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