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인물
· ISBN : 9791156290889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9-03-25
책 소개
목차
개정판에 부쳐 한국교회의 재기의 길 _____ 004
서문 우리 민족 영적 유산 _____ 006
추천사
민경배 서울장신대학교 총장 거대한 힘에 대한 증언 _____ 010
윤경로 사단법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소장 방황하던 민족의 목자에 대한 기록 _____ 013
박용규 총신대 신대원 교수/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20세기의 사도행전 _____ 016
장훈태 천안대 기독교학부 교수 한국의 선교 역사에 대한 귀중한 기록 _____ 018
일러두기 _____ 021
제1편
복음을 받아들인 후
제1장 어린 시절 _____ 031
백성의 어려움과 몰락하는 조선 _____ 033
청일전쟁으로 인한 나라와 백성들의 혼란 _____ 034
방탕했던 젊은 시절 _____ 036
제2장 복음을 받아들인 후 _____ 039
정기정과 청년 한경희 _____ 041
철산, 용천지역 교회 발전과 ‘유명한 신자’ 정기정 _____ 043
조직적인 전도자 정기정 조사와 평북전도회 _____ 047
청년 한경희 말씀 증거자가 되다 _____ 055
제3장 교회의 지도자로 성장하는 한경희 조사 _____ 061
동문외교회의 영수로 피택 _____ 062
전도자 한경희 대리조사 _____ 065
평양신학교 입학과 분노와 좌절의 시기 _____ 069
주의 일꾼으로서 다짐 _____ 074
전도하는 신학생 _____ 077
제4장 만주의 특이한 정치적 상황 _____ 081
청조의 발상지 만주 _____ 082
장쪼린(장작림)과 만주 _____ 083
국민당 정부와 만주 _____ 088
만주사변과 만주국 _____ 091
제5장 조선인의 만주 유이민 _____ 094
이조시대의 부패한 지도층과 유이민 _____ 095
일제의 침략과 경제 수탈 정책으로 인한 유이민 _____ 100
제6장 길림성 중동선 지방에 흩어진 동포들을 찾아서 _____ 108
평북노회에서 전도목사로 안수받다 _____ 108
북만의 상황과 조선인 _____ 112
다양한 사상적 배경을 가진 북만 동포들 _____ 115
북만 사역의 결실과 교회 설립 _____ 118
제2편
서간도의 지도자로
제7장 유하현 삼원포지역의 조선인 사회의 형성 _____ 131
경학사의 창립과 신자들 _____ 132
공리회 창립에 적극 가담한 삼원포교회 신자들 _____ 136
부민단의 창립 _____ 137
흑룡회의 필요성이 대두되다 _____ 141
제8장 서간도 동포 교회 설립과 전도자들 _____ 144
이양자에 세워진 국외 최초 동포 교회 _____ 145
특주 I. 양자촌(陽子村) 교당골[敎堂溝]의 야소교 초립(初立) 비명(碑銘) _____ 146
서간도에 파송된 전도인들 _____ 149
삼원포교회의 설립 _____ 151
서간도 전도인들과 교회 설립의 붐 _____ 154
제9장 서간도 전도목사로 _____ 160
헐벗은 동포들을 사랑하며 _____ 160
은양학교의 교장으로서 _____ 163
삼성여학교의 설립과 발전 _____ 165
중국인에게 부당하게 연금당한 조선 소녀들을 구출 _____ 166
서간도교회 지도자로서 _____ 168
흥경 선교기지 설립의 준비 _____ 172
산서노회의 분립 _____ 174
박창홍 이단 사건 _____ 175
제10장 서간도교회의 지도자로 성장하는 한경희 목사 _____ 178
삼원포교회의 성장과 발전 _____ 178
서간도교회의 발전과 한경희 목사 _____ 181
핍박 중에 성장하는 서간도교회 _____ 185
삼원포지역의 기미독립운동 _____ 187
한경희 목사님의 독립운동 _____ 190
한족회의 결성 _____ 192
서간도지역 교회의 부흥 _____ 194
제11장 경신참변과 서간도교회가 당한 핍박 _____ 198
전반기 중, 일 합동 경찰수색으로 인한 피해 _____ 203
관동군의 서간도 토벌 _____ 208
서간도교회의 순교자들 _____ 211
일제 군대의 삼원포 습격과 방기전 장로의 순교 _____ 215
김산과 안동희 목사 _____ 217
특주 II. 안동희 목사는 누구인가? _____ 220
경신참변과 선교사 국유치 목사 _____ 222
제12장 서간도교회의 재기 _____ 225
삼원포로 돌아온 한경희 목사 _____ 226
남만노회의 분립 _____ 229
남만노회의 노회장으로 선임된 한경희 목사 _____ 234
동명학교의 설립과 한경희 목사 _____ 242
서간도교회의 재기와 흥경 선교기지 _____ 245
제13장 혼란과 어려움 가운데 있는 동포들을 위해서 _____ 253
동포들의 생활안정을 위한 노력 _____ 254
농민공사와 기독교협진회 _____ 256
귀화한족동향회 _____ 259
동포 자녀들의 교육을 위한 헌신 _____ 262
삼원포 동명중학교 _____ 264
삼원포 삼성여학교 _____ 266
흥경 삼성중학교 설립과 울며 헤어진 교사들과 학생들 _____ 267
기타 남만노회 소속의 학교들 _____ 269
제14장 혼란과 어려움을 헤쳐 가는 서간도교회 _____ 275
남만교회와 총회의 지도자 한경희 목사 _____ 276
혼란과 어려움을 헤쳐 가는 서간도교회와 한경희 목사 _____ 281
서간도 동포들을 어렵게 한 사건들 _____ 286
a. 산동 중국인들의 대이동 _____ 287
b. 대도회 _____ 288
c. 봉표의 폭락 _____ 290
d. 볼셰비즘(Bolshevism) _____ 291
1929년 서간도교회를 어렵게 한 사건들 _____ 294
제3편
복음만을 위해서
제15장 민족의 소망을 위하여 _____ 301
체포와 투옥 _____ 302
신의주 감옥에서 3년 _____ 305
출옥 후 창성읍교회를 시무하심 _____ 307
북만에서 부름 _____ 311
제16장 전도의 최전선 북만으로 _____ 315
북만의 교회들 _____ 316
목릉, 및 동녕현 지역의 교회들 _____ 317
밀산현 지역의 교회들 _____ 319
호림, 요하, 수원현 지역의 교회 _____ 320
한경희 목사님의 북만 사역 _____ 327
밀산에서 사역 _____ 329
총회에서 활동 _____ 332
다니엘의 결심 _____ 335
마지막 전도 여행 _____ 336
오소리강의 비극 _____ 338
북만교회의 반응 _____ 341
전국 교회의 반응 _____ 344
오소리강에 뿌려진 피의 의미 _____ 347
부록 1. 신의주 지방법원 재판 기록 _____ 349
2. 한경희 목사님의 설교 _____ 350
한경희 목사 연보(年譜) _____ 356
후기 한경희 목사 가족 순교 _____ 358
찾아보기 _____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