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균형조절치료 : 패턴치료법

균형조절치료 : 패턴치료법

(오영택이 창시한)

오영택 (지은이)
해드림출판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0원
27,0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균형조절치료 : 패턴치료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균형조절치료 : 패턴치료법 (오영택이 창시한)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9115634041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4-08-27

책 소개

근골격계질환에 관해 십여 년을 연구한 전문가 오영택 박사(물리치료사)가 근골격계질환의 해법으로 제시하는 치료법인 ‘균형조절치료’에 관한 책이다. 일반인이 쉽게 배우고 익혀서, 직접 치료할 수 있도록 일반인을 위한 치료안내서, 모형, 지압봉을 만들어 소개하고 있다.

목차

제1장 동.서양의학의 균형론

균형에 관한 동양의학의 기초이론 12
1. 음양론(陰陽論)- --------------------12
2. 오행설(五行說)- --------------------14
3. 기(氣).혈(血).진액(津液)--------------19
4. 경락론(經絡論)- --------------------29
균형에 관한 서양의학의 기초이론 35
1.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한 인체의 균형과 협응 -35
2. 내부 환경의 유지를 위한 인체의 균형------44


제2장 균형조절치료의 배경과 철학

1. 인간의 운기법(運氣法)----------------64
2. 회귀(回歸)의 철학- ------------------65


제3장 균형조절치료의 주요개념

기능적 기의 유주원리 69
1. 기능적 기의 유주(流注)----------------69
2. 기의 교차 형태(X자형)와 특성에 관한 추리- -73
3. 기의 교차점: 횡격막(Diaphragm)----------80
인식(Cognition) 83
인체 전신의 불균형 조절 86


제4장 진단방법에 관한 고찰

진단방법의 이론적 배경 90
1. 체질론(體質論)과 체형론(體形(型)論)-------90
2. 측면경과 FG섬유의 특성에 관한 이해------99
진단방법의 실제 104
1. 진단방법의 특징-------------------104
2. 임상에서의 결정기준과 진단방법--------104
3. 진단 결과의 확인-------------------107
4. 진단 시 주의사항-------------------108

제5장 치료의 원리
동양의학의 관련 치료원리 114
1. 전통적 치료원리-------------------114
2. 압(壓)을 이용한 치료법과 치료원리------115
3. 과학적 접근을 통한 새로운 이해--------117
촉압각 자극법의 관련 치료원리 125
1. 촉압각 자극과 고리이론(Loop theory)-----125
2. 자극에 따른 변화의 특성과 촉압각 수용기를 이용한 치료-----------------------125
3. 촉압각 수용기의 기능과 역할----------126
서양의학의 관련 치료원리 128
1. 통증에 관한 이해-------------------128
2. 치료의 기전(Mechanism)--------------134


제6장 임상에서의 치료 적용

치료의 결정 요소들 145
1. 진단 및 평가----------------------145
2. 치료점의 특징과 명칭----------------145
3. 압의 적용형태 및 시간---------------146
4. 치료의 빈도----------------------147
5. 치료의 과정과 원칙-----------------148
6. 치료 후의 변화--------------------149
7. 금기증(Contra-indications)-------------150
8. 다른 치료법과의 병행----------------150

제7장 치료의 실제

상부 154
1. 간접검사의 방법-------------------155
2. 직접검사의 방법-------------------156
하부 208
1. 간접검사의 방법-------------------209
2. 직접검사의 방법-------------------210


제8장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

복식호흡 257
1. 방법 ---------------------------257
2. 유의사항------------------------258
걷기운동 259
1. 효과----------------------------259
2. 다양한 걷기----------------------260
3. 유의사항------------------------260
복식호흡과 걷기운동의 효과에 관한 대체의학의 이해 262


부록 일반인을 위한 치료안내서

진단방법 및 절차 265
1. 상부검사방법---------------------265
2. 하부검사방법---------------------266
치료방법 및 절차 267
1. 치료점 도해----------------------267
2. 방법 및 절차----------------------270
치료점 모형(模型) 271
초보자를 위한 치료보조도구 273
1. 큰 돌기-------------------------273
2. 중간 돌기------------------------273
3. 작은 돌기------------------------273


참고문헌 275

저자소개

오영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영택은 물리치료사(면허번호 3454)다. 부산 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과 졸업했고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물리치료전공 이학석사, 경상대학교 체육학과 운동생리학전공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또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산하 종별학회인 대한동양물리치료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마산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조교수로 있으며, 균형조절치료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주요논문으로는 「균형조절치료가 직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자의 스트레스 인식정도와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박사)가 있고, 저서로는 『균형조절치료』(2003), 『균형조절치료』(2007), 『동서의학의 만남 그리고 새로운 치료법-균형조절치료』(2009)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여기서 동양의학으로 포괄하여 표현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한의학(韓醫學; Oriental medicine, OM)은 중국에서는 중의학(中醫學;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북한에서는 고려의학(高麗醫學)과 동의학(東醫學), 일본에서는 한방의학(漢方醫學)과 화한의학(和漢醫學; Kampo medicine)이라고 한다.
동양의학은 나라와 민족의 특성과 생활방식, 기후, 풍토, 관습에 따라 공통성과 차별성을 가지면서 각각 독자적으로 발전을 거듭하였고, 그 과정 속에는 나라별로 다음과 같은 발전 방향과 특성이 있다.
1949년 중국혁명이 성공한 이후, 중국인들은 전통의 학도 이론적으로나 실제로 유용성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따라 현대적인 방법으로 수천 회의 임상시험과 연구를 하였으며, 그 결과 1958년에 중국의 중앙위원회는 전통의학과 현대의학은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발표하였다.
1946년 북조선 임시 인민위원회 포고 제4호, 동약(東藥)의 제조 및 판매제도의 정비를 시작으로 정권수립 초기에 북한은 주요정책으로 일제치하 동안 침체해 있던 민족의학의 부흥을 위해 동의학 기술과 동약의 보존과 발굴에 주력하였다. 그러다가 1950년대 후반에 들어오면서 북한은 동의학을 학문적으로도 더 높은 수준으로 심화, 발전시키려는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게 되며, 그 정책은 필연적으로 동의학을 현대의 추세에 맞게 과학화하는 작업이 될
수밖에 없었다. 1958년에는 동의학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대한 북한 당국의 구체적인 정책들이 제시되면서, 의학과학원 산하에 동의학연구소를 설치하였고, 1970년대에는 시.군 단위까지 동의학관리국을 설치하였다. 1993년부터 동의학을 고려의학으로, 동의사를 고려의사로, 동의요법을 고려치료요법으로, 동약을 고려약으로, 동의학부를 고려의학부
로, 동의과를 고려치료과로 개명하였다. 1998년 1월에 인민보건법을 보완한<의료법>에 따르면 의료기관은 환자치료에서 집체적(여러 사람의 힘이나 지혜 등을 한데 모아 합치는 것) 협의제와 개별적 책임제를 강화할 것을 규정하고 있으며, 고려약 요법, 침요법, 뜸 요법, 부황요법과 같은 고려의학적 방법과 약수, 온천과 같은 자연 인자를 환자치료에 널리 받아들이고 있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Meiji restoration)의 영향으로 1875년에 ‘의술개업 시험제도’를 제정할 때 서양의학 과목으로만 의사시험을 치게 하였고, 1895년 2월 6일 제국 의회에 상정된 ‘의사 면허 규칙 개정안(한의 존속 안)’이 부결되면서 결국 제도권에서 한의사가 영영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다가 1971에 미국과 중국이 교류하면서 서양에서 한의학에 관심
을 가지기 시작하자, 일본에서도 한의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고, 국민들도 한약을 선호하는 경향을 가지게 되면서 한방제제 산업의 활성화로 이어졌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한방의학 교육을 실시하는 의과대학이 크게 늘기 시작하여, 2004년부터는 일본의 전체 의과대학에서 모두 한방의학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일본은 주로 한방약리(漢方藥理)의 면역학적(免疫學的) 기전들을 연구함으로써 큰 성과를 얻고 있는데, 이것은 일본의 의학(醫學)이 독일의학을 기반으로 하여 대학을 만들었고, 의약학자(醫藥學者)들이 독일에 유학하여 당시에 세계 제일이었던 독일의 세균학(細菌學)과 천연약물학을 배워왔기때문이다.
미국에서는 1971년 중국과의 정보 교류가 정치적으로 허용될 무렵, 언론을 통해 소개되었던 침 마취기법(acupuncture anesthesia technique)을 통해 기존의 침술에 대해 재인식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침술에 전기를 결합한 방법을 개발하여 치료에 이용하였으며, 지금은 경피신경자극치료(TENS)기술과 함께 근대 전기치료의 본질적 기본개념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그 효과들을 입증하기 위한 광범위한 과학적 연구의 노력은 불분명하던 동양의학의 해부조
직학적 기능변화와 세부적으로는 자율신경계 및 내재성 아편, 비 아편 체계를 비롯한 각종 호르몬의 변화들에 대해 명확하게 확인시켜주고 있다.
이상과 같이 동양의학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객관화하려는 노력은 현재도 계속 진행 중에 있다. 접근방향은 조직학적 접근, 신경생리학적 접근, 전기생리학적 접근, 내분비학적 접근, 정신신체학적 접근, 통증과 재생의 관계에 관한 연구 등이 있으며, 연구의 성과는 균형조절치료의 치료적 가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5장 ‘치료의 원리’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