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계절 약이 되는 나무도감

사계절 약이 되는 나무도감 (양장본 케이스)

성환길 (지은이)
푸른행복
6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1,200원 -10% 0원
3,400원
57,800원 >
61,2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6,120원
55,0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계절 약이 되는 나무도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계절 약이 되는 나무도감 (양장본 케이스)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꽃과 나무
· ISBN : 9791156370185
· 쪽수 : 728쪽
· 출판일 : 2015-11-20

책 소개

특허로 검증받은, 약이 되는 나무의 성분과 약효, 용법을 상세히 수록한 나무도감.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나무들의 주요한 성분을 알아보고, 그 성분이 우리 몸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질병과 증상에 어떤 약효가 있으며, 어떻게 이용하는지 그 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목차

·일러두기
·약이 되는 나무도감

[ㄱ]
가래나무/가시나무/가시오갈피/가죽나무/갈매나무/감나무/개나리/개다래/개비자나무/개암나무/개오동/겨우살이/계요등/고욤나무/고추나무/골담초/곰의말채나무/광나무/광대싸리/구기자나무/굴거리나무/굴피나무/귤/금감/꾸지뽕나무

[ㄴ]
남천/노간주나무/노박덩굴/녹나무/누리장나무/느티나무/능소화

[ㄷ]
다래/담쟁이덩굴/대추나무/댕댕이덩굴/돈나무/돌배나무/동백나무/두릅나무/두충/등칡/딱총나무/땃두릅나무/땅비싸리/떡갈나무/뜰보리수

[ㅁ]
마가목/마삭줄/만병초/매발톱나무/매실나무/먼나무/멀구슬나무/멀꿀/멍석딸기/모감주나무/모과나무/모란/목련/묏대추나무/무궁화/무화과나무/물오리나무/물푸레나무/미역줄나무

[ㅂ]
박쥐나무/박태기나무/밤나무/배롱나무/백량금/백리향/벽오동/보리수나무/복분자딸기/복사나무/부용/붉나무/비수리/비자나무/비파나무/뽕나무

[ㅅ]
사과나무/사위질빵/사철나무/산당화/산딸나무/산사나무/산수국/산수유/산초나무/살구나무/삼지닥나무/상산/상수리나무/생강나무/생달나무/생열귀나무/석류나무/소귀나무/소나무/소철/소태나무/송악/수국/수양버들/순비기나무/실거리나무/싸리

[ㅇ]
아까시나무/영춘화/예덕나무/오갈피나무/오동나무/오리나무/오미자/옻나무/월계수/월귤/유동/유자나무/으름덩굴/은행나무/음나무/인동덩굴

[ㅈ]
자귀나무/자금우/자두나무/잣나무/조팝나무/종려나무/찔레꽃/주목/쥐똥나무/진달래

[ㅊ]
차나무/참느릅나무/천선과나무/청미래덩굴/측백나무/층꽃나무/치자나무/칠엽수/칡

[ㅌ]
탱자나무

[ㅍ]
팔손이/팥꽃나무/포도

[ㅎ]
함박꽃나무/해당화/향나무/헛개나무/협죽도/호두나무/호랑가시나무/화살나무/황벽나무/황칠나무/회양목/회화나무/후박나무

·한방용어해설
·참고문헌
·생약명 찾아보기

저자소개

성환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약학박사(생약학 전공) 한국국제대학교 제약공학과 석좌교수(현) 경상남도생약연구소 소장(현) 국립경상대학교 의과대·자연대 외래교수 국립순천대학교 한약자원학과 초빙교수 보건복지부 중앙약사 심의위원회 위원 저서: <우리 산야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상·하)>, <이럴 땐 이런 약초>, <생활 속에서 만나는 건강약초>, <약초 민간요법>, <약용식물 및 생약 포켓도감>, <사계절 산약초>, <동의보감 민간약초(포켓)>, <실전 약초재배>, <지리산의 약용식물> 외 다수가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진통, 항염, 면역 증강, 강장에 사용하는
<황칠나무> Dendropanax morbifera Lev.

생태 : 상록활엽교목으로 높이는 15m 전후로 자라고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며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지방 경남, 전남 등지의 해변 섬지방의 산기슭, 수림 속에 자생 또는 재배하는 방향성 식물이다.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황칠나무의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털이 없고 윤채가 난다.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에 서로 어긋나고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거나 3∼5개로 갈라진다. 꽃은 양성화로 산형꽃차례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6월경에 녹황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핵과로 타원형이고 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성분 : 뿌리줄기, 잎, 수지 등에는 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정유 중에는 베타-엘레멘(β-elemene), 베타-셀리넨(β-selinene), 게르마크렌 D(germacrene D), 카디넨(cadinene), 베타-쿠베벤(β-cubebene)이 함유되어 있다.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의 알파-아미린(α-amyrin), 베타-아미린(β-amyrin), 오레이포리오시드(oleifolioside) A, B가 함유되고 포리아세티렌(polyacetylene)과 스테로이드(steroid) 중에는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이 함유되고 카로테노이드(carotenoid), 리그난(lignan), 지방산 그리고 글루코스(glucose), 프럭토스(fructose), 자일로스(xylose), 아미노산에는 알기닌, 글루타민산 등 그외 단백질, 비타민 C, 타닌(tannin), Ca, K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뿌리줄기는 항산화작용으로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특별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자양강장, 피로회복, 간기능개선, 지방간, 해독, 콜레스테롤치 저하, 혈액순환, 당뇨, 고혈압, 강정, 진정, 우울증, 건위, 위장질환, 청열, 지혈, 구토, 설사, 월경불순, 면역증강, 신경통, 관절염, 진통, 말라리아, 항염, 항균, 항암 등의 치료효과가 있다.
황칠나무의 추출물은 간염, 간경화, 황달, 지방간 등과 같은 간질환을 예방 및 치료한다.
황칠나무의 잎 추출물은 장운동을 촉진하며 변비를 치료한다.

용법 : 뿌리줄기 1일량 30∼60g을 물 900mL에 반량으로 달여 2∼3회 매 식후 복용한다.

<황칠나무의 기능성 및 효능에 관한 특허자료>

▶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치료용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방간, 간염, 간경화 등과 같은 간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황칠나무의 가지 및 잎의 유기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천연물에서 유래한 것으로 부작용이 없으며 간암 세포를 현저하게 억제하므로 간암 치료제 및 관련 질환의 치료용 약학조성물의 성분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출원번호 : 10-2012-0012172, 특허권자 : 박소현

▶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에 대해 토끼 음경해면체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상기 황칠나무 잎의 물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과 상기 황칠나무 열수 추출물의 부탄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분획용매로 이용하여 분획한 분획물이 음경 해면체 평활근을 이완시켜 음경의 발기 증진, 구체적으로 토기 음경해면체에 대한 우수한 이완효과를 통해 남성 성 기능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황칠나무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발기부전 개선 또는 예방 등을 위한 남성 성 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과 발기부전, 조루, 지루 또는 음위증과 같은 남성 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 출원번호 : 10-2011-0146389, 특허권자 :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