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계획 수립방안 연구 1 : 농촌 토지이용 개편 검토기준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계획 수립방안 연구 1 : 농촌 토지이용 개편 검토기준

(일반연구보고서 2024-8)

여혜진 (지은이)
auri(건축도시공간연구소)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000원 -0% 2,500원
0원
1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계획 수립방안 연구 1 : 농촌 토지이용 개편 검토기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계획 수립방안 연구 1 : 농촌 토지이용 개편 검토기준 (일반연구보고서 2024-8)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5659496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4-12-31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1) 연구배경 2
2) 연구목적 4
2. 연구범위 및 방법 5
1) 연구범위 5
2) 연구방법 및 추진체계 6
3. 선행연구 동향 및 본 연구의 차별성 8
1) 선행연구 동향 8
2) 선행연구 착안점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2
3) 주요용어 설명 13

제2장 농촌 난개발 및 소멸위기 대응 토지이용 관리여건 검토
1. 제도 : 용도지역제에 의한 토지이용 혼재와 부정적 외부효과 22
2. 공간 : 국토 토지이용의 양극화와 농촌 토지이용의 공간적 부조화 27
1) 국토 토지이용의 양극화와 인구경쟁에서 밀리는 농촌의 공간관리 여건 27
2) 생활·생산·자연 통합적 환경에서 생활 및 생산관련 토지이용의 공간적 부조화 31
3. 계획 : 농촌 관련 다양한 계획 및 토지이용 관리수단의 실효성 미흡 33
1) 농촌 공간계획 및 토지이용 관리수단의 중복에 따른 연계 필요성 대두 33
2) 농촌 난개발 대응을 위한 농촌특화지구의 입지관리기능 실효성 제고 필요 40
4. 정책 : 향후 10년 농촌공간 재구조화 전략에 의한 주거·산업 기능별 배치 45
5. 정책과제 도출 48
1) 농촌 여건에 대응하는 공간적 토지이용계획 기능 개선 48
2) 농촌 토지이용 유형 기반 관리원칙 정립 50
3) 농촌공간 재구조화 차원의 토지이용 개편 검토기준 도입 51

제3장 우리나라 농촌 토지이용 유형 및 인식특성 분석
1. 분석개요 56
1) 분석 목적 및 범위 56
2) 분석 방법 및 절차 57
3) 분석 지표 58
2. 농촌 토지이용 유형 분석결과 72
1) 군집분석 1단계 : 읍·면 단위 <농촌 유형> 분류 72
2) 군집분석 2단계 : 법정리 단위 <농촌 토지이용 유형> 분류 75
3) 법정리 단위 <농촌 토지이용 유형>의 토지이용패턴 79
3. 농촌 토지이용 유형의 분포패턴 92
1) 전국 분포패턴 92
2) 시·도별 분포패턴 100
3) 시·군별 분포패턴 103
4) 농촌 거점입지 관련 분포패턴 110
4. 농촌 토지이용 유형에 관한 주민 인식 117
1) 조사개요 117
2) 농촌 토지이용 유형별 거주자 인식 결과 120
5. 소결 135
1) 전국 농촌의 일반적, 대표적 토지이용 유형 135
2) 농촌 토지이용 유형의 공간적, 기능적, 입지적 특성 137
3) 농촌공간계획 수립 시 농촌 토지이용 유형 기반 공간관리방향 설정 141
4) 농촌공간계획 수립 시 주민의 거주지 토지이용 유형별 인식 차이 고려 143

제4장 농촌 토지이용 개편 검토기준 시뮬레이션
1. 검토기준 설계 : 지표 및 프로세스 148
1) 개요 148
2) 지표 설계 149
3) 프로세스 설계 162
2. 농촌 토지이용 관리대상 탐색을 위한 지표 적용 164
1) 지역 맞춤형 지표 검증 164
2) 농촌 토지이용 유형 구성패턴 검토 166
3) 농촌 공간구조(정주체계 중심지계층구조) 검토 172
4) 농촌 토지이용의 공간적 구성 특성 지표 적용 174
5) 농촌 토지이용 관리과제 설정 및 지표 적용 181
3. 농촌공간 재구조화 차원 토지이용 개편 유형 및 대상 탐색 190
1) 농촌 토지이용 개편 유형 설정 및 농촌특화지구 지정기준 구성 190
2) 농촌 정주체계상 거점 일대 토지이용 개편 대상 194
3) 농촌 생활 및 생산관련 토지이용 재배치·집적화 대상 199
4) 농촌 생활 및 자연관련 토지이용 통합적 관리·보전 대상 207

제5장 정책제언 및 차년도 연구 수행방향
1. 정책제언 212
1) 농촌 맞춤형 공간적 토지이용계획 기능 개선 212
2) 농촌공간기본계획의 토지이용 개편 검토기준 운영 218
3) 관련규정 개선안 224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229
1) 연구의 의의 229
2) 연구의 한계 233
3. 차년도 연구 추진방향 235
1) 주요 연구내용 235
2) 주요 연구방법 237

참고문헌 239
SUMMARY 245
부록 249
1. 농촌 토지이용 유형 관련 생활·생산·자연환경 관련 용도구분 250
2. 농촌 토지이용 유형 인식조사 설문지 및 주요 결과 253
3. 상주시 농촌 대상 개별지표 맵핑 285

저자소개

여혜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무총리실 산하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건축연구본부에서 부연구위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계획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Harvard University에서 건축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실적으로 지역개발사업 디자인관리체계 도입방안 연구, 읍면동 행정청사 리모델링 가이드라인 연구, 집단적 건축협정 도입 및 건축협정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연구, 행정중심복합도시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복합커뮤니티센터 조성방안 및 추진전략 연구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 「도시설계: 모던 도시, 전통 도시, 녹색 도시, 시스템적 도시」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