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아동 문학론 > 평론
· ISBN : 9791156760849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7-09-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동화의 또 다른 환상과 현실
1부 동화 장르의 정착과 확장
동화 장르론
동화냐 장르냐•10
환상동화의 조건•33
옛이야기와 서사 장르 체계•75
동화의 어린이 형상화 방법•92
동화의 지평 확장을 위한 옛이야기 미학의 수용•117
옛이야기 그림책의 정체와 전망•144
어린이관과 어린이문학관의 전개 양상•157
2부 동화 읽기의 즐거움 또는 괴로움
김우경 작품론
하루에 한 작품씩 : 김우경 동화 읽기 셋•186
《수일이와 수일이》의 환상성과 현실성•210
〈강아지똥〉은 과연 명작인가•229
《고양이 학교》의 교훈•264
《빨간 머리 앤》의 매력•316
《피터 팬》을 읽는 즐거움•334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실세계에 관한 동화는 기본적으로 현실세계를 모방하는 동화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환상세계에 관한 동화는 모방하려야 모방할 대상이 없다. 따라서 환상동화는 그 나름의 고유한 환상세계를 새로 창조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데 인간의 창조란 언제나‘어떤 있음’을 ‘또 다른 어떤 있음’으로 바꾸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즉, 환상세계는 현실세계를 자르고 붙이고 비틀고 부풀리고 오그라뜨리고 뒤집고 비틀어서 창조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전도다.
옛이야기의 동화적 변용은 동화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런데 이 작업은 옛이야기의 현재적 의미와 가치를 확인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옛이야기는 동화의 원천이자 버팀목임을 입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옛이야기와 동화는 오랜만에 또 다시 어깨를 겯게 되었다.
역사?전기주의 관점에서는 〈강아지똥〉을 동화로 규정하기가 훨씬 더 힘들어진다는 사실이다. 의미 있는 죽음이기만 하면 그것이〈강아지똥〉은 과연 명작인가 어떤 죽음이든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는 강아지똥, 그를 어찌 어린이의 친구로 내세울 수 있겠는가. 〈강아지똥〉의 비극은, 동화일 수 없는 것이 어찌어찌하다가 동화가 되어 버린 데 있었던 것인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