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류 문명과 역사 속 세상 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56926122
· 쪽수 : 142쪽
· 출판일 : 2022-03-07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56926122
· 쪽수 : 142쪽
· 출판일 : 2022-03-07
책 소개
인류 문화와 역사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고대문명부터 21세기까지의 인류 역사와 문화를 큰 흐름에서 통시적으로 공시적으로 이해하고, 단편적인 지식적 이해보다는 문화와 역사의 흐름을 이해하면서 각 지역(아시아 · 유럽 · 중동 · 아메리카 등) 등을 인지하게 한다.
목차
제1장 고대 4대 문명으로 보는 인류의 문화와 역사
1. 인류의 기원
2. 고대 4대 문명
3. 4대 문명과 '문명의 요람' 그리고 '5대 문명'의 가능성
4. 4대 문명 지역의 문화와 역사가 갖는 의미
제2장 큰 흐름으로 보는 인류의 문화와 역사
1. 각자의 도생, 발전, 충돌하며 교류 (BC 7C~)
2. 세계사 중심에 선 아시아 (BC 3C~ ) : 유목 제국
3. 인류의 가장 위대한 '문명과 문화의 길', 실크로드 및 동아시아 문화 서역 전파(BC 126 ~ AD 14C)
4. 세계사 중심에 선 유럽 그리고 새로운 세계사
5. 20C 세계대전과 이후의 세계
6. 21C 지구촌 속의 G2
제3장 미국은 왜 ‘하나의 중국’을 말하며, 중국은 왜 이 말에 민감한가?
1. 중국, 광의적 및 협의적 의미
2. ‘지금의 중국’은 어떻게 탄생되었는가?
3. 공산당과 국민당의 싸움(당의 싸움)이 불러온 중국과 대만 (臺灣: 타이완)의 분단사
4. 중화권 지역(대만·홍콩·마카오)의 역사적 성격
제4장 종교의 세계화 및 기타 특정 지역을 통해 세상 읽기
1. 세계를 정복한 강력한 힘의 공동체 문화, 종교로 보는 세계
2. 러시아는 동양인가? 서양인가? - 러시아의 역사적 성격을 통해 그 해답을 찾다
3. 중국의 주변 민족들은 어떻게 되었는가?
4. 힘으로 정복하는데 최악의 국가 및 중립국의 정체성을 통해 세상 읽기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