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서울이 본 도쿄, 도쿄가 본 서울

서울이 본 도쿄, 도쿄가 본 서울

(2000년대 서울.도쿄 도시공간정책 비교)

양재섭, 김상일, 민승현, 김승준, 성수연, 아이바 신, 아사카와 다츠토, 나가노 모토키, 가타기리 유키코, 오사와 아키히코, 정일지, 오네야마 히로유키 (지은이)
서울연구원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540원
17,4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서울이 본 도쿄, 도쿄가 본 서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서울이 본 도쿄, 도쿄가 본 서울 (2000년대 서울.도쿄 도시공간정책 비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91157006427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2-02-21

책 소개

2000년대 서울과 도쿄의 도시공간정책을 종합적으로 비교한 책이다. 1부에서는 2000년대 서울과 도쿄의 사회 공간 변화와 도시공간정책을 비교 분석하였다. 2부에서는 분권화와 자치구 도시계획, 선(線)적 도시재생 등 6가지 이슈별로 도시정책을 살펴보았다.

목차

시작하며 반면교사가 되는 두 도시, 서울과 도쿄

1부 2000년대 도시공간정책은 두 도시를 어떻게 변화시켰나?

1장 2000년대 사회 공간 이슈와 변화 비교
2장 도시공간정책의 흐름과 특징
3장 도심부 관리와 도심재개발
4장 주거지 재개발과 재생

2부 6가지 정책 이슈로 비교해 본 서울과 도쿄

5장 분권화와 자치구 도시계획
6장 선적 도시재생 사례와 효과
7장 주거복합・초고층맨션의 개발과 관리
8장 지역 간 불균형과 격차
9장 고령화 동향과 고령친화도시
10장 대중교통체계 구축과 과제

마치며 서울이 도쿄에게, 도쿄가 서울에게

참고문헌

저자소개

양재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분야는 도시계획·도시재생, 시민참여이며, 주요 연구로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사회공간적 특성과 근린환경 개선방향(2020)」, 「2030 서울 생활권계획 백서(2019)」, 「분권화시대 자치구 도시계획 운영실태와 역할 강화 방향(2019)」, 「2030 서울 도시기본계획 모니터링 리포트(2017)」, 『저성장시대 서울의 도시정책을 말하다(2016, 한울)』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도시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서울연구원 도시정보실장(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분야는 도시계획, 도시개발, 도시정보이다. 주요 연구로 「공공부지를 활용한 민관협력적 사업모델 개발(2019)」,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 모니터링(2018, 2017)」, 「역세권 기능 재정립 및 활성화 실현방안 연구(2016)」, 「도심재생과정에서의 세입자 대책 개선방안(2015)」 등이 있다.
펼치기
민승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와세다대학 건축학과(도시계획전공)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분야는 도시설계·도시개발, 도시재생이며, 주요 연구로 「서울시 생활SOC 사업실태 진단 및 전략적 도입방향(2021)」, 「공공부지 전략거점 개발계획 수립(2020)」,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활성화 지역 내 공공임대시설 확보방안(2019)」, 「도시재생구역 내 국유지 활용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2017)」, 「공공토지자원 활용 기본구상 및 사업화방안 수립(2016)」 등이 있다.
펼치기
김승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Texas A&M University 토목공학과(교통)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서울연구원 교통시스템연구실장(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분야는 대중교통·철도계획이며, 주요 연구로 「이용자 특성을 고려한 대중교통서비스 개선 연구(2021)」, 「서울시 도시철도 연장사업 및 광역철도사업 추진원칙(2020)」, 「서울시 도시철도 사업성과 및 파급효과(2019)」, 「서울시 도시철도 기본계획 및 종합발전 방안(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성수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분야는 도시계획, 도시관리이며, 주요 연구로 「고령인구 밀집지역의 사회공간적 특성과 계속 거주 영향 요인 분석(2022)」, 「마을재생을 위한 빈집 실태분석 및 활용방안(2018)」,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활용 및 운영방향(2017)」, 『저성장시대 서울의 도시정책을 말하다(공저, 2016, 한울)』 등이 있다.
펼치기
아이바 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와세다대학 이공학부 건축학과에서 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와세다대학 조교수를 거쳐 도쿄도립대학 도시환경학부 도시정책과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공은 도시계획, 마치즈쿠리이며, 주요 저서로는 『都市をたたむ(2015, 花伝社)』, 『素が出るワークショップ(공저, 2020, 学芸出版社)』, 『平成都市計画史(2021, 花伝社)』 등이 있다.
펼치기
아사카와 다츠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쿄도립대학대학원 사회과학 연구과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메이지학원대학 교수 등을 거쳐 와세다대학 인간과학학술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도시사회학이며, 주요 저서로는 『新編東京圏の社会地図1975-90(공저, 2004, 東京大学出版会)』, 『東京大都市圏の空間形成とコミュニティ(공저, 2009, 古今書院)』, 『格差社会と都市空間 東京圏の社会地図1990-2010(공저, 2020, 鹿島出版会)』 등이 있다.
펼치기
나가노 모토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와세다대학대학원 정치학 연구과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아토미여자대학 매니지먼트학부 전임강사 등을 거쳐 도쿄도립대학 도시환경학부 도시정책과학과 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공은 행정학, 지방자치론이며, 주요 저서로는 “討議民主主義に基づく市民参加型事業アセスメントの取り組みの研究(2014, 日本行政学会『年報行政研究』, 49号)”, 『自治体議会改革の固有性と普遍性(공저, 2018, 法政大学出版局)』 등이 있다.
펼치기
가타기리 유키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게이오대학대학원 정책미디어 연구과에서 박사(학술)학위를 취득하였다. 도쿄대학 GCOE프로그램 「도시공간 지속재생학 전개」 특임조교수, 도쿄도립대학 환경학부 관광과학과 조교수를 거쳐 2020년 4월부터 가나자와공업대학 공학부 환경토목공학과 강사로 재직 중이다. 전공 분야는 녹지계획, 관광지역계획이다.
펼치기
오사와 아키히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학박사(도쿄공업대학교 대학원 사회이공학연구과 도시계획전공), 도요대학교(東洋大学) 이공학부 건축학과 준교수. 연구분야는 도시경관, 토지이용규제, 도시계획사, 고층건축물 등이며, 토지종합연구소 연구원, 도쿄공업대학교 조교, 다카사키 경제대학교 준교수 등을 거쳐, 현재 도요대학교 준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오사와 아키히코의 다른 책 >
정일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대학원 도시공학과에서 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가나가와대학 건축학과 조교수를 거쳐 구마모토현립대학 환경공생학부 거주환경학 전공 준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도시계획이며, 주요 저서로는 『自分にあわせてまちを変えてみる力 韓国·台湾のまちづくり(공저, 2016, 萌文社)』, 『アジアのまち再生(공저, 2017, 神奈川大学アジア研究センター叢書)』 등이 있다.
펼치기
오네야마 히로유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대학원 공학계연구과에서 공학(토목공학 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건설성 토목연구소 연구원, 도쿄대학생산기술연구소 조교수 등을 거쳐 도쿄도립대학 도시환경학부 도시기반환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교통공학, 교통계획이며, 주요 저서로는 『交通渋滞」徹底解剖(공저, 2005, 交通工学研究会)』, 『都市の技術(改訂版)(공저, 2016, 技報堂出版)』, 『平面交差の計画と設計 基礎編 - 計画·設計·交通信号制御の手引き(2018, 交通工学研究会)』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지금까지 서울과 도쿄는 인구와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에 있어 시차를 두고 상당히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기성세대와는 다른 가치관과 생활패턴을 지닌 젊은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원거리 통행이 유지되는 상황은 부분적으로 광역화 정책의 결과이기도 하다. 향후 시내 주거밀도를 높여 부담 가능한 주택을 공급하고 다양한 계층이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등 광역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정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서울은 2000년대 이후 3개의 비전 계획을 내걸었다. 그 실현 수단은 대규모 개발과 규제완화에서 소규모 개발이나 공간의 질적인 관리로 전환했지만, 그 이념은 ‘균형발전’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즉, 공평함이 가장 중요한 가치라는 것이다. 한편, 2000년대 이후 도쿄는 균형발전과 같은 큰 이념을 내걸지 않고, 보다 구체화된 정책과제별 작은 이념을 앞세워 공평함이 아닌 기능성을 중시하고 있다. 도쿄에서는 서울의 ‘강남북 간 격차’와 같은 구조적인 격차보다 방재 성능의 격차(목조주택 밀집 시가지 정비), 주거 기능의 격차(도심 거주의 규제완화), 관광 기능의 격차(숙박시설 규제완화) 등과 같은 정책과제별 격차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를 개별적인 도시개발을 통해 해결해 나가고 있으며, 격차는 공간적으로 겹치지 않기 때문에 서울의 강남북 간 격차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2000년 이후 서울은 도심부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계획 틀을 공공이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청계천 복원, 역사문화자원 보전, 도심재개발사업 등을 민간과 협력하여 추진하고 있다. 향후에는 일단의 도심지역을 통합적으로 개발·관리하는 민간 디벨로퍼 역할을 확대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도심기능을 확충할 수 있는 사업 방식이 요구된다. 이에 반해 도쿄는 수도의 중심으로서 도심부 관리를 위한 원칙과 기준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민간사업자가 주도하는 재생사업을 통한 과도한 규제완화가 부의 외부효과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규제완화의 정도와 범위를 재검토해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