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남북협상파 문인들

남북협상파 문인들

김재용 (지은이)
역사공간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1,25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남북협상파 문인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남북협상파 문인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문학일반
· ISBN : 9791157076246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4-10-30

책 소개

염상섭・정지용・김기림을 복원시켜 한국 문학사를 새로 쓰고 한국 현대사를 새로 읽으려는 의지를 담았다. 또한 제국주의 근대에서 제국의 근대로 이행하는 세계사 속에서 한국의 탈식민화 노력이 갖는 의미를 밝힘과 동시에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의 성격을 밝힌다.
한국문학의 탈식민화 길을 찾다, ‘남북협상파 문인들’
식민과 냉전의 해방 전후 한국문학 재구성
염상섭・정지용・김기림을 통해 새로운 문학사론 확보


이 책은 우리에게 익숙한 염상섭・정지용・김기림을 재조명하면서 해방기의 문학을 남북협상파 문인의 통일 독립론을 중심으로 살피고자 하는 시도이다.
그동안의 문학사 서술에서는 해방 전의 식민 시기의 문학과 해방 후의 냉전 시기의 문학이 따로 존재하였다. 통속적으로는 식민 시기의 것을 ‘근대문학사’, 냉전 시기의 것을 ‘현대문학사’라고 불렀다. 그럴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남북협상파의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남북협상파의 문인은 미국에 기대 남한을, 소련에 기대 북한을 만들려고 하였던 세력들을 끝까지 반대하면서 통일 독립 국가를 수립하여 전쟁을 방지하려고 하였던 이들로, 냉전의 억압 속에 우리의 기억 속에서 사라졌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염상섭・정지용・김기림을 복원시켜 한국 문학사를 새로 쓰고 한국 현대사를 새로 읽으려는 의지를 담았다. 또한 제국주의 근대에서 제국의 근대로 이행하는 세계사 속에서 한국의 탈식민화 노력이 갖는 의미를 밝힘과 동시에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의 성격을 밝힌다.
이 책에서는 남북협상파 문인의 정신적 지주였던 소설가 염상섭과 시인 정지용을 중심으로 통일독립운동을 고찰한다. 이 두 문인은 당시 소련 후견의 민주기지론과 미국 후견의 단독정부론을 비판하는 글을 창작과 산문을 통해 많이 발표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분석이 연구의 토대를 이룬다.
염상섭은 만주국 안동에서 신의주를 거쳐 서울에 도착한 이후 비교적 조용히 지내다가 미소공위 결렬 이후 왕성하게 창작활동을 한 작가이다. 특히 1948년에는 장편소설 『효풍』을 비롯하여 많은 단편을 발표하였고 이는 남북협상이 좌절되었던 1949년 상반기까지 지속된다. 이 책에서는 이 시기 염상섭의 창작활동을 남북협상의 통일독립의 관점에서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정지용은 『문장』지를 복간하여 역시 남북협상파 문인들에게 발표 지면을 제공한 문인으로, 미소공위 결렬 이후 쓴 산문과 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또한 그가 서평 등을 통하여 남북협상파의 젊은 문인들에게 끼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김기림은 젊은 남북협상파 문인들을 실질적으로 이끌었던 작가이다. 그는 평론과 시집 출간으로 남북협상파를 실천적으로 이끌었을 뿐만 아니라 젊은 문인들과의 소통으로 하나의 큰 흐름을 만들었던 문인이다. 김기림의 작품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젊은 문인들이 나누어질 만큼 큰 영향력을 미쳤기 때문에 이를 함께 다루었다.
이 문인들은 분단과 전쟁 이후 한반도에서 사라졌다. 남북협상의 통일독립으로 전쟁을 막고자 하였던 그들의 열망이 힘을 잃게 된 이후 정지용과 김기림은 남북 모두에서 잊혀졌고 ‘빨갱이’로 지목받은 여파로 남북협상파의 주도적 인물로서의 염상섭의 면모가 완전히 지워졌다. 이들이 내세웠던 태도가 남북 어디에서도 받아들여지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랬던 이들의 문학이 1980년대 들어 남북 모두에서 해금되면서 한반도에서 중요한 문학인으로 평가받기 시작하였다. 물론 여전히 남북에서 이들의 문학을 평가하는 자세에는 큰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문학적 통합의 접점이 될 만큼 문학적 유산으로서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남북의 문학적 통합의 전망에서 이들의 성취는 상당하다.
저자는 “남북협상파 문인들의 활동을 고려한다면 근대 이후의 한국문학사는 1945년이 아니라 1950년 한국전쟁까지 넓혀 서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남북협상파 문인들은 3.1운동 이후부터 소설과 시 분야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하였던 이들이기에, 이들의 식민 시기 지향과 냉전 시기 문학을 연결시켜 설명하고 서술할 수 있는 것이다. 기존의 익숙한 1945년이 아니라 1950년까지 내려서 문학사를 서술할 수 있는 시야가 확보 가능해진 셈이다.

목차

책머리에 5

여는 글 통일독립과 반전의 상상력 13

제1부 해방 전 세계인식과 문학 실천

1. 해방 전 염상섭의 세계인식과 문학 실천
제1차 세계대전과 유럽 내셔널리즘에 대한 비판 21
사회주의와 소련 비판 31
미국과 제국의 근대성 비판 41
만주국으로의 망명 46
2. 해방 전 정지용의 세계인식과 문학 실천
제국주의 근대성과 문화옹호 국제작가회의 76
제국의 근대성: 소련과 미국 82
3. 해방 전 김기림의 세계인식과 문학 실천
유럽중심주의 비판에서 비서구 식민지로 89
제국의 근대에 대한 비판과 유럽 전위문학과의 긴장 92
근대의 파산과 조선문학의 새로운 방향 103

제2부 해방기 남북협상파 문학
1. 염상섭과 남북협상
해방기 남북협상파로서의 염상섭의 궤적 113
염상섭과 『신민일보』 그리고 남북협상의 평화적 통일독립 128
『효풍』과 남북협상 그리고 미소 비판 145
2. 정지용과 남북협상
미소공동위원회에 대한 비판적 지지 161
미소공동위원회 좌절과 남북협상운동 169
『문장』의 복간과 남북협상파 문인의 확장 188
김구의 죽음과 보도연맹 이후의 정지용 218
3. 김기림과 남북협상
남북협상파 문인의 내면 226
근대의 파산과 해방조선의 꿈 230
미소공동위원회에 대한 비판적 지지 237
남북협상운동과 김기림 246
냉전의 격화로 인한 남북협상의 위기와 최후의 몸부림 250

제3부 남북협상파 문인의 문학사적 의미
1. 남북에서의 염상섭 평가와 평화통합
북에서도 주목하기 시작한 염상섭 261
북한에서의 염상섭 262
남한에서의 염상섭 267
남북협상파 작가로서의 염상섭의 재인식 272
2. 남북에서의 정지용 평가와 평화통합
1980년대 이후 남북이 함께 사랑하기 시작한 시인 274
북한에서의 정지용 276
남한에서의 정지용 283
다층적 통합을 위하여 286
3. 남북에서의 김기림 평가와 평화통합
1980년대 탈냉전의 기류와 남북에서의 김기림 해금 288
남한에서의 김기림 292
북한에서의 김기림 296
제국의 근대성과 남북협상파로서의 김기림 302

맺는 글 탈식민 한국문학의 세계성 305

미주 312
참고문헌 318
찾아보기 320

저자소개

김재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한 후에 동 대학원 국문학과에서 석사와 박사를 마쳤다. 현재 원광대학교 국문학과에서 한국 근대문학과 세계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유럽중심주의적 세계문학 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를 하는 지구적세계문학연구소 소장으로,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문학포럼 대표이자 연구소 기관지 『지구적세계문학』의 발행인 및 편집인으로 일하고 있다. 여러 권의 저서와 편서를 낸 바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분단구조와 북한문학』, 『협력과 저항』, 『세계문학으로서의 아시아문학』, 『혁명 속의 여성, 여성 속의 혁명』, 『4·3항쟁과 탈식민화의 문학』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