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91157747771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5-06-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누구도 빌딩의 주인이 되지 말라는 법은 없다
추천의 글
Chapter 1. 돈이 모이는 곳에서 전문가가 되자
우리는 부자가 되고 싶다
부동산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고수익 평생 직장, 부동산 중개업
부동산 중개의 꽃 ‘빌딩 중개’
엠스에셋 인싸이트 1
Chapter 2. 전문 빌딩 중개인에 도전하라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취득하자
큰돈이 모이는 곳은 어디인가?
빌딩 중개의 단계별 프로세스
엠스에셋 인싸이트 2
Chapter 3. 전문 빌딩 중개인으로 첫발 내딛기
빌딩 중개인은 1인 사업가
처음 6개월이 성패를 좌우한다
빌딩 중개에서 매물의 범위
무엇이 좋은 물건인가?
매물 확보가 가장 기본이다
저평가된 저렴한 매물을 찾아라⦁시장에 나온 지 오래된 물건도 눈여겨보자⦁현장 임장으로 물건 찾기⦁공동중개로 매물의 파이를 키워라
절대 중개하지 말아야 할 빌딩
엠스에셋 인싸이트 3
Chapter 4. 밸류업 매물 찾기
밸류업 매물 찾는 방법
밸류업이 가능한 매물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북쪽 도로를 접한 건물⦁코너에 위치한 건물⦁개선 가능한 맹지⦁리모델링이 효과적인 건물⦁입지가 우수한 경사지 건물⦁장기 임차인으로 인해 저평가된 건물
엠스에셋 인싸이트 4
Chapter 5. 고객 확보는 전쟁이다
사람 만나는 일을 즐겨야 고객을 확보한다
고객은 어디에나 있다
고객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라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라
신뢰로 고객의 마음을 훔쳐라
고객 만족을 불러오는 중개 노하우
엠스에셋 인싸이트 5
Chapter 6. 남다른 빌딩 중개인이 되기 위한 레벨업
수익은 전속중개에 달려 있다
계약을 성사시키는 협상 전략
부동산 상승기와 하락기에 따른 고객의 심리⦁매도자의 심리를 파악하라⦁매수자의 심리도 중요하다⦁빌딩 중개 협상 시 성공 보장 꿀팁
빌딩 매매 계약 시 중요 확인 사항
포괄양도양수 계약에 관해 알아 두자
빌딩 중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매매할 때 기존 임차인 명도시키기
중개 보수를 잘 받는 노하우
엠스에셋 인싸이트 6
Chapter 7. 매출 상승을 위한 온라인 마케팅
왜 온라인 마케팅을 해야 할까?
부동산 프롭테크 플랫폼 활용법
블로그 마케팅 방법
유튜브 마케팅 방법
엠스에셋 인싸이트 7
부록 1 부동산 분야별 중개 실무 노하우
부록 2 성공하는 중개인을 만드는 마인드셋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당장 투자를 시작할 만한 자본이나 지식이 부족하다면 관련된 일을 하면서 돈을 모으고 공부를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큰돈이 모이는 부동산 분야에서 전문가로 우뚝 설 수 있다면, 그 노력과 열정의 대가는 상당히 묵직할 것이다.
빌딩 중개인이 되려면 일반적인 공인중개사보다 꼼꼼하게, 더욱더 세부적인 사항을 볼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하다. 건물의 물리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법률적인 부분과 임대차 관련 내용도 검토해야 한다. 이에 관한 지식이나 노하우가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부동산 중개 시장을 운동장으로 비유하면, 빌딩 중개는 모든 종목을 아우르는 종합운동장이나 다름없다. 자산 투자의 정점에 있는 것이 빌딩 투자인 만큼 중개 시장의 정점에는 빌딩 중개가 있다.
빌딩 중개를 하다 보면 어디에 있는 건물을 사는 게 정답이냐고 물어보는 매수자가 많다. 나는 물건마다 다르다고 이야기한다. 강남이라도 다 좋은 게 아니고, 인기 없는 지역이라도 무조건 안 좋은 게 아니다. 아무리 인기 지역이라도 안 팔리는 구석진 곳에 위치했거나, 건물의 상태가 별로라거나, 상가 입점이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가 있다. 반대로 인기 없는 지역이라도 대로변 및 코너에 위치했거나, 건물의 상태가 말끔하거나, 상가 입점이 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주변 매매 사례보다 저렴하다면 금방 매각된다.
요즘에는 부동산 가치를 평가할 때 건물의 임차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어떤 독특한 설계와 최신 트렌드를 반영했는지 등이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위치인데, 해당 지역의 특성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물인지도 고려해야 한다. 즉, 지역 특성에 적합한 설계와 임차 구성이 건물의 가치를 높이는 핵심 요인이다.




















